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퍼블리시티권과 표현의 자유의 형량

이용수 228

영문명
Balancing the right of Publicity against the freedom of expression - focusing on the recent case law development of Germany and Japan -
발행기관
한국사법학회(구 한국비교사법학회)
저자명
김수정(SooJeong Kim)
간행물 정보
『비교사법』比較私法 제24권 제1호, 1~46쪽, 전체 46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2.28
8,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퍼블리시티권을 둘러싼 논의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퍼블리시티권과 표현의 자유의 충돌 문제는 아직 큰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다. 그렇지만 이는, 우리보다 먼저 퍼블리시티권 내지 인격권의 재산적 이익을 판례로 확립한 독일과 일본의 최근 판례에서 가장 빈번하게 나타나는 문제이다. 유명인의 사진이나 성명을 이용한 광고나 출판물은 대부분 이용자의 이익 증대로 이어지지만, 그렇다고 해서 이들을 항상 퍼블리시티권 침해로 인정하면 표현의 자유가 위축될 수 있다. 표현의 자유가 부당하게 위축되지 않으면서도 퍼블리시티 가치가 부당하게무단으로 이용되지 않도록 독일과 일본의 법원은 구체적인 형량 기준을 발달시켜 왔다. 독일에서는 주로 광고에서, 일본에서는 주로 출판물에서 퍼블리시티권과 표현의 자유가 충돌하는 양상을 보인다. 독일 연방헌법재판소가 헌법상 보장되는 표현의 자유에 상업적 표현의 자유를 포함시킨 이후로, 연방대법원은, 타인의 인격표지를 무단으로 사용한 광고라도 그것이 의견형성적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면 그 광고가 허용된다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으나, 이 태도에 대해서는 비판의 여지가 있다. 한편 일본 판례는 초상 등 그 자체를 독립한 감상의 대상이 되는 경우 퍼블리시티권 침해가 된다고 하는데, 여기에는 사진기사도 포함된다. 기사는 전형적인 표현의 자유에 속하는 영역이므로, 이로 인해 표현의 자유가 지나치게 제약되지 않도록 일본법원은 출판물의 내용이 공공의 정보이익에 얼마나 기여하는지 실질적인 내용은 판단하지 않고, 사진이 전체 잡지에서 어느 정도의 비중을 차지하는지, 함께 게재된 문장이 사진과 얼마나 관련성이 있는지와 같은 형식적 판단을 기준으로 한다. 이러한 형량기준들은 앞으로 우리 법원이 퍼블리시티권과 표현의 자유가 충돌하는 사안을 해결할 때 유용한 참조가 될 것이다.

영문 초록

Although the Korean Supreme Court has not yet acknowledge the Right of Publicity, lots of cases are accrued at the level of lower courts. However even the lower courts has not yet discussed the problem of balancing the right of publicity against freedom of expression. In this respect the recent development of case law of Germany and Japan could give some useful tips for us. Traditionally the German jurisprudence considered that a picture of contemporary public figure can be published without his consent only if the commercial use of the picture serves the public interest of information. Even if this condition is fulfilled the publication of the picture should not be allowed if the use violates legitimate interest of the public figure concerned. Also an unauthorized use of the right to one s name, which is not derived from § 12 BGB but based on the constitutionally protected right of personality, constitutes a violation of this right, if the use aims only to gain the economic interest of the usurper. In these cases the personality right becomes dominant over freedom of expression, even if the picture of name of the public figure concern the public interest of information. But this opinion got changed after the Federal Constitutional Court stated that the constitutionally protected freedom of expression embraces also commercial expression and advertisement. Especially after the “Rücktritt des Finanzministers” case in 2006 the Federal Supreme Court held the opinion that the unauthorized use of the picture of former German Finance Minister in a commercial advertisement was discharged from liability if the picture was used within a satiric advertisement and it gave political expression about the current affairs concerned. This decision caused dispute because the criterion suggested by the Federal Court could lead to the result that advertisers put a satirical element into the advertisement using the identities of celebrities without his or her consent with the purpose to avoid being sued for violation of the right of publicity. On the other hand the German jurisprudence gives due consideration in order to make the right of publicity not be undervalued against the freedom of expression. For example “Wer wird Millionär?”- and “Playboy am Sonntag”-case made the point that the unpermitted use of pictures of the celebrities made no special contribution for the formation of public opinion and held that the advertiser should pay compensation. The advertisement concerned showed no satirical elements, so it s not certain whether the Federal Supreme Court dismissed the claims even if the advertisement would have been significantly satirical. But “Playboy am Sonntag”-case is still remarkable in that the Court understood the article in the editorial section as an advertisement and awarded not non-economic damages for pain and suffering the right-holder has undergone, but economic damage, i.e. payment of reasonable royalties. While the German Federal Supreme Court from the start found the ground of the right of one s picture and the right to one s name in the constitutionally protected fundamental right of Human Dignity and of Personal Freedom, the Japanese Supreme Court made reference to the Personality Right as the ground of the right of publicity very recently. In comparison with the german case law and literature the japanese ones focus on developing a concrete criteria balancing the right of publicity and the freedom of expression rather than def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stitutionally protected personality right and the freedom of expression.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at the japanese cases concerning this topic were concentrated on the photo reports, which is considered to belong to the traditional area of the freedom of press. Though in the leading case of 2 February 2012 the Japanese Supreme Court denied claims and royalties because the article using the pictures of the claimants with

목차

Ⅰ. 서론
Ⅱ. 독일에 있어서 인격권의 재산적 이익과 언론
Ⅲ. 일본에서 퍼블리시티권과 언론 자유의 형량
IV. 결론자유의 형량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수정(SooJeong Kim). (2017).퍼블리시티권과 표현의 자유의 형량. 비교사법, 24 (1), 1-46

MLA

김수정(SooJeong Kim). "퍼블리시티권과 표현의 자유의 형량." 비교사법, 24.1(2017): 1-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