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해금 운지법 원리 연구

이용수 235

영문명
Analysis of the Principles of Haegum Fingering Techniques
발행기관
국립국악원
저자명
김정미(Kim Jeong mi)
간행물 정보
『국악원논문집』제31집, 9~42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음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6.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악학궤범』의 해금산형에 나타난 해금 운지법·민요·산조·정악의 해금 운지법을 분석하였다. 전통곡인 민요·산조·정악의 포지션 유형과 포지션 이동 유형은 각 장르별 특징대로 상이(相異)하게 나타나고 있다. 각 곡의 운지법의 특징을 보면 민요와 산조는 정해진 포지션 없이 유동성을 지닌 상대적 중심음을 기준으로 유현식지가 결정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산조와 정악은 제한된 음간격으로 전조되거나 음역이 확장될 때 포지션 이동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이렇듯 포지션과 포지션 이동이 각 곡의 특징에 맞는 운지법에 따라 진행되고 있지만 이러한 전통곡 운지법은 결국 한 가지의 공통된 운지법을 갖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각곡에 쓰인 공통된 운지법을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악학궤범』의 해금 산형에 나타난 운지법은 비록 경안법의 차이에서 평조와 계면조가 서로 다르게 구분되고 있지만 포지션의 이동이 완전5도로 동일하게 이동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계면조에서 한음을 제외하면 같은 조에서는 한가지 형태의 공통된 운지법이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민요의 운지법은 유동성을 지닌 민요청이 음계나 출현음과는 상관없이 유현식지를 도 나 솔 의 두 가지 포지션으로 한정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유현식지가 도 나 솔 인 포지션 유형의 운지 형태는 운지 간의 음간격이 동일하고 무명지에서만 장3도 또는 완전4도의 운지변화를 지닌 공통 운지법을 갖는다. 산조의 운지법은 다양한 조구성과 함께 포지션 이동이 자유롭다. 그러나 일정하게 유현식지를 도 나 솔 의 두 가지 포지션 유형으로 한정하고 있어서 민요와 같다. 포지션 이동은 전조와 음역의 확장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유현식지가 도 에서 솔 이나 솔 에서 도 , 솔 에서 다시 솔 로 이동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유현식지가 도 나 솔 인 포지션 유형과 포지션 이동 유형은 운지형태에서 운지 간의 음간격이 동일하고 무명지에서만 장3도 또는 완전4도의 운지변화를 지닌 공통 운지법을 갖는다. 정악의 운지법은 고정된 포지션과 함께 제한된 장2도, 단3도, 완전4도의 포지션 이동을 한다. 포지션의 이동을 음역이 확장될 때 이루어지는 것과 함께 음역과 상관없이 이루어지는 것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포지션과 포지션 이동의 운지법이 한 가지 공통 운지법으로 연주하기 위한 것이라는 결과를 얻었다. 이것은 민요·산조와 같이 운지 형태에서 운지 간의 음간격이 동일하고 무명지에서만 장3도 또는 완전4도의 운지변화를 지닌 공통 운지법과 같은 것이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전통곡 운지법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민요·산조·정악의 운지법은 차이점과 공통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차이점과 공통점은 결국 연주할 때 운지의 혼동을 최소화하기 위해 공통 운지법이 성립 된 것을 알 수 있다. 지금까지의 결과를 바탕으로 현재는 정립되어 있지 않은 창작곡 운지법을 도출해 볼 수 가 있다. 해금이 개방현 조율음이 없는 이동도법의 악기라는 것을 감안한다면 조성에 따른 으뜸음 도 (tonic)를 유현식지로 하는 기본 포지션이 성립된다. 또한 음역의 확장으로 포지션 이동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완전5도 위인 솔 (dominant)로 이동한다. 이러한 결론은 지금까지 전통곡의 공통점에서 밝힌 것과 같이 운지 간의 음간격이 동일하며 무명지에서는 장3도 또는 완전4도를 연주하는 유동성을 지닌 운지법이 성립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논문은 『악학궤범』의 해금 산형에 나타난 운지법을 비롯한 전통곡 전반의 민요·산조·정악의 운지법 분석을 통해 창작곡 운지법의 체계를 정립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이에 연구자는 앞으로 각 조성에 맞는 창작곡의 포지션과 포지션이동에 따른 통일된 운지법을 제시하는 연구를 과제로 남기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fingering techniques of Haegum as shown in Haegum Sanhyungs, pictorial representation of notes, in the book Akhak Gwebeom, and the fingering techniques of Haegum in playing Korean Minyo, Sanjo and Jeongak. The types of positions and position shifts in traditional music such as Minyo, Sanjo and Jeongak vary, reflecting the unique characters of each genre. Minyo and Sanjo have relative tonal centers that move flexibly instead of fixed positions, and the Yuhyon index finger is decided based on that center. Position changes in Sanjo and Jeongak occurred when tonal range expanded or modulations to limited tonal intervals appeared. Position types and position shifts occurred based on the fingering techniques that meet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ique music, yet the analysis also found that a single common fingering technique was used in Korean traditional music. The details of the common techniques were as follows. The Haegum Sanhyung fingering techniques in Akhak Gwebeom differentiates Pyeongjo and Gyemyeonjo based on the distinction of Gyeongan technique, but the position change to perfect 5th was made unilaterally. A common fingering technique was used in the same Jo except for a single tone in Gyemyeonjo. The fingering techniques in Minyo limited the Yuhyon index finger, which was done by Minyo-chung, to either doh or sol positions regardless of the scale or appearing notes. In fingering technique types where the Yuhyon index finger is positioned on doh or sol , tone interval between fingering techniques was identical and the fingering change in third finger were always major 3rd or perfect 4th. The fingering techniques in Sanjo allow free movement of positions and a wide variety of Jo structures. However, the Yuhyon index finger is limited to two positions only, doh and sol , which is not different from the restrictions applied to Minyo. The Yuhyon index finger shifted from doh to sol or sol to doh or sol to sol , which shows that positions shift when tone range extension or modulations appear. Therefore, position types with Yuhyon index finger on do or sol and position shift types share common fingering techniques, in which, tone intervals between fingering techniques was identical and the fingering change in third finger were always major 3rd or perfect 4th. The fingering techniques in Jeongak was fixed position change with limited position change among major 2nd, minor 3rd and perfect 4th. The study analyzed position shifts that occurred during the extension of tonal range and those that occurred regardless of the range. This is how the study reached the conclusion that fingering techniques regarding positions and position changes were formulated to establish a common fingering technique to play Haegum. As Minyo and Sanjo, this is the same technique used in the common fingering technique with identical tone intervals between fingering and fingering change in third finger were always major 3rd or perfect 4th.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regarding the fingering techniques used in traditional music was as follows. The fingering techniques used in Minyo, Sanjo and Jeongak ha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Thes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show that common fingering techniques were established to minimize the confusion of fingering techniques during performances.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could be utilized to establish fingering techniques for contemporary music that do not have structuralized forms. The basic position with tonic doh as the Yuhyon index finger was determined, considering the fact that Haegum is an open string instrument using the movable-doh system with no temperament. A shift from major 5th to dominant sol occurs when position shift appears due to extension of tonal range.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악학궤범』 해금 산형의 운지법 유형
Ⅲ. 민요의 운지법 유형
Ⅳ. 산조의 운지법 유형
Ⅴ. 정악의 운지법 유형
Ⅵ.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정미(Kim Jeong mi). (2015).해금 운지법 원리 연구. 국악원논문집, 31 , 9-42

MLA

김정미(Kim Jeong mi). "해금 운지법 원리 연구." 국악원논문집, 31.(2015): 9-4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