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 문묘제도의 변천

이용수 486

영문명
A Change of Korean Mun-Myo(文廟) System
발행기관
국립국악원
저자명
지두환(Ji Doo hwan)
간행물 정보
『국악원논문집』제17집, 211~248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음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06.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우리나라 문묘제도의 특색을 유학사상의 변천 특히 성리학의 변천을 중심으로 하여 중국의 그것과 비교하고, 아울러 그 특색을 찾아보려 하는데 있다. 70년대까지 조선 부정론, 성리학 부정론 때문에 조선시대를 긍정적으로 보는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그러나 80년대부터 조선 긍정론, 성리학 긍정론이 대두하면서 성리학에 관한 연구도 활발해지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흐름의 하나로 문묘향사제도를 중심으로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문묘라는 것은 공자(孔子)를 모시는 사당으로 그 위상은 당연히 유학의 존숭(尊崇) 여부에 따라 변하여 왔고, 문묘에 종사되는 인물은 유학의 변천에 따라 종사되기도 하고 출향(黜享)되기도 하였다. 이것은 중국이나 우리나라나 마찬가지였다. 우리나라는 삼국시대부터 유교를 받아들여 문묘제도를 확립하였으며 종사되는 인물들도 중국의 것을 기준으로 하여 변하였다. 그러나 중국의 유학이 주자성리학에서 양명학으로 변천하였는데 비해, 우리나라는 주자성리학의 수준을 한단계 더 올린 심학화된 조선성리학을 이룩해 내면서 이제 중국의 문묘제도와는 다른 특색을 두드러지게 보이게 되었다. 조선전기에는 사배위(四配位) 십철(十哲)의 제도가 주자성리학에 의해 만들어졌고, 조선성리학이 완성된 조선후기에는 학행일치를 중심으로 하는 도통론(道統論)이 확립되면서 숙종 40년에 송조 6현을 문묘에 배향하는 제도가 성립되었다. 또 이러한 기준에 의하여 중국 학자들의 종사와 출향이 이루어졌다. 그런데 이에 비하여 중국은 양명학에 빠져 여진족에게 나라를 빼앗기고, 고증학이 주류를 이루게 되었다. 그로 인하여 중국은 주자 존숭이 강화되고는 있지만 도통에 어긋나는 유학자가 종사되고 있고, 한당대의 훈고학자들도 종사되고 있었다. 조선성리학이라는 고유의 사상을 이룩해낸 조선사회에서 문묘제도는 당연히 그 사상을 표현하는 제도를 이룩해 냈던 것이다. 사상이 다르면 필시 문화가 다르게 되고, 문화는 또 제도로써 표현되기에 우리나라의 문묘제도는 중국과 다른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는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rough this thesis I tried to find out the specialty of Korean Mun-Myo (文廟) system and compare with chines system, by mainly focusing ideologic changes of Sung Confucianism;. Mun-Myo means a shine to serve Kong-Ja(Confucius). It s status had changed by amount of reverence to confucianism. The person who was offered Jong-Sa(從祀) or Chul-Hyang(黜享) was up to changes of confucianism. This was the same in China and Korea. Korea accepted Confucianism from Age of Three kingdoms and confirmed the system of Mun-Myo. In addition the people who received service were changed by following chines system. But compared with Chines confucianism changed from Ju-Ja-Sung- Li-Hak(朱子性理學) to Yang-Myoung-Hak(陽明學), Korea developed Cho-Sun Sung-Li-Hak(朝鮮性理學) which is more upgrade level ideology so that made different characters not like Chines. In the early Cho-Sun dynasty, four saints(四配位) ten scholars(十哲) system which is mainly focusing Maeng-Ja(孟子) were developed by Ju-Ja-Sung-Li-Hak. In the late Cho-Sun dynasty was the time of compete Cho-Sun-Sung-li-hak. As Do-Tong-Lon(道統論) was built, the system to serve six wise men of Song(宋朝六賢) at Mun-Myo was established in King Sook-Jong 40th. Furthermore, chines scholars Jong-sa(從祀) and Chul-Hyang(黜享) were made following this standard. However, China was fascinated in Yang- Myong-Hak so that Qing dynasty(淸) could conquer them and Ko-Jung- Hak(考證學) took the place of main ideology. Therefore China has been enhancing admiration for Ju-Ja. But there was someone who not match with Do-Tong(道統) and Hun-Go(訓詁) ideologists in Han(漢 )and Tang(唐). As Cho-Sun society made the peculiar ideology, the Cho-Sun Sung Confucianism, Mun-Myo system reflected that ideology. If ideology is different so does the culture and a culture could be expressed as a system. This is the reason for that Korean Mun-Myo system is different comparing with China.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중국 문묘 제도의 변천
Ⅲ. 삼국시대-고려 문묘제도의 변천
Ⅳ. 조선시대 문묘제도의 변천
Ⅴ. 결론 - 한국 문묘제도의 특색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지두환(Ji Doo hwan). (2008).한국 문묘제도의 변천. 국악원논문집, 17 , 211-248

MLA

지두환(Ji Doo hwan). "한국 문묘제도의 변천." 국악원논문집, 17.(2008): 211-24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