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韓中詩史] 收錄 韓中 外交와 使行詩에 대하여

이용수 96

영문명
On the Korea-China Diplomatic Ties and Envoy’s Diplomatic Poems in [A History of Korean and Chinese Poetry
발행기관
포은학회
저자명
엄경흠(Eom, Gyeong-Heum)
간행물 정보
『포은학연구』제18집, 263~297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12.30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중시사]는 한국과 중국의 오랜 관계 속에서 시의 창작이 가능했던 상황들을 제시함으로써 시에 대한 이해가 더욱 깊어지도록 한 점, 창작된 시의 표현을 통해 외교 상황을 이해하고, 서로의 외교 관계 변화에 따른 인식의 변화를 읽을 수 있는 점, 시의 창수와 경쟁을 살펴봄으로써 양국 시인들의 시적 발전을 살펴볼 수 있는 점 등에서 대단히 유용한 책이다. 필자는 한중시사의 한·중 사행시를 살펴본 결과 시대 상황과 국제 관계에 따른 양국 사행시의 변화를 전체적으로 읽을 수 있었다. 이러한 유용함에도 불구하고 이 책에서 지적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과 한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사절의 사행시는 설화에 가까운 이야깃거리로 인용하면서 제대로 된 고증을 하지 않았다. 둘째, 唐과 宋에 국한하여 金과 元 및 契丹과의 관계에 있어서는 사행시가 전혀 없는 것처럼 설명하고 있다. 예를 들면, 李承休, 鄭夢周, 鄭道傳, 李崇仁 등 麗元 및 元明 교체기에서의 사행시에서 원과의 관계가 충분히 표현된 작품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언급이 없다. 셋째, 중국 시인과 한국 시인의 시적 능력을 비교하는 내용을 제시하거나, 필자가 논평을 하여 한국 시인의 실수 및 시적 열등성을 표현하는 내용이 대부분이다. 넷째, 중국 사절의 사행시는 단 한 수를 제외하고는 모두 전송시만 인용 하였다. 송시가 상당히 객관적인 외교 관계에 대한 인식을 보인다는 점에서는 긍정적으로 받아들일 수도 있으나, 사행시의 특징인 다양한 외교적 상황의 묘사나 양국에 대한 상호 인식의 표현들을 볼 수 없도록 하였다. 다섯째, 중국 사절의 사행 및 사행시의 창작이 뒷시대까지 이어짐에도 불구하고, 일정한 시기에서 단절된 것처럼 정리하고 있다. 여섯째, 여금, 여원 관계는 마치 평화로운 상황만 처음부터 지속되었던것처럼 설명하고, 시를 제시하여 다양한 상황의 전개나 시의 표현을 볼 수 없도록 하였다. 특히 여원 관계에서 李齊賢, 李穡 등이 중국인들과 교유하고 증수한 예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내용은 모두 빠뜨렸다. 필자가 [한중시사]를 읽고 이해하고자 했던 시기는 외교 관계의 모든 경우들이 혼재한 상황이다. 이러한 외교 행위에서 창작되어진 사행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국가가 함께 하는 외교의 장에서 일어날 수 있는 상황을 제대로 제시하고, 다양한 시들을 제대로 고증 인용하여 외교 상황이 제대로 표현되고 있는지, 창수의 경우라면 서로가 어떠한 교류의 감정과 외교적 사고를 교환하고 있는지, 이를 통한 시의 전개와 발전은 어떻게 가능했는가등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영문 초록

A History of Korean and Chinese Poetry is a exceedingly useful book in such points as it makes us deepen poetry understanding by presenting situations possible to create poems in the long relationship of Korea and China, as it leads us to comprehend then diplomatic situations and changes of recognition in the bilateral diplomatic tie, and review poetic developments of two nations’ poets with a focus on poems created and exchanged competitively. After reviewing poems written by Korean and Chinese diplomatic envoys in A History of Korean and Chinese Poetry, I could find out general changes in diplomatic poetry of both countries depending on international relations. In spite of above mentioned usefulness, the book has the following limits. First, Korean envoy’s diplomatic poetry is cited as a story similar to a folktale and its historical truth has not been ascertained. Second, the book limits its explanation to the Tang Dynasty and the Song Dynasty hinting there was no diplomatic poetry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Jin Dynasty, Yuan Dynasty and Khitan. For instance, even though such envoys as Lee Seung-hyu, Jeong Mong-ju, Jeong Do-jeon and Lee Sung-in described in their diplomatic poems the tie between the Goryeo Dynasty and the Yuan Dynasty in the transition period from the Yuan to Ming Dynasty, no mention is made. Third, it presents contents comparing abilities of Chinese and Korean poets and points out errors and poetic inferiority of Korean poets in the author’s reviews. Fourth, all Chinese envoys’ diplomatic poems cited are farewell verses except one. These parting poems are in a sense positively received as they reveal a fairly objective recognition of the diplomatic relationship, but descriptions of diverse diplomatic situations and their awareness, features of envoy’s diplomatic poetry, are not found. Fifth, though Chinese diplomatic envoys and their creation of poetry continued up to later years, the book concludes these activities were done in a particular period. Sixth, Only the peaceful period was explained as continued from the beginning of the ties between Goryeo and Jin, Goryeo and Yuan, and so it is not possible to see developments of various situations and poetic expressions. Especially, the cases that Goryeo scholars Lee Je-hyeon, Lee Sak and Lee Seung-hyu had mutual social intercourses with Chinese in the period of the Yuan Dynasty are all missing. The period I tries to understand by reading A History of Korean and Chinese Poetry is the circumstances where all the cases in diplomatic relations were mingled. To comprehend the envoys’ poems created in these diplomatic acts, all situations occurring in the diplomatic field concerning many nations should be properly presented, diverse poems should be historically investigated and cited to confirm that diplomatic situations are rightly described, and what emotions of social intercourse and diplomatic thoughts transmitted in the cases of exchanging poems and through these literary exchanges, what poetic developments possible should be examined.

목차

Ⅰ. 서론
Ⅱ. 편찬 경위의 문제
Ⅲ. 한국사신 대중국 사행시
1. 唐 사행
2. 宋 사행
Ⅳ. 중국사신 대한국 사행시
1. 唐대 사행
2. 宋대 사행
3. 金・元대 사행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엄경흠(Eom, Gyeong-Heum). (2016).[韓中詩史] 收錄 韓中 外交와 使行詩에 대하여. 포은학연구, 18 , 263-297

MLA

엄경흠(Eom, Gyeong-Heum). "[韓中詩史] 收錄 韓中 外交와 使行詩에 대하여." 포은학연구, 18.(2016): 263-29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