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공간지각능력 도모를 위한 그리기 지도 방안 연구

이용수 196

영문명
Study on the method of guidance regarding on drawing activity for improvement of space perception ability. - Focused on the Children in the Schematic Stage -
발행기관
한국아동미술학회
저자명
서영옥(Young Ok Seo)
간행물 정보
『아동미술교육』아동미술교육[2014], 1~16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2.31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아동이 공간을 인식하기 시작하는 도식기( 7~9세)부터 공간적 탐색을 할 수 있도록 교육적 환경을 제공하여 또래 집단기( 9~11세)에 이르러 사실적 표현의 어려움을 겪는 아동들을 위한 교육적 대안으로서 지도 방안을 모색 하였다. 이러한 목적으로 도식기 아동의 공간지각능력 발달을 도모하는 그리기 지도 방안을 고찰 해보았다. 이를 위한 이론적 배경을 중심으로 아동의 발달과 공간지각에 대한 학자들의 개념과 정의 아동의 공간발달단계와 아동이 공간을 지각하는 특수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효과적인 학습이 일어 날 수 있는 교수 전략을 분석 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실물 중심의 주제를 2차원의 평면에 공간 표현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다양한 위치에서 사물보기, 인물의 동세, 중첩 등의 요소들을 유도하여 표현능력의 향상을 가져 올 수 있다는 전제하에 방안을 모색하였다. 지도 방안으로 아동의 활동 과정은 교사의 역할과 아동 개개인 잠재적인 공간인식능력과 환경에 초점을 두고 자유롭고 아동중심적인 지도 방법이 적용하여 지도 할 필요가 있다. 요약하여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들이 공간을 이동하여 보는 사물이 장소의 위치에 따라 다르게 보임을 알 수 있다. 둘째, 아동들이 생생한 실물중심의 그리기 활동을 통해 중첩 표현을 쉽게 이해 할 수 있다. 셋째, 아동들이 인물의 움직임을 관찰하고 공간을 인식하는 범위를 넓히는데 도움이 된다. 넷째, 아동들의 잠재된 능력이 나타나는 과정을 생생하게 볼 수 있어 교육적 의미를 얻을 수 있다. 다섯째, 아동의 활동은 지도가 아닌 탐구 활동으로서 스스로 즐기며 동기 부여 할 수 있는 가치가 있다. 공간 탐구를 위한 그리기 지도는 아직 사실표현에 익숙하지 않은 도식기의 아동이지만 그 단계가 가진 공간적 표현의 특성이 아동 개개인마다 다르게 나타나는 활동이 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아동에게 주어진 약간의 도전적 과제는 호기심과 흥미를 자극하여 공간지각력 향상을 도모하는 그리기 지도에 효과적인 결과를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아직 일반화 되어 있지 않는 도식기 아동의 그리기 지도를 위한 연구이다. 과거보다 성장이 빠른 아동들을 생각할 때, 좀 더 구체화 되어 현장에 제시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는 연구 과제로서 새로운 접근이 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is for offering the children of the schematic stage (children from 7 to 9 years belong to that) in which they begin to recognize space the study environment of space recognition and then preventing those of the gang age(children from 9 to 11 years belong to that) having difficulty in expressing objects realistically. Therefore the research analyzes children s development, the concept of space recognition and the particularity of space recognition which is the basis of study for the method of drawing guidance which helps the children of the schematic stage to improve space recognition ability and then presents guidance strategy and the examples of drawing activity that will become the result of an effective studying. According to that, they drawing real things as a concrete activity, the research tried to improve the power expression for space as having children express space variously on two-dimensional plane at various positions through object observation, man s movement, overlap, etc.. For guidance method, children s course of activity focuses on teacher s role, each child s potential space recognition ability and the environment applying that of easy circumstances and the child center. Tools for the expression of drawing are restricted to drawing books and 4B pencils to use easily. Accordingly, the educational effect from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when the children who participate in drawing activity move here and there, they know the objects look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position and can express what they saw. Second, when real drawing objects are presented for children, they can express overlap concretely. Third, when children see man s movement and expressed it, they can take the effect that broadened at the visual range for the recognition of the space. Fourth, one can see the children in the schematic stage who recognize the hidden space and express it as drawing vividly. Fifth, one can see children s learning activity has the value which makes them enjoy themselves and motivates them as investigation activity instead of teaching one. The drawing guidance for recognizing space makes them in the schematic stage who are poor at expressing real things express the space and show their individuality. And one can see their ability of drawing for the space. Like this, some of the challenging task given to children stimulate the curiosity and the interest and then that improves the power of expression for space. This kind of research is not common, but that needs to concretize as the subject of study on the children of the schematic stage. If in the future one approaches experimentally about this research with consistency, one will obtain the new educational effect.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교수전략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서영옥(Young Ok Seo). (2014).공간지각능력 도모를 위한 그리기 지도 방안 연구. 아동미술교육, 13 (1), 1-16

MLA

서영옥(Young Ok Seo). "공간지각능력 도모를 위한 그리기 지도 방안 연구." 아동미술교육, 13.1(2014): 1-1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