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김세종제 춘향가 <천자뒤풀이> 작창법 연구

이용수 162

영문명
Research on the creative method presented in Cheonja Dwepuri in Chunhyangga in the style of Master Kim Se Jong
발행기관
국립국악원
저자명
김수미(Kim Su Mi)
간행물 정보
『국악원논문집』제25집, 23~50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음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6.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정노식의 조선창극사에 기록된 김세종의 <천자뒤풀이> 사설은 현재 성우향이 전하는 사설과 거의 비슷하다. 김세종 당시의 음원을 들을 수 없어서 현재 불려지는 <천자뒤풀이>와 음악적인 비교는 불가하나, 사설의 가감 없이 현재 전승되고 있는 점을 미루어 볼 때, 이미 음악적인 가치는 반증된다 하겠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우향의 <천자뒤풀이>를 채보하여 분석 연구함으로써 작창법 관점으로 이를 해석하고자 하였다. 사설과 붙임새, 선율과 악조, 변청과 변조 등을 중심으로 살펴본 결과, 작창자의 의도를 추론할 수 있는 방식들이 확인되었다. 첫째, 원래 송서체의 <천자뒤풀이>는 사설과 운율이 매우 규칙적이다. 이를 중중모리 장단으로 불렀을 때, 매 각에 해당하는 사설의 비중을 거의 똑같이 배치함으로써, 송서체의 느낌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사설에 따른 붙임새의 유형은 대마디 대장단을 근간으로 하되, 엇붙임·잉어걸이·완자걸이 붙임새를 매우 다양하고 고루게 쓰고 있었다. 이런 붙임새의 활용은 규칙적인 운율의 사설에서 나타나는 단조로움을 피하게 되어, 가창시에 고수와의 역동성이 극대화 될 수 있다. 셋째, <천자뒤풀이>는 편의상 d본청으로 채보하였다. 전체 62각 중, 1~24각까지는 d본청 우조로 부르지만, 25각부터는 변조와 변청이 매우 다양하게 나타났다. 이는 작창력을 겸비한 창자가 여러 유형의 선율형에 익숙하여 본청과 변청을, 본조와 변조를 자유자재로 넘나들 때라야만 가능하다. 그리고 25각부터 나타난 변조와 변청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고 있는 점으로 보아, 작창자의 계산된 작창법이 적용됐으리라 짐작된다. 넷째, 사설에 나타난 대조법과 댓구법이 선율에서도 그대로 나타났다. 이는 작창자가 사설에 매우 충실하였음을 알 수 있고, 판소리에서 매우 중요하게 여기는 이면의 표출과 상통한다 하겠다. 또한 천자문의 뜻풀이가 각각 다른 것처럼, 중복선율이 많지 않고 전체적으로 다양한 선율을 씀으로써 <천자뒤풀이>의 작창력을 끌어올렸다. 이상으로, 성우향이 전하는 김세종제 춘향가 <천자뒤풀이>에 나타난 작창법은 장단과 선율을 통한 사설의 충실한 이면 그리기 이다. 이 때, 사설의 정형성으로 인한 단조로움과 음악적인 지루함을 피하기 위하여, 다양한 붙임새 구사와 변조·변청의 넘나듬은 <천자뒤풀이>의 음악적인 완성도를 높였다 하겠다.

영문 초록

The text of Kim Sejong s Cheonja Dwepuri (The Thousand Characters) documented in the history of Joseon traditional opera by Nohsik Jung is quite similar to that of the preservation style of Master singer Seong Uhyang. The impossibility of listening to the sound source from sp recordings at the time of Kim Sejong disables musical comparison with Cheonja Dwepuri performed until the present. However, the fact that the text has been transmitted without making any modification until today plays significant role of verifying the musical worth. Therefore this research and analysis intends to interpret Cheonja Dwepuri by the transcription sung by Master Sung Uhyang in the perspectives of the creative method. The methods of interfering the singer s intention are ascertained by the studies of text, butch imsae (the appearance of the combination of text and rhythmic pattern), melody, choice of modes, transposition, and modulation. Firstly, the original Cheonja Dwepuri in the style of Songseoche repeats regular text and rhythms. The songs in jungjungmori rhythm creates a Songseoche impression as it is by employing text equally into corresponding measures. Secondly, the styles of the text setting in accordance to text are on the bases of large phrasing measures and full cycle of the appropriated rhythm pattern. However, they uses various rhythms, irregular text settings, including ineogeori, wanjageori equally. The usage of the text setting precludes monotony appeared in systematical meter, resulting in the greatest dynamics between singer and drummer. Thirdly, Cheonja Dwepuri is transcribed in the d (as being heard in the recording) for the sake of convenience. The d in ujo sings in 1 through 24 out of all 62 measures. Modulation and transposition variously appear from 25 measure. The various techniques are enabled by a performer who is capable of composing, singing various melodies comfortably, an performing easily on the original key, transposed key, original mode, and modulated mode. In addition, modulation and transposition appeared from 25 measure in regular spaces are presumed that the singer takes compositional method into consideration. Fourthly, the comparative method and text settings in narrations appear on melody as they are. It approves that the singer is faithful to the narration of the text. The expression of the hidden side considered the upmost importance in pansori more comprehensive and communicative to the listeners. Furthermore, as in the text, The Thousand Characters has its own meaning respectively, the creativity of the singer is elevated by adopting various melodies and avoiding repetitive melodies. In conclusion, the creative method presented in Cheonja Dwepuri in Chunhyangga in the style of Master Kim Se Jong Master Sung Uhyang displays a drawing of a hidden side, the loyal to rhythm and melody according to text. The musical elevation of Cheonja Dwepulli is accomplished through various text setting usage, modulation, and various levels of transposition, which avoid simplicity in a fixed form and musical monotony.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사설구조와 붙임새
Ⅲ. 악조와 선율구조
Ⅳ. 결론
<참고문헌>
<참고악보>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수미(Kim Su Mi). (2012).김세종제 춘향가 <천자뒤풀이> 작창법 연구. 국악원논문집, 25 , 23-50

MLA

김수미(Kim Su Mi). "김세종제 춘향가 <천자뒤풀이> 작창법 연구." 국악원논문집, 25.(2012): 23-5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