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통합 개인정보보호법 시행의 함의와 시사점

이용수 168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정보법학회
저자명
이준복(Lee Joon Bok)
간행물 정보
『정보법학』제15권 제3호, 147~181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법학 > 민법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12.31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우리는 정보사회의 구성원들을 억압하고 구속하는 것이 아닌, 인간의 존엄성과 자율을 존중하는 방향으로 전개되어야만 한다는 원칙 아래에서 미래의 정보기술의 도입이나 사용여부를 검토하여야 할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필요한 것은 현실적인 사회구조들의 반영뿐만 아니라, 미래에 추구하여야 하는 ‘지침과 기준’을 제공할 수 있는 헌법에 부합하는 정보질서의 창조이다. 이러한 헌법에 부합하는 지침과 기준을 마련하기 위해서 개인정보 보호와 관련된 법률들이 제⋅개정되어 적용되고 있다.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개인정보보호 법제 현황을 살펴보면, 공공영역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민간영역은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로 나뉘어 규율되고 있고, 이 외에 통신비밀보호법 등 개별법을 통해 각 영역별로 규율되고 있기 때문에 규율대상에서 제외된 개인정보 보호의 사각지대가 발생하여 그 한계점을 드러냈지만 현재 정보보호를 위한 기본법으로서 통합 개인정보 보호법이 시행되고 있는데, 이는 지금까지 지적되었던 문제점을 극복한 것으로서 매우 의미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새로 제정된 개인정보보호법에도 여러 가지 문제점이 제기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통합법 내지는 기본법으로서 개인정보보호법 시행이 우리에게 주는 내포된 의미와 암시된 내용을 파악하기 위해 먼저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일반적인 이론적 고찰을 통해 정보화 사회에서 개인정보보호의 필요성을 파악하고,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헌법상 기준에 대해서 살펴본 뒤, 해외의 개인정보보호 관련 입법례 및 개인정보 기구를 통해 우리가 취할 수 부분은 무엇이 있는지 확인해 본다. 그리고 본 연구의 가장 핵심적인 사항으로서 시행 중인 개인정보보호법에 대해 문제점 내지는 한계점으로 지적될 수 있는 사항에 대해 분석해보고, 이에 대한 개선방향을 제시했다. 본 연구가 앞으로 개인정보보호법을 개정하는데 있어서 참고가 되길 기대한다.

영문 초록

With a dramatic development in the techniques of computer data processing and telecommunications, the word, ‘information’ implies very significant meaning. Industrialization in Britain in the late 18th century meant a rapid increase in productivity, but today’s highly developed IT network society is so called the time of information revolution enough to call it the second industrial revolution. Dramatic change in measures of send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helps distribute fast diverse information and develop a network society, in which no one can deny that we must be aware of the importance of personal information and problems otherwise that can cause. Among diverse information in a society, personal information that identifies an individual person is the most important and it can damage personal benefits depending on how a person deals with the information. The technology of Telecommunications has a great deal of benefits in the sense that a user as an individual can receive service that is right for his hobbies or preference. At the same time, on the contrary, business people who provide the service can have an effective marketing tools using the technology. However most of these marketing tools might collect personal information without a person’s agreement and then be used in diverse ways the person can’t control. That means the person’s rights and interests are overlooked in a sense. If a marketer builds a personal information database to enhance users’ convenience, it seems very beneficial. However behind the convenience, it can create a worst scenario in which any third person any time can breach a person’s privacy. When that happens on a regular basis, we can no longer call that a truly happy society. Speaking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protection means a lot. It is time to protect the information in accordance with the international standards.

목차

Ⅰ. 들어가며
Ⅱ.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검토
1. 개인정보보호의 의의
2. 헌법상 정보인권
3. 정보사회에서 개인정보보호의 필요성
Ⅲ. 개인정보보호의 국제적 논의와 해외 입법례
1.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국제적 논의
2. 개인정보보호 관련 해외 입법례
Ⅵ. 개인정보보호법에 대한 검토
1. 개인정보보호법의 개관
2. 개인정보보호법의 한계점
3. 개인정보보호법의 개선방향
Ⅴ. 나가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준복(Lee Joon Bok). (2011).통합 개인정보보호법 시행의 함의와 시사점. 정보법학, 15 (3), 147-181

MLA

이준복(Lee Joon Bok). "통합 개인정보보호법 시행의 함의와 시사점." 정보법학, 15.3(2011): 147-18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