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사용흔분석을 통한 신석기시대 수확구 시론

이용수 304

영문명
Contemporary Opinion on the Harvesting Tool of the Neolithic Age based on the Result of the Use-wear Analysis
발행기관
한국신석기학회
저자명
김성욱(Kim Sung Wook)
간행물 정보
『한국신석기연구』제 16호, 35~61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12.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근년 ‘신석기시대의 농경’에 관한 연구는 다각도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농경구로 분류되고 있는 석기들의 기능에 대한 검토는 아직 불충분한 실정이다. 석기의 기능 추정 방법에는 석기의 형태학적 접근, 석기에 남겨진 사용흔의 분석, 사용 실험, 민족지 고고학적 방법 등이 있다 이 중 지금까지 한국 신석기시대 석재 농경구의 기능에 대한 검토는 형태학적인 접근 방법이 중심이었다. 하지만 형태학은 석기의 기능을 추정하기 위한 연구 방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아 기능을 검증하기 위한 새로운 연구법의 도입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석기의 기능연구에 있어 그 유효성이 증명되고 있는 석기 사용흔 분석법을 소개하고, 이에 기초하여 농경구로 분류되고 있는 석제 수확구의 기능을 재검토 한다. 본고에서 사용한 석기 사용흔 분석법은 일본의 동북대학 사용흔 연구팀이 실시한 연구방법 및 연구결과에 기초하고 있다. 석기룰 이용하여 벼과 식물을 잘랐을 때 발생하는 사용흔은 주로 A타입과 B타입의 광택(Polish)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본고에서 실시한 석기사용실험에서도 이와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수확구에는 A타입 또는 B타입의 광택이 발생할 확율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이상을 기초로 신석기시대 중기에서 후기에 걸쳐 형성된 갈머리유적과 진그늘유적에서 출토된 석기 19점을 검토하였다. 결과, 갈머리유적에서 l점, 진그늘유적에서 1 점 총 2점의 석기에서 B타입의 광택이 확인되었다. 이 두 점의 석기에서 확인된 B타입의 광택은 사용흔의 분포범위 사용흔의 생성상태 등에서 벼과 식물을 대상으로 사용하였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두 점의 석기는 석기사용실험에서 확인된 결과에서처럼 사용흔의 분포 형태로 보아 각각 이삭을 따는 도구와 이삭을 자르는 도구였을 것으로 추측되어진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하여 석기 사용흔분석은 신석기시대 농경구의 기능 및 사용 방법을 검토하는데 있어 유효한 방법임을 재검증 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Recently, active studies on Neolithic agriculture have been progressed from various angles. The stone tools belong to the agricultural tools, but the function of stone tools has not been clearly figured out yet. As the presumptive methods for the function of stone tools, there are morphological approach, t11e use-wear analysis, use-experiment and ethnographical archeology. Until now, the report on the function of the stone tools of Korean Neolithic agriculture has mainly depended on the morphological approach, which is established as the method to presume the function of stone tools. In this study, I introduce the use-wear analysis as one of the efficient methods establishing the function of stone tools, and review the function of the stone harvesting tool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The use-wear analysis I used is followed to the method and results carried out by research group of Tohoku University in Japan. It is reported that the use-wear which is caused during the rice plant fanlily is gathered a harvest by stone tools mainly shows the polish types of A and B. We obtained the similar results by use-experiment.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results, A and B types of polish are a strong possibility as a harvester. We investigated the nineteen stone tools excavated from Galmeory and Jingeuneul sites, and they are formed at the middle and late Neolithic age. We could observe B type of polish with two remains excavated from each Galmeory and Jingeuneul sites. It is proved that the B type of polish on the stone tools is generated under usage for the rice plant family in regard to spread and condition of use- wear. According to the result of experiment, it is supposed that one is the tool for gathering the ears of grain and another is for cutting them. Therefore, it is reproved that the use- wear analysis for stone tool is effective way to lmow what the tool is used for and how it is used.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석기의 사용흔분석 방법
Ⅲ. 수확구의 검토
Ⅳ. 연구성과
Ⅴ. 문제점과 앞으로의 과제
참고·인용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성욱(Kim Sung Wook). (2008).사용흔분석을 통한 신석기시대 수확구 시론. 한국신석기연구, (16), 35-61

MLA

김성욱(Kim Sung Wook). "사용흔분석을 통한 신석기시대 수확구 시론." 한국신석기연구, .16(2008): 35-6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