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 음반자료의 보존과 활용

이용수 156

영문명
The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of Korean Phonograph Records Data
발행기관
국립국악원
저자명
배연형(Bae Yeon hyung)
간행물 정보
『국악원논문집』제17집, 115~145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음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06.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한국음반 아카이브를 설립하는 데 필요한 정책적 방향을 수립하는 데 참고가 되기 위해 한국 음반의 수집과 보존, 활용, 정책, 음반 아카이브의 설립 등에 대한 제반 문제를 개괄적으로 검토한 것이다. 한국음반은 1907~1958년은 유성기음반으로, 1958~1987년은 LP, 1987년 이후는 CD로 제작되었으며, 각 단계별로 약 10여 년간의 이행 시기에는 각 매체가 공존하면서 함께 생산되었다. 현재 생산이 중단된 SP, LP, 카세트 테이프 등 일반인들이 일상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녹음 매체를 수집하여 활용하기 위해서는 한국음악 음반아카이브를 설립하여야 한다. 또한 수집된 자료를 디지털화하여 인터넷으로 서비스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음향자료는 문자, 영상과 더불어 매우 중요한 민족적인 기록물이기 때문이다. 특히 1945년 이전에 녹음된 유성기 음반에는 많은 전통음악이 담겨있고, 이 가운데 상당수는 전승이 단절되어 있다. 1945년 이전 한국의 음반은 모두 미국과 일본에서 생산되었으므로 국내에는 마스터 녹음이 남아있지 않았다. 1945년 이후 해방공간에는 음반 산업이 매우 위축되었으므로 자료가 매우 빈곤하며, 특히 한국전쟁(1950~1953)으로 인해 많은 음반자료가 소멸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음반은 대량 생산된 복제품이므로 희귀한 음반을 수집하여 소유하고 있는 사람이 많이 있다. 국가나 공공기관에서는 이러한 음반을 수집하여 보존함으로써 개인의 수집품을 넘어서 겨레의 유산이라는 공공재(公共財)로 전환시켜야 한다. 이것은 우리의 삶의 질을 높이고, 민족의 문화를 보존하는 일이다. 한국음반 아카이브의 설립은 치밀한 계획과 준비를 거쳐야만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음반의 보존과 할용에 따른 문헌학적 이론 체계를 갖추어야 한다. 음반의 수집과 보존에 따른 시설과 시스템 구축, 계획적이고 치밀한 음반의 수집, 분류와 디지털화를 통한 DB구축 등이 차례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문제를 주관하여 추진할 기관을 결정하고, 이를 지원하는 일은 국가의 몫이 될 수밖에 없다. 또한 한국음반 아카이브를 설립하는 주체는 창의성과 유연성을 잃지 말아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In this treatise, the issues concerning Korean phonograph records and their collection, preservation, utilization, policy, and archives were summarily examined. As there is currently a dearth of basic research on Korean phonographs, this treatise was written to present the policy direction that is needed to establish an archive for Korean phonograph records. Korean phonograph records were produced in the form of SP records from 1907 to 1958, in the form of LP records from 1958 to 1987, and in the form of CDs from 1987 onwards. In the approximately 10-year transition period at each stage, the aforementioned records media coexisted and were produced along with the others. The SP records, LP records, and cassette tapes, which are no longer being produced, should be collected and kept in a national archive for Korean phonograph records. Moreover, it is very important to digitize the collected data and to provide relevant Internet services as sound data, along with letters and images, are very important national records. Especially, the SP phonograph records that were recorded before 1945 contain historic traditional music, and a considerable number of these were no longer handed down to the present generation by the past ones. Since all the Korean phonograph records that had existed before 1945 had been produced in the U.S. and Japan, no master record stampers were left in colonized Korea. Furthermore, from 1945 onwards, the phonograph recording industry sharply shrank due to poverty, and a great amount of sound data got lost during the Korean War (1950-1953). Nonetheless, as phonograph records are mass-produced reproduction copies, it would be reasonable to suppose that there are a number of people who had collected these rare phonograph records and who still have them in their possession. The government and public institutions should collect such phonograph records and convert them from personal collections into public property, as part of our national heritage. Doing so will enhance the quality of our lives as a people and will contribute to the preservation of our national culture. Korean phonograph records archives should be established based on elaborate plans and preparations so that unnecessary mistakes in the process of doing so could be avoided or minimized. Towards this end, a system for preserving phonograph records, and a philological-theories system, should be put in place. The construction of facilities and systems for collecting and preserving phonograph records, the elaborately planned collection and classification of phonograph records, and the construction of a digitized database, among others, should be carried out in good order. The organization that will take charge of and will push these matters forward should be decided, and the government should provide support to these projects and to such organization. The institution that will be mainly tasked with the establishment of an archive for Korean phonograph records should be equipped with creativity and flexibility.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음향자료에 대한 개념적 접근
Ⅲ. 한국 음향 기록물의 현황
Ⅳ. 음반 수집 대상과 방법
Ⅴ. 결론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배연형(Bae Yeon hyung). (2008).한국 음반자료의 보존과 활용. 국악원논문집, 17 , 115-145

MLA

배연형(Bae Yeon hyung). "한국 음반자료의 보존과 활용." 국악원논문집, 17.(2008): 115-14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