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소비자의 성역할과 크로스젠더 브랜드 확장 평가

이용수 347

영문명
Gender-Role of Consumers and Cross-Gender Brand Extension Evaluations
발행기관
한국소비문화학회
저자명
김현철(Kim, Hyun-Chul) 김준석(Kim, Joon-Seok)
간행물 정보
『소비문화연구』제19권 제4호, 83~109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12.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 개인의 성역할은 그를 둘러싼 사회문화적 환경에 따라 변화되고, 생물학적 성보다 더 강하게 소비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그러나, 그동안 진행되어온 크로스젠더 브랜드 확장 연구에서는 생물학적 성을 기반으로 소비자들을 집단화하여 이에 따른 크로스젠더 브랜드 확장에 대한 평가 차이를 연구해왔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소비자가 지각하는 모브랜드 네임-확장제품 간의 젠더 일치성과 불일치성의 정도를 평가 하여 크로스젠더 브랜드확장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절대값 차이를 이용한 자아이미지 일치성 평가(Sirgy 1982)를 응용한 젠더 일치성 평가 방법을 고안하였다. 그리고 이번 연구의 핵심 주제인 소비 자의 성역할에 따른 크로스젠더 브랜드확장에 대한 평가 차이를 살펴보았다. 이것은 변화하고 있는 성에 대한 사회인식을 반영한 것으로 소비자연구에 있어 매우 중요한 이슈이며, 지금까지 국내의 크로스젠더 브랜드 확장 연구에서는 시도되지 않았다. 실증분석을 위해 8개의 크로스젠더 브랜드 확장 시나리오에 대해 국내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 였고, 420개의 유효한 데이터에 대해 구조방정식모델을 이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젠더 일치성 평가 방법을 적용하여 시도한 모브랜드 네임-확장제품 간의 젠더일치성 또는 불일치성이 크로스젠더 브랜드 확장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설검증에서 변수간의 유의한 영향관계가 나타났고, 이를 통해 젠더 일치성과 불일치성을 계량변수화한 평가방법의 적용이 타당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크로스젠더 브랜드 확장 평가에 미치는 영향력은 소비자의 성역할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기업의 성공적인 브랜드 확장을 위한 목표소비자 세분화에 있어 그들의 성역할 변화와 같은 사회적 인식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는 점이 강조되 었다.

영문 초록

The gender-role of individuals varies depending on the socio-cultural environment surrounding him/her. It has been shown to affect the propensity to consume stronger than biological sex. In so far forwarded to come cross-gender brand extension research, segmentations of the consumer on the basis of the biological sex have been study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evaluation of cross-gender brand extension. In this study, first, researchers estimate the level of gender congruency(or discordancy) between a mother brand name and an extended product that consumers perceive, and evaluate the effects of the gender congruency on consumer’s cross-gender brand extension evaluations. For estimating gender congruency, researchers adopt absolute-difference models for self-image congruence study(Sirgy 1982) and develop the gender congruency estimation formula. Second, as a major concern of this study, researchers analys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evaluation of cross-gender brand extension due to the gender-role difference of consumers. This concern is reflection of the social recognition of sex has changed, it is very important issues of the consumer study. So far, it has not been attempted in Korean cross-gender brand extension studies. For an empirical stud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is employed to analyze the applicable 420 questionnaires form Korean consumers with eight cross-gender brand extension situation. The result, which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the gender congruency on consumer’s cross-gender brand extension evaluations, confirms that an applicability of the gender congruency estimation formula developed in this study. And, the results from multi-group analysis show that each group of consumer’s gender role has different effect on the path between the gender congruency (or discordancy) and the cross-gender brand extension evalu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방법
Ⅳ. 사전조사
Ⅴ. 본조사 분석결과
Ⅵ.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현철(Kim, Hyun-Chul),김준석(Kim, Joon-Seok). (2016).소비자의 성역할과 크로스젠더 브랜드 확장 평가. 소비문화연구, 19 (4), 83-109

MLA

김현철(Kim, Hyun-Chul),김준석(Kim, Joon-Seok). "소비자의 성역할과 크로스젠더 브랜드 확장 평가." 소비문화연구, 19.4(2016): 83-10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