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영제 바라무 동작과 범패 선율의 관련성

이용수 86

영문명
Relevance of Baramu Motion with Beompae Melody of Baekun Temple in Masan - Focused on Sadarani Bara and Cheonsu Bara of Seokbong -
발행기관
국립국악원
저자명
양영진(Yang Young jin)
간행물 정보
『국악원논문집』제31집, 89~109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음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6.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불교의식음악 범패 홑소리에는 작법무가 수반된다. 이 중 일부 홑소리에 바라무가 연행되는데, 본고에서는 마산 백운사 석봉(石峰, 1955~현재)의 사다라니바라와 천수바라를 연구자료로 삼아 바라무와 범패의 연관 관계를 밝히는 데에 그 목적을 두었다. 도출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동작구성을 살펴보면, 사다라니바라는 동작 a+b+c를 기본으로 변화를 주었으며, 천수바라는 동작 가+다+나의 한 틀을 기본 구성으로 삼고 있었다. 천수바라의 기본동작은 사다라니바라의 동작 b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두 악곡의 선율은 메나리토리와 3소박 불규칙박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메나리토리의 민요와 다르게 la음을 크게 떠는 특징을 보였다. 천수바라에서는 2+2+2소박의 헤미올라 리듬이 출현하는데, 이는 무용 동작을 지시하는 신호로 사용됨을 확인하였다. 두 악곡의 선율형식을 살펴보면, 사다라니바라는 선율형 b를 주로 반복하였고, 천수바라는 선율형 d만을 반복 사용하였다. 두 선율형은 최고음 mi 로 시작하여 순차상행 후 la를 중심으로 상·하행는 점이 동일하고, 두 악곡은 모두 la로 종지하였다. 마지막으로 천수바라와 사다라니바라의 동작과 선율의 분석 결과를 통해 바라무와 범패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먼저 광쇠 및 징의 신호는 무용·음악의 시작과 끝에 관여하며, 특정 무용 동작을 지시하였다. 바라무의 특정 동작은 높은 mi 음을 수반하며, mi 음은 악구 구분과 바라무 동작 단락 구분의 기준점이 되었다. 또한 바라무 동작과 선율은 동일한 단락 구분 지점을 공유하고 있었다. 이 세 가지 요소를 통해 범패 리듬의 변화나 특정 음의 사용 및 반주악기의 연주가 바라무의 동작과 밀접하게 관련됨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In a single sound of Beompae(梵唄) that is a Buddhist ritual music, Jakbeobmu(bara dance) is accompanied. In some single sound among these, Baramu is performed consecutively an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a relation between Baramu and Beompae by taking Sadarani(四多羅尼) bara and Cheonsu(千手) bara of Seokbong(1955~present) of Baekun temple in Masan as research material and its deduced result is as follows. First, when observing motion composition, based on motion of a+b+c, variety was given in Sadarani bara and Cheonsu bara took one frame of motion a+b+c as basic composition. Basic motion of Cheonsu bara was represented to be similar to motion b of Sadrani bara. Melody of two musical tune is consisted of menari tori(musical composition of Korean eastern region) and irregular ternary subdivisions and contrary to folk song of menari tori, it was characterized by vibrating la sound loudly. In Cheonsu bara, hemiola rhythm of 2+2+2 was appeared and this was confirmed to be used as a signal directing dance motion. When observing melody pattern of these two musical tunes, Sadarani bara mainly repeated melody type b and Cheonsu bara used only melody type d repeatedly. Two melody types were in common in terms of the fact that it was started from maximum sound of mi and increased/decreased based on la after sequential increase and both ended with la. Through analysis result of motion and melody of Cheonsu bara and Sadarani bara, correlation between Baramu and Beompae was observed. First, signal of Gwangsoe(small gong) and Jing(Large gong) is related with start and end of dance, music and it directed specific dance motion. Specific motion of Baramu accompanies high mi sound and mi sound becomes a reference point of division of musical phrase and paragraph of Baramu motion. In addition, Baramu motion and melody shared same paragraph division point. Through these three elements, it was confirmed that variety of Beompae rhythm, use of specific sound and performance of accompanying instrument have close relation with Baramu motion.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사다라니바라와 천수바라의 형식
Ⅲ. 바라무 동작과 범패 선율의 구성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양영진(Yang Young jin). (2015).영제 바라무 동작과 범패 선율의 관련성. 국악원논문집, 31 , 89-109

MLA

양영진(Yang Young jin). "영제 바라무 동작과 범패 선율의 관련성." 국악원논문집, 31.(2015): 89-10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