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국립국악원의 정재 전승양상

이용수 186

영문명
Transmission Aspects of Jeongjae by National Gugak Center Focusing on Regular Performances
발행기관
국립국악원
저자명
김채원(Kim Chae won)
간행물 정보
『국악원논문집』제27집, 59~74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음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6.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개원이후 국립국악원의 정재 전승양상을 살펴봄으로써 국립국악원 창작정재의 수용범위와 방법론을 찾는 데 기초자료로서 도움을 주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이를 위해 개원이후 2012년까지의 국립국악원 무용단 정기공연 관련 기록물(공연 프로그램, 생산 문서 등)과 관련 문헌을 근거로 하여 정재 전승양상을 살펴본 결과 재구성정재의 수용시기(1952~1976년), 재현정재를 통한 콘텐츠 확충시기(1977~2004년), 정재의 창조적 변용시기(1991~현재) 등으로 정리되었다. 이왕직아악부를 통해 전승된 정재종목은 12종이었으며, 국립국악원 개원 이후 개최되었던 [국악감상회] 공연을 통해 김천흥이 재구성한 정재가 수용되어 국립국악원의 정재 레퍼토리로 정착되었다. 1980년 이후 본격적으로 추진된 정재 재현작업으로 총44종목의 정재가 재현되어 국립국악원 정재의 맥을 이었을 뿐만 아니라 정재 콘텐츠 확충에도 크게 기여하였다. 1991년 첫 창작정재 <화평지무>가 발표된 이후 2012년까지 수차례에 걸쳐 총 18작품의 창작정재(혹은 정재변주, 창작춤 )가시도되었다. 이는 창작의 원천으로서 전통을 어떻게 창조적으로 변용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의 산물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창작정재에 대한 찬반의견이 분분한 가운데 전통의 보존에만 머물지 않고 새로운 전통을 만들어 나가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는 국립국악원이 창작정재 창조의 수용 범위와 방법론을 찾아가는 데 작은 도움이 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s aimed at forming a fundamental material to help seeking the methodology and the acceptable extent of Jeongjae(court dance) created by National Gugak Center. In order to do so, I have examined the transmission aspects of Jeongjae by National Gugak Center(NGC) conducted since its opening to 2012, on the basis of the regular performance-related records, such as performance programs and producing documents. As a result, it can be described in different periods: A period(1952-1976) that the reconstituted Jeongjae was accepted, a period(1977-2004) that the contents were expanded while reproducing Jeongjae, and a period(1991~) that Jeongjae went through creative transformation. There were 12 events in Jeongjae transmitted by Yiwangjik Aakbu, and Jeongjae that Kim Cheon-heung reconstituted for regular performance, Gugak Gamsanghoi, which was conducted since the establishment of NGC, settled as the repertories of Jeongjae by NGC. Jeongjae began to be reproduced in earnest since 1980, and as a result, 44 events were reproduced, which greatly contributed to expanding the Jeongjae contents as well as to carrying on the transmission. From 1991, when the first center s original Jeongjae, Hwapyeongjimu was introduced, to 2012, 18 works of Jeongjae(or Jeongjae variation, Changjakchum) were undertaken. This is due to deep concerns of how to creatively transform the tradition as the source of creation. While there are pros and cons on created Jeonjae, National Gugak Center has a difficult task of creating new traditions, not only of preserving the traditions. This paper would be a little help in seeking the methodology and the acceptable extent of created Jeongjae.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본론: 국립국악원 정재 전승과 변용
Ⅲ.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채원(Kim Chae won). (2013).국립국악원의 정재 전승양상. 국악원논문집, 27 , 59-74

MLA

김채원(Kim Chae won). "국립국악원의 정재 전승양상." 국악원논문집, 27.(2013): 59-7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