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동남아 테라와다의 정체성 확립과 바왕가(bhavaṅga) 개념의 전개 (1) - Nettipakaraṇa와 Milindapañha를 중심으로 -

이용수 189

영문명
Observations on the Term Bhavaṅga in the Earlier Pāli texts and the Doctrinal Identity of the Theravāda Tradition
발행기관
불교학연구회
저자명
김경래(Kim Kyung Rae)
간행물 정보
『불교학연구』제48호, 257~282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9.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바왕가(bhavaṅga)’는 스리랑카를 중심으로 한 동남아 테라와다 전통 고유의 아비담마 개념이다. 테라와다 특유의 체계적인 인식과정이론 속에서, 바왕가는 비활동적인 인식대기 상태, 즉 인식대상과 인식기관을 토대로 시작되는 일련의 인식과정 전후상태를 지칭한다. 그러나 주석전통 이전 문헌에서 인식과정의 핵심개념으로서의 바왕가 용례는 거의 발견되지 않는다. (『빳타나(Paṭṭhāna)』를 제외하면 전혀 발견되지 않는다.) 바왕가가 인식과정 이론에 적극적으로 적용되며 하나의 완성된 교리개념으로 확립된 것은 CE 5세기 이후 주석전통을 통해서였다. 따라서 논자는 초기부터 후기에 이르는 테라와 다 문헌들을 검토하며 바왕가 개념의 확립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테라와다 전통이 아비담마를 근거로 그들만의 정체성을 확립해갔던 과정을 추적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바왕가 개념전개사를 다루는 첫 번째 연구로서, 주석전통 이전 문헌인 『넷띠빠까라나(Nettipakaraṇa)』와 『밀린다빵하(Milindapañha)』에서 발견되는 바왕가의 초기개념을 검토했다. 그 결과를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바왕가는 윤회의 근접원인(padaṭṭhāna)이며 존재(bhava)를 성립시키는 요소(aṅga)로서 12연기의 항목들을 지칭한다. 둘째, 바왕가는 꿈조차 꾸지 않는 깊은 수면상태를 의미하는데, 이 상태에서 心은 활동하지 않는다. 이상의 내용을 통해, 다음과 같은 가설이 제기된다. 초기문헌에서 바왕가는 통일된 전문용어가 아니었기에 텍스트에 따라 그 용례는 상이하다. 여기서 바왕가는 인식과정과 무관하지만, 그럼에도 향후 개념확장(존재의 연속성, 인식토대)의 가능성은 있었다. 주석가들은 당시 통용되던 일반적인 용례들을 바탕으로 바왕가 개념의 최종형태를 완성했고, 그들만의 독자적인 인식과정 이론을 정립했다. 이처럼 테라와다 전통은 역사성을 지닌 불교부파들 중 하나로서 자신만의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한 교리적 반성과 그에 따른 변화를 거쳐왔다. 바왕가 개념의 전개사가 이를 증명해준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examines the initial definition of the abhidhamma technical term bhavaṅga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octrinal identity of the Theravāda tradition. The term is thought to have originated from Tāmraparṇīya (chìtóngshebù), which is considered to be closely related to the Sri Lankan Theravāda tradition. In the Pāli commentaries, it is depicted as a non-active state which initiates a series of active ‘mind moments’. It is, however, interesting that the term bhavaṅga, in its final formation, appears only in the commentarial literature which was composed from the fifth century CE onwards. For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earlier phase of the term, two pre-canonical Pāli texts have been examined in this article, namely, Nettipakaraṇa and Milindapañha. The former treatise serves as a guide for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of the Canon and as an assistant manual for a commentator. The latter conveys philosophical dialogues between the Greek king Menandros, a historical figure, and the monk Nāgasena. Although it is difficult to ascertain the authors and exact date of both texts, it is clear that they are prior to the canonical texts. The premature and initial form of bhavaṅga is found in them. The former text defines the term bhavaṅga as ‘bhava’ with ‘aṅga’, namely, the factor(s) of existence which makes a living being exist, or specifically the twelve factors of being in the life circle. The latter text considers the term to mean going into a deep sleep without having any dream’, in which the mind is not active. The text calls this state citta bhavaṅgagata, ‘a mind gone to the bhavaṅga’ or ‘a mind in the bhavaṅga’. These two usages represent a premature and earlier phase of the term. The term bhvaṅga had its own developing stages over the centuries. During its development, it was adopted into the Theravāda tradition and became an intrinsic part of doctrine.

목차

요약문
Ⅰ. 서론
Ⅱ. 존재요소(들): 『넷띠빠까라나』
Ⅲ. 깊은 수면상태: 『밀린다빵하』
Ⅲ.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경래(Kim Kyung Rae). (2016).동남아 테라와다의 정체성 확립과 바왕가(bhavaṅga) 개념의 전개 (1) - Nettipakaraṇa와 Milindapañha를 중심으로 -. 불교학연구, (48), 257-282

MLA

김경래(Kim Kyung Rae). "동남아 테라와다의 정체성 확립과 바왕가(bhavaṅga) 개념의 전개 (1) - Nettipakaraṇa와 Milindapañha를 중심으로 -." 불교학연구, .48(2016): 257-28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