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울산 여성의 노동시장 지위

이용수 204

영문명
Labor Market Status of Women in Ulsan
발행기관
지역사회학회
저자명
이성균(LEE Sung kyun)
간행물 정보
『지역사회학』지역사회학 제17권 제3호, 127~155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12.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울산지역 여성의 노동시장 지위를 울산 남성 및 전국 여성과 비교하여 성별 격차의 지역적 특성을 분석한다. 실증분석결과에 의하면, 성별 직종·지위 분리현상은 전국 평균보다는 울산지역 노동시장에서 좀 더 명확하다. 울산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은 다른 두 집단에 비하여 더 낮아, 경제활동인구와 비경제활동인구의 분리정도가 울산 여성에서 가장 높다. 또한 직업별로는 여성 취업자가 사무관리직 등 특정한 직업지위 부문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더 높지만, 기능원 및 기계조작 종사자 등 생산직에서의 비중은 전국 여성 평균보다 울산 여성에서 더 낮다. 경력단절 여성의 취업구조도 이러한 경향에서 벗어나지 않으며, 특히 이들의 임시일용직에서의 비중이 여성 일반보다 더 높다. 이것은 중화학공업도시 생산직 일자리가 과도하게 남성 중심이며, 서비스부문의 일자리 규모가 다른 대도시 지역보다 더 적어 여성의 일자리 선택 폭이 제한된다는 지역적 특성을 나타낸다. 노동시장에서의 성별 분리는 성별, 지역별 임금격차에도 영향을 미친다. 울산 여성의 고학력에 따른 임금 프리미엄 폭은 남성에 비하여 낮으며, 직업별로도 울산지역 대기업 생산직의 임금 프리미엄 효과는 울산 여성에서 나타나지 않는다. 또한 동일한 직업이라고 하더라도, 울산 여성 상용직이 임시일용직에 비하여 갖는 임금프리미엄 효과도 남성 상용직 만큼 높지 않다. 경력단절 여성도 노동시장에서의 위계적 분절구조에서 차지하는 지위와 가정 내 성역할 수행에 따른 경력단절경험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 저임금계층으로 존재한다. 따라서 울산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을 높이고 취업자의 고용지위를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일자리사업이 필요하며, 특히 경력단절여성의 취업 활성화를 위하여 고용지원프로그램과 복지프로그램을 통합하는 종합대책이 시급히 요청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local characteristics of gender gap in Ulsan, by comparing them with those at the national level. The empirical result shows that the sex segregation is more distinct in Ulsan than in the nation. The rate of economically active participation is lower among women in Ulsan than men in Ulsan and women in the nation, showing the gap between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and non-active population is larger in Ulsan. By the occupational hierarchy, however, the share of the female employment at the white collar jobs is higher in Ulsan, and the share at the production-related jobs is even lower than the share in the nation. The share of the job discontinued women in the temporary and daily positions is especially higher in Ulsan. This comes from the local characteristics that the main job of Ulsan, production-related jobs, is mainly male dominant. The lack of service industry also limits the choice of female job seekers. The sex segregation affects the wage gap by gender in Ulsan. While the educational achievement does not lead to so high wage for female employees as for male counterparts, the positive effect of the male production jobs on wage does not occur to female at the same jobs. Even the wage gap between regular position and irregular position at the same jobs is higher for the male employees than for the female ones. Especially, the job discontinued women receive lower wage than other employees, which came from the low position in the hierarchical labor market structure and the domestic labor and sex role at home. Thus we need several policies to raise the economically active participation rate and to increase the employment status of the women in general, and the comprehensive public policies to combine employment programs and welfare programs for the job discontinued women in Ulsan.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시각
Ⅲ. 실증분석 자료 및 방법론
Ⅳ. 취업자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성균(LEE Sung kyun). (2016).울산 여성의 노동시장 지위. 지역사회학, 17 (3), 127-155

MLA

이성균(LEE Sung kyun). "울산 여성의 노동시장 지위." 지역사회학, 17.3(2016): 127-15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