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해금의 말>과 <바람의 춤> 분석론

이용수 22

영문명
Analysis of The Haegeum s Speech and Wind Dance
발행기관
국립국악원
저자명
이해식(Lee Hae sik)
간행물 정보
『국악원논문집』제25집, 177~218쪽, 전체 42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음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6.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해식 작곡 <해금을 위한 상>(1977)은 빛의 공간을 소리의 공간으로 상상해본 작품이다. 그러니까 이 작품은 소리로 듣는 한 장의 사진이랄 수 있다. 이 작품에서 구사되는 다양한 리듬은 사진에서 구사할 수 있는 구도(構圖 composition)요명암(明暗 contrast)이라 하겠다. 사진에서 렌즈는 보이는 것은 다 본다고 했다. 이것을 해금으로 바꾸어보면 해금이 최대로 구사할 수 있는 소리의 공간, 즉 넓은 광각(光角 wide angle)이고, 이 소리 공간을 두 줄로 긋는 글리산도의 형상이 소리라는 피사체(被寫體 object)이다. 이 작품은 시각과 청각의 공간을 공유함으로써 가장 고전적인 조선(朝鮮)의 해금이 가장 현대적인 창작음악으로 통함을 실증(positivity ←positive)한 것이다. 헤미올라는 한국음악에서 가장 본질적인 리듬이다. 엇붙임 장단인 이 리듬은 <해금을 위한 상>에서 장고와 대점(강박)이 교차(交差, intercross)되는 겹(複)리듬(polyrhythm)을 이루어서 <해금의 말>을 빛나게 한다. <해금을 위한 상 >이 빛의 공간과 소리 공간의 공유라면, 이해식 작곡 <바람의 춤(風舞 1979)>은 넘나듬의 바람으로 문풍지(門風紙)를 울리는 청각과 시각을 동일시한 작품이다. 바람은 가늠할 수 없는 우주의 호흡이어서 자주 내 작품의 화두(話頭)가 된다. 이런 우주 호흡이 함축된 민요가 곧 <둥당애타령>이다. 활은 <둥당애타령>에서 하늘-우주-과 땅이 내통하는 매체(media-신대-神竹-)이며 바가지가 공명하는 덩기둥당애 둥덩덩 은 우주 소리(musica mundana)가 강림함이다. 이러한 우주의 소리는 <바람의 춤>에서 극작적(劇作的 dramaturgical)으로 변주된다.

영문 초록

The image for the Haegeum(1977) composed by Lee Haesik is a work imagining light space as sound space. Various rhythms commanded at this work can be properly said to be a composition to command at a photo. At the photo, a lens is said to see what are seen. This is a wide angle of sound the haegeum can command maximumly, the glissando of this sound space is an object. This work posits that the most classical haegeum in Joseon(朝鮮) Dynasty passes as the most modern creative music. Hemiola is the most basic rhythm in Korean music. This kind of baffled rhythm highlights the haegeum composing the jango(杖鼓) at The image for the haegeum and polyrhythm with discrepant beat. Wind dance(風舞 1979) composed by Lee Haesik is the wind frequenting, which is a work synchronizing auditory and visual senses ringing paper weather strips. It is a universe s breath unmeasurable, so it becomes the topic of a work more often than not. The folk song with this universe s breath reduced is the very Dungdangae Taryeong(둥당애 打令). The bow is a media(divine bamboo-神竹-) communicating the heaven-the universe-the earth, and the sound of Deonggidungdangae(덩기퉁당애) resonating with a gourd is descent from Heaven. This universe s sound is dramaturgically varied at Wind dance.

목차

<국문초록>
Ⅰ. 첫말(entrance)
Ⅱ. 해금에 관하여
Ⅲ. <해금을 위한 상 > - 윤신향의 논문에 기(基)하여 -
Ⅳ. <바람의 춤[風舞]>
Ⅴ. 끝말(summary)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해식(Lee Hae sik). (2012).<해금의 말>과 <바람의 춤> 분석론. 국악원논문집, 25 , 177-218

MLA

이해식(Lee Hae sik). "<해금의 말>과 <바람의 춤> 분석론." 국악원논문집, 25.(2012): 177-21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