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서울굿의 악사 역할의 변화 의미

이용수 103

영문명
The Meaning of Change in a Musician s Roles in Seoulgut
발행기관
국립국악원
저자명
홍태한(Hong Tea han)
간행물 정보
『국악원논문집』제30집, 261~282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음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2.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서울굿의 악사 역할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살핀 후 그 의미를 제시한 글이다. 과거 서울굿의 악사는 무당굿 연행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그들은 무당의 교육 뿐만아니라, 굿판의 질서 유지, 굿 비용 분배 등 서울굿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하지만 최근에는 서울굿에서 악사는 단순한 반주자로 존재한다. 무당보다 위상이 약화되어 굿판에서의 발언권도 약화되었고, 무당굿의 연행에도 주도적으로 나서지 못한다. 문제는 이처럼 악사의 위상이 변하는 것이 서울굿의 본질적인 성격 변화에까지 영향을 준다는 데에 있다. 서울굿은 가무악희의 결합으로 연행되는 굿이다. 서울굿을 연행하는 무당은 영적인 능력과 함께 예술성, 오락성을 표현할 수 있는 자질도 갖추어야 했다. 그런데 악사가 참여하지 않는 굿판이 증가한다. 악사가 없는 굿판에서는 우선적으로 음악이 담당하고 있는 여러 굿의 요소들이 사라진다. 따라서 무당은 여러 음악을 활용하지 않고 말로 이루어지는 공수에 중심을 둔다. 즉 악사의 위상이 약화되면서 음악이 함께 어우러지던 굿판이 공수 중심의 굿판으로 변화한다. 이에 따라 노는 굿이 아니라 보는 굿으로 변화한다. 악사의 위상이 약화된 굿판은 더 이상 <무감서기>가 활발하게 연행되지 않는다. 따라서 굿판에 온 이들도 노는 굿이 아니라 재가집 혼자에게 내리는 공수를 보는 굿으로 바뀌었다. 여기에 익명성을 추구하는 현대인들은 굿하는 것을 드러내기보다 감추려 하고, 이에 따라 악사가 있어도 <무감서기>를 진행하지 않는다. 더욱이 자신의 집에서 굿을 하기보다는 익명성이 보장되는 영업용굿당을 찾는다. 굿을 봐주는 마을주민이 없는 굿판, 굿을 드러내기를 꺼리는 재가집의 특성은 악사의 위상 변화와 맞물려, 음악의 비중이 줄어드는 굿판으로 변화하게 했다. 따라서 서울굿판에서 악사의 위상이 약화된 것은 단순히 악사의 변화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서울굿의 성격이 대동성을 찾는 데에서 개인성을 추구하는 쪽으로 바뀌었다는 의미이고, 가무악희가 결합된 종합예술의 굿판이 춤과 공수가 중심이 되는 단편적인 예술의 굿판으로 바뀌었다는 의미이고, 보고 듣고 즐기면서 노는 굿판에서 단순히 참여하고 구경하고 한 걸음 떨어져서 관찰하는 굿판으로 바뀌었다는 의미이다. 이는 달리 말하면 서울굿의 양상이 크게 변화했다는 것으로, 결국 서울굿이 가지고 있는 전통 음악의 실제적인 연행 현장의 의미가 점점 사라진다는 의미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a musician s roles have been changed in Seoulgut and suggest the meaning of it. In the past, a musician in Seoulgut played leading roles in performing a mudanggut. They had key roles in Seoulgut, for example, teaching a mudang(shaman), keeping order in a gutpan, or dividing earnings from the gut. These days, however, they are present in Seoulgut just as an accompanist. Their status is much lower than that of a mudang, and they hardly have any right to speak in a gutpan or take the lead in performing a mudanggut. The problem is that the change of a musician s status influences even the original characteristics of Seoulgut as well. Seoulgut is a kind of gut performed through the combination of singing, dancing, performing, and playing. The mudang performing Seoulgut had to be equipped with not only spiritual capacity but also artistry and entertaining skills. But there are more and more gutpan where musicians hardly participate. Particularly the gutpan without a musician tend to exhibit fewer factors of a gut which are associated with music. Therefore, the mudang gives priority to gongsu(delivering messages of the dead) by speech not using music in diverse ways. In other words, as a musician s status becomes lower, the gutpan performed harmoniously with music is changing to one centering around gongsu. This means that the gut for playing is changing to the gut for seeing. In a gutpan where a musician s status is low, Mugamseogi is no more conducted actively. Therefore, those coming to see a gutpan get to watch a mere gut in which gongsu is done to the jaegajip alone, not a gut for playing. Besides, contemporaries pursuing anonymity tend to hide the fact that they are doing a gut, so even when there is a musician in it, Mugamseogi is hardly conducted. Also, they go to the gutdang for business where their anonymity can be guaranteed instead of performing a gut in their own house. Not only the gutpan where there are no village people coming to watch but the jaegajip reluctant to open it have resulted in a gutpan where the part of music is diminished as the change of a musician s status in it is also added to it. The weakened position of a musician in Seoulgut does not simply mean the change of a musician s status. It means that Seoulgut sought collectivistic aspects in the past but now pursues individuality, the gutpan that was once a composite art combining singing, dancing, performing, and playing has changed to one that is a fragmentary art centering around dancing and gongsu only, and the gutpan that was for seeing, listening, and playing is not simply for attending, watching, and observing in a distant. In other words, the aspects of Seoulgut have changed tremendously so far, and the meaning of Seoulgut as a real field of performing our traditional music is disappearing gradually.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서울굿 담당자 악사와 무당
Ⅲ. 서울굿 연행에서 악사의 역할
Ⅳ. 서울굿에서 악사의 위상 변화
Ⅴ. 맺음말 - 서울굿 악사 역할 변화의 의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홍태한(Hong Tea han). (2014).서울굿의 악사 역할의 변화 의미. 국악원논문집, 30 , 261-282

MLA

홍태한(Hong Tea han). "서울굿의 악사 역할의 변화 의미." 국악원논문집, 30.(2014): 261-28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