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려 당악정재의 전래와 수용

이용수 347

영문명
The Introduction and Acceptance of Dangak-jeongjae in the Goryeo Dynasty
발행기관
국립국악원
저자명
신태영(Shin Tae young)
간행물 정보
『국악원논문집』제31집, 67~87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음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6.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대체로 고려의 당악정재는 송나라에서 전래했거나 송 조정이 고려 조정에 보내준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 논자는 이러한 견해에 따라 송 교방악이 고려에 수용된 과정을 검토하다가 몇 가지 의문이 생겼다. 고려의 당악정재가 모두 송에서 전래된 것이라면, 중국 문헌에 그 이름이 보여야 하고 또 정재의 사와 사의 작자도 어느 정도 밝혀져야 하는데도, 실상은 그렇지 못했다. 또한 서로 다른 문화적 환경에서 별다른 변형 없이 도입되어 오랜 세월 동안 유지될 수 있었을까 하는 의문도 들었다. 이에 먼저 송의 교방악이 들어온 기록을 검토하고, 다음으로 고려 당악정재의 사와 중국 사보(詞譜)의 사를 비교했다. 『어정사보(御定詞譜)』에 전체 16수의 사 중 9수가 실려 있었지만, 그 출처는 모두 『고려사』 「악지」였다. 그리고 그 9수도 「동천경색사(洞天景色詞)」 한 수만 유사한 체를 지녔을 뿐, 나머지 8수는 유사한 체나 사패(詞牌)를 찾을 수 없어 사실상 독자적인 체를 형성하고 있었다. 이러한 점에서 당악정재의 사와 곡은 고려에서 직접 창작했을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당악정재의 성립 과정과 그 시기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고려의 당악정재는 모두 고려에서 창작했거나 재창작했을 가능성이 높았다. 또한 대성악(大晟樂)처럼 송 조정에서 고려에게 보내준 것이 아니라, 고려가 민간 무역과 공식 사절단 등을 활용하는 등, 여러 방면으로 각고의 노력을 통해 정재를 만들어낸 것으로 보았다. 즉 송 교방악이 고려에 전래되어 고려의 당악정재가 되었다고 범범하게 이해하기보다는, 고려가 자신들이 필요로 하는 가무희를 송 대곡(大曲)의 양식을 차용하여 자체적으로 만들어나갔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Dangak-jeongjae(Korean court dance of Chinese origin) is generally known to had come from Chinese Song Dynasty. However, there arise several questions concerning the inflow process of Song s gyobangak(敎坊樂) into Goryeo specially in the point that the title of dangak-jeongjae items and the composer s name of their lyrics are rerely found in the literary works of ancient China. In this context, this thesis discussed about the tentative possibility that the lyrics of Goryeo dangak- jeongjae had been composed by native poets in Goryeo. For this, I examined the historical records about the inflow of Song s gyobangak, and compared Goryeo dangak-jeongjae s lyrics and Eojungsabo(御定詞譜), a collection of Chinese lyrics. Further, I tried to chase the establishing process and the composition time of dangak-jeongjae items in the Goryeo Dynasty. As a result, there was found a strong possibility that dangak-jeongjae items might had been created or recreated in Goryeo through many efforts to compose dangak-jeongjae in many ways including private trading or official delegation and so on. It does not seem that Song Dynasty gave dangak-jeongjae in the name of daesungak(大晟樂) directly to Goryeo as have been accepted as an historical fact by Korean scholars without enough reasonable proofs. In this respect, the establishing process of dangak-jeongjae needs to be studied more objectively on the base of firm, concrete historical data.

목차

[국문초록]
Ⅰ. 문제의 제기
Ⅱ. 고려의 송 교방악 수입
Ⅲ. 고려 당악정재의 사와 중국 사보 속의 사
Ⅳ. 고려 당악정재의 성립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태영(Shin Tae young). (2015).고려 당악정재의 전래와 수용. 국악원논문집, 31 , 67-87

MLA

신태영(Shin Tae young). "고려 당악정재의 전래와 수용." 국악원논문집, 31.(2015): 67-8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