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현행 중학교 음악교과서 소재(所載) <아리랑> 고찰

이용수 114

영문명
Critical Assessment: Arirang Included in the Existing Music Textbooks of Middle School
발행기관
국립국악원
저자명
문주석(Moon Joo seok)
간행물 정보
『국악원논문집』제27집, 75~97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음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6.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아리랑>은 2012년 12월 6일 프랑스 세계유네스코 제7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등재된 이유에는 <아리랑>에 내포된 다양성이 중요사항으로 작용하였다. 본 연구는 <아리랑>에 수반되는 다양성이 학교현장에서 어떻게 교육 내용으로 반영되어 있는가에 관한 의문에서 출발하였다. 학교에서 실시되는 <아리랑> 음악교육 내용을 고찰하기 위하여 중학교 음악교과서 18종에 수록된 <아리랑>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아리랑>의 다양성을 표출할 수 있는 교육내용이 음악교과서에 반영되어 있는가를 파악하는 부분이 본 연구의 주된 관점이며, 분석내용을 바탕으로 학교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아리랑> 교육내용의 장단점을 파악하여 <아리랑>의 다양성을 효율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중학교 음악교과서 18종의 분석은 학습영역·악곡·악보·시김새 등을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아리랑>은 악곡의 이해와 노래 부르기 중심으로 구성되어있었다. 특히, 가창영역을 중심으로 <아리랑> 교육이 편중되어있어 다양성을 교육하는 측면에서는 학습 효율성이 떨어진다. 본 연구를 통하여 <아리랑> 다양성 교육에 관한 문제의식을 제기하였으며, 복합적인 교육내용이 반영되어야함을 주장하였다. 복합적 교육내용에는 이해·가창·기악·감상과 더불어 창작영역도 추가로 제시하였다. 또한 향후 중학교 음악교과서에 <아리랑>의 다양성을 교육할 수 있는 내용이 복합적으로 반영될 것도 주문하였다. <아리랑> 다양성 교육에 관한 접근은 지역별 <아리랑>의 차이점과 특징 등을 교육을 통하여 다름이 아닌 차이를 이해하고 조화를 학습하는 것이다. 수업시간학생들의 눈높이를 반영하여 학습자 스스로 새로운 <아리랑>을 만들어 부를 수 있는 방향으로 음악교육이 진행되어야할 것이다.

영문 초록

Arirang, with its implicit diversity for the most significant value, was listed in UNESCO 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in the 7th conference by World Heritage Committee held in France, December 6th, 2012. This study began from a question on how well the implicit diversity of Arirang is reflected in music education in schools. In order to investigate what is being taught in schools in regard to the subject, I have analysed the Arirang songs included in the music textbooks of middle school of 18 kinds. Mainly focusing on how well the implicit diversity of Arirang is reflected in the music textbooks, I intended to propose some effective methods for teaching the diversity of Arirang by finding out the merits and demerits of school education on Arirrang.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18 music textbooks focusing mainly on its learning area, melodies, music scores and ornaments, I have found that the textbooks consist mainly of how to understand the melody of the Arirang songs and how to sing. Particularly, it leans too much towards on singing part, which is found to be less effective in educating the diversity of Arirang. In this paper, I have raised a question on educating the diversity of Arirang and claimed to reflect its comprehensive elements such as how to understand, sing, play and appreciate, including how to compose new Arirang songs. In addition, I have also proposed that the music textbooks of middle school should include contents that reflect such diversity of Arirang in a more cohesive and comprehensive manner in the future. Such approach to the diversity of Arirang in music education is to help students understand the difference of the Arirang songs from different regions and learn to harmonize them. More over, music education need to be angled towards the students to help them create new Arirang songs on their own in consequence.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문주석(Moon Joo seok). (2013).현행 중학교 음악교과서 소재(所載) <아리랑> 고찰. 국악원논문집, 27 , 75-97

MLA

문주석(Moon Joo seok). "현행 중학교 음악교과서 소재(所載) <아리랑> 고찰." 국악원논문집, 27.(2013): 75-9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