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中國居式帶裝節具의 登場과展開

이용수 63

영문명
The appearance and development of the Tang-style metal belt in China
발행기관
중앙문화재연구원
저자명
최정범(Choi, Jung-Bum)
간행물 정보
『중앙고고연구』제22호, 95~130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2.28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교구와방형 반원형의 과판 대단장식의 간단한구성을 갖춘 당식 대장식구는 명칭에서 드러나다시피 중국 당 왕조대에 주로 사용되고 확산되었다 그러나 그 형태 허리띠의 결구 방법 둥 여러 속성은 이전 시기인 북조 이래로 수 왕조대를 거치며 점진적으로 변화하여 당 왕조의 건국을 전후해그 형태가 완성되었다 이에 당 왕조대에 쓰인 것으로만 한정하지 않고 원초적 형태를 포괄하는 시각에서 전 시기인 북조~수대의 대장식구를 포괄히는 개염으로 정의한다 이는 당식 대장식구의 계기적 발전과정을 염두에 두었기 때문이다. 당 왕조대에 본격적으로 사용된 당식 대장식구의 출토 지역을 현재 중국의 행정구역에 따라 분류하면 수도가 위치했던 섬서성 서안을 위시한 화북지 역 일대에 집중되고 있다. 또 그것의 !Xl% 이상은 고분에서 출토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출토된 대장식구의 재질은 금동 청동 철 둥 다양한 재질로 제작됨을 알 수 있는데 율령제 아래에서 관둥에 따라 소유할 수 있는 대장식구의 재질에 치둥을 두었다 이 대장식구틀은 강한 규격성을 가진다는 점으로 미루어 그 자체로 일륭적 변화과정을 거친것으로이 해된다 당식 대장식구가 출토되는 고분이 대부분 단발적으로 나타나고 있어 소유자의 성격을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그러나 영하회족7

영문 초록

Tang-style metal belts, which are usually brackets and belts, half-round ornaments, and edge ornaments, were widely used and spread during the Tang(庸) Dynasty in China, as can be known from its name. Many fcε:atures of these ornaments, however, including their appearance and function, such as the way of buckling the belt and so on, gradually changed over time during the Northern Dynasties (北朝) and the Sui(뼈) Dynasty, much earlier than the Tang Dynasty, and their form came to completion around the beginning of the Tang Dynasty. This paper is not Iimited to their use in the Tang dynasty, and instead defines them as a concept encompassing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and the Sui Dynasty to incorporate their prototypical form‘ It takes into account the gradual development ofT.mg-style metal belts over time‘ When examined by the elOαlvations following the administrative divisions of modern China, Tang-style metal belts are shown to be mostly concentrated in Northern China, surrounding the Xian of Shaanxi where Tang capital was once located‘ In addition, more than 90% of them were excavated from burial tombs‘ It was found that those excavated ornaments were created by different materials such as coated gold, bronze, and iron materials of whiεh a person could own or wear ornaments wεre ,tricted according to their rank under the laws of the kingdom in those days. As such, the strong standardization shown in the metal belts indicate that they went through the same process of change. Most burial tombs with Tang-style metal belts are located in isolation, so it is diflìcult to identify the buried. However, it is noteworthy that Tang-style metal belts are found over several generations in Wzhõng , Níngxià Huízú Zìzhìqü and Cháoyáng, and Liáoníng Sheng. As part of the Jimi policy(羅緊政策) of the Tang Dynasty, these places were under the control of the Doxiokbu(都督府), which was manag by the Dynasty because of their politiιal , military, and economic importance. Considering that Tangstyle metal belts made of bronze and iron from a later period were a1so excavated in these two regions of Wízhõng and Cháoyáng, mid- or low-Iank military politicians(軍政官 人) of the Ii nhou Doxiokbu(川都督府) and the Ronou Doxiokbu(榮州都督府) are thought to have been buried in those tombs

목차

l 머리말
ll 중국내당식대징식구훌토현황
lll , 중국 내 당식 대징식구의 연화
lV 당식 대징식구의 위계와소유자의 성격
V 맺응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정범(Choi, Jung-Bum). (2017).中國居式帶裝節具의 登場과展開. 중앙고고연구, (22), 95-130

MLA

최정범(Choi, Jung-Bum). "中國居式帶裝節具의 登場과展開." 중앙고고연구, .22(2017): 95-13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