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오용록의 작품세계

이용수 25

영문명
The Realm of Musical Works by Oh Yong-Rok
발행기관
국립국악원
저자명
윤혜진(Yoon Hye Jin)
간행물 정보
『국악원논문집』제25집, 119~153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음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6.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생전(生前)에 학자로 주로 활동하였던 오용록(1955~2012)이 작곡한 작품들을 살펴보고 그의 작품세계를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한국음악이론이 원래 작곡과 이론을 포함하였던 초기 작곡이론전공의 형태를 염두에 둔다면 그의 연구에서 기존연구의 방법론을 넘어서 창의적인 분석 개념과 체계를 적용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는 배경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또한 학자 오용록이 작곡가로서 창작작업에도 지대한 관심을 기울였음은 당연하다. 한국음악학 학자로 잘 알려진 오용록을 작곡가로서 조명하여 그의 작품세계를 다루는 것은 창작작업 뿐 아니라 이론연구 또한 연계하는 관점이 요구된다. 특히 한국음악창작은 시대적 논제와도 직결되는 만큼 그의 작품세계는 양자를 아우르는 통합적 시각이 적용되는 것이 적절하리라고 본다. 오용록은 학자로서 한국음악의 시대적·사회적 담론을 형성하는 여러 논의에서 비판적 견지와 대안적 미래를 음관계론 및 형성론 연구를 통해 고심하였고 동시에 작곡가로서 창작작업에 적용하고자 한 인물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그의 작품세계는 이론적 연구와 창작을 함께 연계하여 이해할 수 있는 통합적인 지점이 된다. 오용록은 첫 공식작품으로 1982년에 <빈산>을 작곡하였고 10년 뒤에 <발해성>(1992)과 <땅>(1992)을, 그리고 마지막 작품으로 <수트라>(1996)를 발표하였다. 이들 네 작품으로 작품세계를 논하기에는 분명 한계가 있으며, 작품세계를 일구는 하나의 맥락을 논하는 것 또한 한정적이다. 그러나 네 작품을 작곡하는 배경에는 한국음악의 형성론과 창작어법을 논의해왔던 그의 이론연구가 있다. 그가 연구해왔던 개념과 이론을 실제 작품에 적용한 바는 이론연구와 창작작업을 밀접하게 연계해왔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한국음악의 정체성과 창작어법에 대한 논의가 한국음악작곡 분야에서 중요 담론이라고 한다면 오용록은 그러한 담론을 이론연구와 창작이라는 두 작업을 통해 펼쳐왔다. 오용록의 네 작품은 순수 기악음악이 아니라 시와 극적 내용이 있는 성악음악과 무용음악이다. 노랫말을 선택하거나 무용작업과 같은 공동 작업을 하는 데에는 시·극 내용·타작업자와 작곡가 간의 주제의식이 공유되었을 때 가능하다. 그러기에 <빈산>·<발해성>·<땅>·<수트라>에는 주제의식이 음악적 해석을 거쳐 작품으로 표현되고 있는 일련의 맥락이 관통되는데, 시대의식과 한국음악어법에 대한 고민, 이 두 가지 주제의식이 작품들을 하나로 연계하고 있다. 이 두 주제의식은 시대에 깨어있는 정신, 노래가사의 선택, 악곡의 구조적 구성, 전통적 음관계론과 음 기능의 분석과 적용, 기존 음악계에 대한 비판적 성찰 등으로 해석·적용되어 네 작품을 하나의 맥락으로 엮어나가고 있다. 오용록의 창작작업은 이론과 창작이 만나는 지점을 지향하고 있다. 이론연구로서 한국음악의 분석과 창작방법을 논의하였고 창작작품을 통해 시대의식과 창작어법의 적용을 시도하였던 오용록의 이론과 창작 작업을 통해서 한국음악창작의 방향과 고민을 심화할 수 있다고 본다. 오용록 사후(死後) 1주년을 맞이하여 그의 작품세계를 처음으로 논하는 이번 논문이 한국음악창작 영역에 성찰의 여지를 더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영문 초록

This is to discuss about the realm of musical works composed by Oh Yong- Rok(1955~2012), who had been mainly a Korean music scholar rather than a composer during his life. Considering that the subject of Korean music theory was the one combined by theory and composition at the early stage, it is not difficult to understand the background not only in which he had applied many creative concepts and methods to the analysis of Korean music but also why he composed music. The study dealing with musical works of Oh Yong-Rok is directly related to arguments over Korean musical composition of the current times. That is to say, he posed at the critical view and alternative scheme on the issues of discourses in the times and society of Korean music. Specially the theory of tonal relationship and formation in Korean music was the one of his main research subjects which was closely linked to music composition. Therefore the realm of musical works by Oh Yong-Rok can be a point of integration between his theoretical research and music composition. Oh Yong-Rok composed the first piece Bin-San(Empty Mountain) at 1982, the next two pieces, Bal Hae Seong and Ddang(Earth), was followed after 10 years, and he composed the last piece Sutra at 1996. The former two pieces are of vocal music while the later two of dance music. It is quite limited to discuss the realm of music works through only four pieces. However the musical background of those four is connected not only to musical composition rather but with his research carried during the coetaneous period of his compositions. It shows that he researched the theory of form and compositional method in Korean music, and applied them to his musical composition. He encompassed the two areas, theoretical research and musical composition together in order to unfold some discourses on the identity and compositional method of Korean music which had spread throughout the field of Korean music composition. There flows a coherent view through the four music works Bin San, Bal Hae Seong, Ddang, and Sutra. That view exists as the integration of the two keyword, the consciousness of the times and the own method of Korean music composition. With such a view, it can be asserted that the realm of musical works by Oh Yong-Rok makes the discourse of Korean music more rich and dynamic.

목차

<국문초록>
Ⅰ. 들어가는 글
Ⅱ. 작품 개관과 특징
Ⅲ. 이론연구와 창작작업이 만나는 지점
Ⅳ. 마무리하는 글
<참고문헌 및 자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혜진(Yoon Hye Jin). (2012).오용록의 작품세계. 국악원논문집, 25 , 119-153

MLA

윤혜진(Yoon Hye Jin). "오용록의 작품세계." 국악원논문집, 25.(2012): 119-15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