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시대 노자주석의 연구 경향과 전망

이용수 265

영문명
Research trend and outlook of Lao-tzu’s annotations in the Joseon period
발행기관
한국동양철학회
저자명
이봉호(Bong ho Lee)
간행물 정보
『동양철학』東洋哲學 第45輯, 219~248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7.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조선시대 노자 주석은 현재까지 5종이 발굴되어 연구되고 있다. 노자의 주석은 조선시대를 관통하면서 다양한 이해의 폭을 보여준다. 주석자 자신만의 철학적 이해를 보여주기도 하고, 주석자가 활동한 시대적 상황과 철학적 입장들이 하나의 흐름을 보여주는 것으로 보이기도 한다고 평가된다. 조선시대 다양한 노자 주석서를 이해하는 현대학자들의 방식은 첫째, ‘闢異端論’이 있다. 벽이단론은 유학의 정통성을 확보하기 위해 이단을 공격하는 논리로 『노자』 주석이 진행되었다는 입장이다. 이 입장은 유학을 정통의 학문으로 정립하기 위해 노장을 거짓학문으로 규정하는 과정에서 사상적 투쟁의 성격이 강한 주석이라고 본다. ‘벽이단론’을 통해 유학은 자신들의 이론을 보완하거나 회통하는 시도로서 노장을 해석하는 경향, 즉 ‘以儒釋老’의 관점으로 전환된다고 본다. 이것이 둘째, ‘以儒釋老’의 관점이다. ‘이유석노’라는 관점은 중국학자인 嚴靈峰에 의해 제기되고, 한국에서는 金吉煥에 의해 도입되었다. 이 관점은 한국에서 노장을 연구하는 학자들의 주류 관점이 되어 노자와 장자에 대한 다양한 주석자들의 입장과 철학적 사유를 재단하는 기준으로 작동한다. 한국 역사에서 유독 조선에서 『노자』 주석서가 탄생하고 있는 점에 비추어 본다면, 이들 주석서는 주자학의 관점에서 ‘이유석로’의 입장을 취한다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입장을 취하면 주석자의 사유를 일방적으로 재단하거나 그의 철학적 시각을 사상(捨象)하는 위험이 있다. 이러한 입장과 달리 셋째, ‘탈주자학적 관점’에서 노자 주석서를 이해하려는 시각이 있다. 이 시각 역시 주자학이 기준이다. 주석자가 주자학적 사유를 견지하느냐 벗어났느냐는 사실만으로, 그의 노자의 주석을 탈주자학적 관점에서 주석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하지만 이러한 관점은 사상사의 흐름과 노자이해의 흐름을 일치시켜 판단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그런데도 사상사적 판단이 아니라, 단지 주석자가 주자학적 사유를 벗어났다는 이유만으로 탈주자학적 노자이해라고 재단하는 문제가 있다. 마지막의 관점은 넷째, ‘사상사적 흐름’으로 보려는 시도이다. 이는 시대적 흐름에서 주류 사상을 특정하고 이에 따른 노자 이해를 하나의 사상사로 정리하려는 시도이다. 몇몇 학자들에 의해 시도된 이러한 연구는 시대의 흐름을 사상사적으로 특정하는 선행연구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그러한 한국사상사의 흐름에서 노자의 이해를 어떻게 바라볼지에 대한 세밀한 연구가 필요해 보인다는 점에서 아직 부족한 점이 보인다. 본 연구는 조선시대 노자 주석서들을 연구하는 입장들을 정리하고, 이들 연구방법에서 문제점이 무엇인지를 해명하였다. 이러한 연구방법의 문제를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정리하고자 노자 주석서들의 연구경향들을 따로 정리했다.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노자 연구의 전망들을 제시하면서 새로운 시각들과 입장들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Five versions of Lao-tzu’s annotations in the Joseon period have been found and they are being studied. Lao-tzu’s annotations shows diverse understanding of Lao-tzu, embracing the Joseon period. It represents not only one trend which includes annotators’ philosophical point of view and a situation of that time but also one’s unique philosophical understanding. However, there is a predominant view to see Lao-tzu’s annotations as a single standpoint. This dominant view is ‘Iyuseokno’ which interpret Lao-tzu and Chuang-tzu from Confucian view. The ‘Iyuseokno’ point of view was posed by Chinese scholar, Yan Lingfeng and it was introduced to Korea by Kim Gil Hwan. This view became the mainstream standpoint for scholars studying Lao-tzu and Chuang-tzu in Korea. Moreover, it became standard judging scholars’ stance and philosophical thinking. However, if this view is adopted, it is likely to overlook annotators’ thinking and ignore philosophical view of annotators. Contrary to this standpoint, there is an attempt to regard Lao-tzu’s annotations as a stream of ideology. To be specific, it is an attempt to specify mainstream ideology with the stream of times and construct cognizance by Lao-tzu into one pensee. This study done by a few scholars is required to have a precedent study to specify the stream of times ideologically as well as a detailed study how to perceive cognizance by Lao-tzu with Korean ideology. This study organises stances for studying Lao-tzu’s annotations in the Joseon period. Furthermore, this study explains what is wrong in their method of study. On the basis of this study, it suggests outlook for a further study of Lao-tzu and emphasise that new perspectives and stances are needed.

목차

논문요약
1. 머리말
2. 조선시대 유학자들의 ‘闢異端論’과 그에 대한 해석
3. ‘以儒釋老’ 혹은 ‘脫朱子學’이라는 해석틀
4. ‘사상사’ 혹은 하나의 관점으로 조선조 노자 주석을 보려는 시각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봉호(Bong ho Lee). (2016).조선시대 노자주석의 연구 경향과 전망. 동양철학, 45 , 219-248

MLA

이봉호(Bong ho Lee). "조선시대 노자주석의 연구 경향과 전망." 동양철학, 45.(2016): 219-24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