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호남지역 고려시대 기와 가마출토평기와연구

이용수 449

영문명
A Study ofPlain Roof-tiles from Korea Dynasty Roof-tile Kilns in the Honam Region
발행기관
중앙문화재연구원
저자명
차인국
간행물 정보
『중앙고고연구』제22호, 1~24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2.28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고려시대 평기와는 선행 연구를 통해 문양 및 제작기법에 관한 성격이 어느 정도 규명되었다 그러나 세부적인 속성과 이들의 변화시 점에 대해서 이견이 있는데 검토된 자료가 주로 수량이 부촉한 연호명 기와 및 층위적으로 불안정한 건물지 출토품이기 때문에 야기된 문제로 생각된다 이에 본고에서는 층위적으로 안정적인 가마에서 출토된 자료에 한정하여 살펴보았다 기와의 제작연대는 가마의 14C와 고고지자기연대측정 질과를 수용하였는데 측정연대의 비교와 기존의 고고학적 성과를상호 검토하여 절대연대의 활용이 가능하다논 것을 검증하였다 이를 토대로 검토한 질과 평기와 문양과 융철흔은 시간성을 반영한다는 기존 견해에 재고가 필요하며 수키와종류와하단부 조정방법은 과도기가 긴 속성임을 알수 있었다 비 슷한 형태의 문양이 각기 다른 유적에서 확인된 것은 와공이 소비지로 이동할 때 제작도구는 현지에서 조달하였을 가능성과복수의 가마에서 한곳의 수요지로 공급되었을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방대한종류의 문양과기와제작기술이 변화되는과도기가길고 지역적으로변화시기가상이한점을통해고려사회의 기와생산과 공급에 대한통제는 세부적인 제작기법까지 미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Previous studies have illuminated the patterns and production method of the Korea dynasty plain roof-tiles. In contrast, debates about the detailed properties and their change point in time remain unsettled. This is partly due to the limitation in data, where the majority come from buildings with unclear stratigraphy. This paper examines the production features of the plain roof-tiles from kilns, where the artifact dates(stratigraphy) are relatively clear This study uses AMS and archaeomagnetic dates of the kilns for examining rooftile production dates‘ Through comparing the two dating methods and existing arεhaeological results, the possibility of using absolute datε:s for research like this was substantiated The res비 ts show that the argument that the patterns and the wheel-shaped marks (Yoonchul-heun; a traε:e made by binding something around the tile) on plain rooftiles reflect the production dates need to be revisited, and that the typological changes in convex roof-tiles and the changes in the modifìcation methods in bottom-part go through a long transitional period. Similar patterns on roof-tilε:5 are found across different sites. This possibly indicates that when a roof-tile producer was sent to a certain consumption region, the producer used the production equipment from the dispatched region, and that a single consumption region received the roof-tiles from multiple kiln sltes‘ Based on the wide range of variation in the patterns on plain roof-tiles and the long transitional period for the ch an ges in roof- tile production methods, it can be inferred that the control system of the roof- til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Korea Dynasty (9 18-1392 CE) did not reach the details of production methods‘

목차

l 머리말
n 호남지역 고려시대 기와가마 훌토 영기와 검토
1 기와가마 훌토영기와
2 영기와제ξ땐대
m 제작기법의 연전과 의미
1 문앙
2 수카와종류
3 히단부조정농법
4 윤철흔
N 고려시대 영기와 생산처찌l
1 . 21당의 아동과기와의수급
2 영기와생산과사회적통제
V 맺응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차인국. (2017).호남지역 고려시대 기와 가마출토평기와연구. 중앙고고연구, (22), 1-24

MLA

차인국. "호남지역 고려시대 기와 가마출토평기와연구." 중앙고고연구, .22(2017): 1-2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