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과 유럽의 유량악보에 나타난 구성원리와 기능

이용수 119

영문명
A Study on Composing Principle and Function of Korean and European Mensural Notation - Focusing on the Comparison between Jeonggan-daegang and Notes
발행기관
국립국악원
저자명
이보형(Lee Bo hyung)
간행물 정보
『국악원논문집』제17집, 187~210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음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06.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한국 음악의 정간대강과 근대 유럽 음악의 음표는 시간 길이 유량악보라는데 일치하지만 구성원리는 정반대로 되어 그 기능에도 차이가 있다는 것을 살핀 것이다. 유럽의 음표는 시간량을 부호로 지시하는데 비하여 한국의 정간대강은 시간량을 공간량으로 양화하여 지시한다. 따라서 유럽의 음표가 지시하는 시간량은 음표가 적히는 공간량과 비례되지 않지만 한국의 정간대강이 지시하는 시간량은 정간대강이 적히는 공간량과 비례된다. 음표는 분할체계로 되었지만 정간대강은 집합체계로 되었다. 음표는 1:2로만 분할되는 단순 체계로 되었지만 정간대강은 1:2로 집합과 1:3으로 집합되는 복합체계로 되었다. 음표 구성원리가 상층위 하층위 무한층위로 되었으므로 정간대강의 경우에도 이와 대비하여 그 구성원리를 상층위 하층위 무한층위로 확대시키면 구성원리 차이는 더욱 분명하게 들어난다. 한국 음악의 정간대강과 근대 유럽 음악의 음표는 그 원리가 다르게 구성되어 그 기능에서도 차이가 난다. 유럽의 음표는 1:2 단순 분할 체계로 되어 지휘하는 박의 하층위 박이 2집합 할 경우에는 2/4와 같이 지휘하는 층위 박을 단위로 박자를 지시하지만 지휘하는 박의 하층위 박이 3집합 또는 2집합과 3집합으로 혼합집합 할 경우에는 6/8 5/8와 같이 지휘하는 박 층위의 하층위 박을 단위로 박자를 지시하는 예처럼 일정하게 한 층위로 박을 지시하지 못한다. 한국의 정간대강은 지휘하는 박의 하층위 박이 2집합할 경우에는 2소안정간으로, 3집합 경우에는 3소안정간으로, 2집합과 3집합으로 혼합집합할 경우에는 2소안정간과 3소안정간으로 혼합하려 적어 모두 정간 층위로 지시하여 지휘하는 층위 박을 단위로 박자를 일정하게 지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유럽 음표에서는 박의 층위를 일정하게 지시할 수 없지만 한국음악의 정간대강에서는 박의 층위를 일정하게 지시할 수 있다. 그래서 한국음악의 정간대강에서는 정간에 적는 박을 보통박, 정간의 상층위인 대강에 적는 박을 대박, 그 상층위인 대대강에 적는 박을 대대박… 정간의 하층위인 소안에 적는 박을 소박, 그 하층위인 소소안에 적는 박을 소소박… 하고 무한층위로 박을 일정하게 지시 할 수 있다. 한국과 유럽의 유량악보들이 그 구성원리의 차이로 나타나는 기능에 대하여 살펴보니, 유럽의 음표는 그 구성원리 때문에 박의 층위를 일정하게 지시 할 수 있는 기능이 없다. 그러나 한국의 정간 대강은 구성원리로 말미암아 박의 층위를 지시하는 기능이 있다. 그래서 유럽 음악에서는 음표로 박의 층위를 지시하는 용어를 만들기 어렵지만 한국의 정간대강은 그 구성원리로 보통박(정간박), 대강박(대박), 소안박(소박) 하고 박의 층위를 지시할 있는 기능이 있다. 유럽 음악에서는 음표로 박의 층위를 지시하는 용어가 없기 때문에 이것으로 박자의 층위를 지시할 수 없지만 한국의 정간대강은 보통박(정간박), 대강박(대박), 소안박(소박) 하고 박의 층위를 지시할 있으므로 이를 단위로 하여 보통박자, 대박자, 소박자 하고 박자의 층위를 지시할 수 있는 기능이 있다. 유럽 음악의 음표 체계에서는 박자의 층위를 지시할 수 없으므로 박자가 계층적으로 집합되는 것을 지시할 수 없지만 한국 음악의 정간대강 체계에서는 박자가 계층적으로 집합되는 구조를 지시할 수 있다. 그래서 유럽음악 음표 체계에서는 출현하는 매우 긴 음을 음표만으로는 박자의 계층구조를 지시할 수 없지만 한국 음악의 정간대강 체계에서는 매우 긴 음을 정간대강으로 계층적 박자 집합구조를 지시할 수 있다. 그러나 한국과 유럽의 시간량 유량악보들은 모두 음고량(音高量) 유량악보와 병기되는 체계로 되었지만 그 기보되는 방법은 다르다. 한국 음악에서는 시간량이 정간대강이라는 공간량으로 양화된 것에 음고량이 문자로 양화되어 얹히고 있지만 유럽음악에서는 시간량을 기호화 하고 음고량은 공간화 하였다. 그러나 이것들이 연동(連動)되어 발휘되는 효능은 다르다. 한국의 정간대강 악보에서는 시간량을 공간량화 하여 시간량을 지시하는 기능은 뛰어나지만 음고량을 공간량화 하지 못하여 많은 성부를 밀집하여 기보하지 못하여 복잡한 음형을 축약하여 기보할 수 없어 그런 효율성을 갖지 못한다. 하지만 유럽의 악보에서는 시간량을 잘못 부호화 하여 층위를 지시하지 못하는 결함이 있다 할지라도 부호화 된 음표를 공간적으로도 축약하여 적을 수 있고 이것이 공간량으로 양화된 음고량 악보와 함께 적히게 되면 관현악 총보를 피아노 보로 축약한 악보에서 보이듯이 다성적 음형이나 복잡한 음형을 축약하여 적을 수 있고 이를 능히 해석할 수 있어 매우 큰 효율성이 발휘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Korean music notation with Jeonggan and Daegang and European notation of modern period are the same in that both of them are mensural notations, while they are different in their function. Notes of European notation indicate the duration of tones. In comparison, the notation system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he length of time is marked in proportion to the space in which notation is written. While European notes are structured upon a dividing system, Jeonggan and Daegang in Korean traditional music relies on grouping system. One example is that the length of a Semibreve is divided in halves, is produced two Minims in Western music. In Korean notation system of