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6박 계통의 보허자 파생곡 연구

이용수 390

영문명
A Comparative Study of BoheoJa-Derived Music Pieces: So-boheosa·Gwi-boheosa·Gut-boheosa·Dodeuri
발행기관
국립국악원
저자명
고보석(Ko Bo suk)
간행물 정보
『국악원논문집』제27집, 1~35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음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6.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도드리>는 현행 악곡 가운데 <양청도드리>·<우조가락도드리>와 함께 <보허자>의 파생곡으로 알려져 있다. 고악보 중에도 <보허자>의 파생곡으로 알려진 악곡들이수록되어 전하는데, 이 악곡들은 현재 연주되지 않고 단지 악보로만 남아있다. 바로 『삼죽금보』의 <소보허사>·『오희상금보』의 <귀보허사>·『희유』의 <굿보허사>이다. 이세 악곡은 모두 6박 1장단이라는 점에서 현행 <도드리>와 공통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 세 악곡이 <보허자>의 파생곡이라는 점에 주목하여 종래 알려진 <보허자> 변주곡들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실제 연주에서는 전후로 어떤 곡과 연계되어 연주되었는지, 현행 <도드리>와는 선율 면에서 어떠한 공통점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들을 확인하게 되었다. 첫째, <보허자>의 파생곡은 두 가지 계열이 있었다. 하나는 종래 알려진 바와 같이 <보허자>의 환입부분을 변주하여 이루어진 <밑도드리>로부터 <웃도드리> →<양청도드리> →<우조가락도드리>로 파생된, 이른바 환입계의 파생곡들이고, 다른 하나는 <보허자>의 지입부분으로부터 파생된 <소보허사>·<귀보허사>·<굿보허사>로서 이른 바 지입계의 파생곡들이다. 전자는 현재까지 활발한 전승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후자는 현재 전승이 단절되었다. 둘째, 지입계 파생곡에 속하는 <소보허사>·<귀보허사>·<굿보허사>는 현행 <도드리>와 같이 공히 <상현도드리> 다음, 또는 <상현도드리>로 이어 연주하였다는 점에서 현행 별곡[가즌회상] 연주에서의 <도드리>와 같은 위치에 있었다. 셋째, <소보허사>·<귀보허사>·<굿보허사>와 현행 <도드리>는 각각 지입계 파생곡과 환입계 파생곡이라는 점에서 그 연원처가 다르지만, 옛 <보허자> 환입부분의 변주곡으로 알려진 현행 <도드리>에도 지입[미전사] 앞부분, 즉 환입부분에 속하지 않는 부분의 가락과 유사한 선율형이 상당수 포함되어 나타난다.

영문 초록

One of the existing music pieces, Dodeuri, along with Yangcheong-dodeuri, Ujo-dodeuri is known to have been derived from Boheoja(string music for court banquets). However, there are some other music pieces that originated from Boheoja, which are not played today but remains only in the ancient notations. They are So-boheosa in Samjuk-geumbo, Gwi-boheosa in Ohisang-geumbo, and Gut-boheosa in Hiyu, all of which have the same rhythmic cycle of 6 beats as that of the existing Dodeuri. In this study, I have examined how these three pieces are different from other pieces of variations to Boheoja and how they are similar to Dodeuri in melodies, as well as what pieces are connected to them in performances. The findings are: First, there are two types in the way they were derived from Boheoja. One of them is the Hwanip variation type that includes Mit-dodeuri, Ut-dodeuri, Ujogarak-dodeuri which were formed in order, and the other is Jiip variation type that includes So-boheosa, Gwi-boheosa, and Gut-boheosa. The Hwanip variation type of pieces are actively transmitted today, while the Jiip type of pieces are no longer transmitted. Second, the three pieces of Jiip variation type were in the same position as Dodeuri in performance of Byeolgok(Gajeunhoisang) in that they were played following, or followed by Sanghyeon-dodeuri. Third, the melodies that are similar to the beginning part of the first phrase, which is not repeated in the 4th phrase, also appear in great deal in the existing Dodeuri which is known to be the variation to the 4th phrase of the original Boheoja, although the three Boheosa pieces and the existing Dodeuri were derived from different variations of Boheoja.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고보석(Ko Bo suk). (2013).6박 계통의 보허자 파생곡 연구. 국악원논문집, 27 , 1-35

MLA

고보석(Ko Bo suk). "6박 계통의 보허자 파생곡 연구." 국악원논문집, 27.(2013): 1-3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