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서부지역 신석기문화 연구의 성과와 전망

이용수 919

영문명
Review of the studies of Chulmun (Neolithic) Culture in Central - Western Korea
발행기관
한국신석기학회
저자명
신숙정(Shin Sook Chung)
간행물 정보
『한국신석기연구』제 15호, 1~40쪽, 전체 4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08.31
7,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필자는 2000년대 이후 최근 우리나라 중서부지역의 신석기문화 연구 성과를 살펴보았다. 연구사란 발굴성과의 진전과 새로운 발굴자료의 출현 그리고 이들과 함께 새로운 사고나 연구방법의 진전으로부터 얻어지는 발전적 측면을 찾아보고, 장차를 전망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중서부지역의 신석기연구 성과를 몇 개의 주제로 나누었는데, 신석기시대의 시기구분, 고환경, 신석기시대의 생업, 사회와 교류 등이 그것이다. 현재 동북아시아의 신석기시대는 토기가 출현하는데 주안점을 두다보니 때로는 그 시기가 Pleistocene으로 넘어가가도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제주 고산리 유적이 이러한 현상에 가장 가깝다. 그러나 신석기시대의 시작과 끝을 연구하는 것은 매우 미묘하고 세련된 사유를 요구한다고 본다. 중서부지역은 이보다 훨씬 늦으며 지질학, 퇴적학적 지식과 연대측정, 꽃가루분석 등이 유물에 의한 형식분류 못지않게 중요할 것이다. 중서부지역의 신석기시대 환경은 온난화로 인한 해면변동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이에 따른 고기조간대 및 토탄층의 형성이 중요하다. 현재 중서부지역의 생업에 대해서는 사냥 채집 물고기잡이 농사짓기 활동 모두가 찾아진다. 서해도서의 자연유물 동정도 상당히 이루어져있으며 이를 통한 유적의 성격이나 생업활동에 대한 가설이 제기되는 수준이다. 취락과 야외집석유구의 증가로 사회구성 및 교역의 연구가 장차 활발해질 것으로 예견된다. 신석기연구를 전망함에 있어서는 현재 고고학을 연구함에 있어 필요한 몇몇 개념들 - 즉 번역작업, 자연과학, 민족고고학, 민속학 등이 신석기 연구에 얼마나 어떻게 유용할 것인가를 생각해보았다. 그리고 최근의 외국 고고학 연구방법이나 사조에도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ttempts to survey the achievements of new excavations in Central -Western Korea, and consider the recent studies of Chulmun (Neolithic) Culture in that region. According to the various accomplishments of the studies in Chulmun Period lately (since 2000), the beginning and ending of Chulmun Period, the problem of establishing Chulmun Chronology, some explanations to the subsistence economy, social organization and trade etc. are main subjects. There have been much discussions about the beginning of the Neolithic Period in Northeast Asia and now the consensus is made that Neolithic Period comes up with Pottery. In Northeast Asia the beginning of Neolithic even went back to Pleistocene. The Gosan-ri site in Jeju Province of Korea might correspond to that moment but the Mid -Western Neolithic would be far later than that time. It is said that the Neolithic in the Mid -Western region began around 5,000 BC which is drawn by typology. The establishment of Neolithic chronology in future should be made not only by typology but by geological, geomorphological analyses, and pollen analyses with AMS dating. The environment of Neolithic Period in Mid-Western region is much influenced by the sea- level rise resulted from the Hypsithermal in Holocene. Many palaeotidal flats and peaty soil in Mid-Western region are typical evidences of Neolithic high temperatures, and these peat and palaeo- tidal flats are very important data to study Neolithic subsistence / economy and the location of settlement. We have now many ecofacts from which Neolithic people hunted and gathered. The identification of plant and animal species made us expect that the Neolithic subsistence in Mid-Western region included gathering, hunting, fishing and cultivation. Considering those excavated data so far, it is possible to infer that there must have been year -round settlements around in many coastal islands. In addition, Neolithic settlements constantly increased in numbers can cause some developments in study of organization and trade. In perspective of doing desirable Neolithic research we should know the current trend of modem archaeology. Translation of foreign archaeological books is very important in that respect. Corresponding with ethnology and ethnoarchaeology, and co-work with natural scientists are very urgent also.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신석기시대의 개념과 시기구분
Ⅲ. 고환경
Ⅳ. 생업
Ⅴ. 사회와 교류
Ⅵ. 개념확립의 고고학/번역의 고고학/민족고고학·민속학과 고고학/자연과학과 고고학
Ⅶ.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숙정(Shin Sook Chung). (2008).중서부지역 신석기문화 연구의 성과와 전망. 한국신석기연구, (15), 1-40

MLA

신숙정(Shin Sook Chung). "중서부지역 신석기문화 연구의 성과와 전망." 한국신석기연구, .15(2008): 1-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