Jeongganand Daegang, a number of Jeonggans are grouped into a Daegang. While the dividing principle is applied to notes in European notation system as shown Minim or a half note, Crotchet or a note divided in four, in Korean system, Jeonggan and Daegang are referred upon a grouping principle. European musical notation system is formulated upon a simple system of 1:2, however, Korean Jeonggan-Daegang system is made of compound system of 1:2 or 1:3. For example, the relative proportion of higher level notes to lower level (e.g.a Sembreve to Minim) is one to two and this proves the notes system is composed in simple system of 1:2. In Korean Jeonggan-Daegang system, as found in Two Jeonggan Daegang (Two Jeonggans grouped into one Daegang) or Three Jeonggan Daegang (Three Jeonggans grouped into one Daegang), the musical notes system is structured by compound system with the ration of 1:2 or 1:3. In actual music practice of both Western and Eastern music, with the exception of some specific cases, music normally is composed by grouping system in which components at lower level are grouped into a larger component at higher level. It is not difficult to identify more inconsistency in European musical notation system where grouping system of music is represented with dividing system than Korean Jeonggan-Daegang system in which grouping system of music is indicated by using the same grouping rule. In European musical notation system, when a music of fast 2/2 is notated, the number of beats indicated in notation andthe number of beats guided by a conductor are identical. However, in a music of fast 6/8, the number of beast in notation is represented in 6 beats, whereas a conductor would direct the music in two beat system. This is where the discrepancy between the numbers of beats indicated by notation and by a director do not correspond to each other. In modern European music, in case of music notated with the time signature of 2/4, the level of beats indicated by the time signature is in the same level of beats demonstrated by a director. However, in case of music notated with the time signature of 6/8 or 5/8, the level of beats indicated by the time signature and the level of beats guided by a director do not agree to each other. This proves that there is a discrepancy that the levels of beats used to indicate the time signature of a music are not always same. In Korean music, the opposite is true that the levels of beats used to show the music tempo are always consistent an so no such contradiction existing in European musical notation system is found. According to Korean Jeonggan-Daegang system, beats can be indicated according to their level from top down Botong bak (Jeonggan bak)-So bak(Soan bak)-Soso bak, or from bottm top Botong bak (Jeonggan bak)-Dae bak(Daegang bak)-Daedae bak. While Korean musical notation is good in marking the levels of time, it has limit in writing many notes(pitches) in a certain space. In comparison, Western musical notation has limit in marking the levels of time, it is efficient in writing many notes(pitches) in a certain space.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유량악보의 구성원리
Ⅲ. 구성원리 차이로 나타나는 기능 차이
Ⅳ. 시간량과 음고량 유량악보의 상호 연계성
Ⅴ. 맺는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보형(Lee Bo hyung). (2008).한국과 유럽의 유량악보에 나타난 구성원리와 기능. 국악원논문집, 17 , 187-210

MLA

이보형(Lee Bo hyung). "한국과 유럽의 유량악보에 나타난 구성원리와 기능." 국악원논문집, 17.(2008): 187-21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