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재 이목의『茶賦』에 나타난 다도사상

이용수 319

영문명
발행기관
국제차문화학회
저자명
염숙
간행물 정보
『차문화산업학』1-1(제1집), 1~13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5.06.30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우리의 차 문화가 유교의 학문과 예술 속에서 갖고 있는 의미를 규정하고자 했으며, 새로운 문화를 개발하기 위하여 다도의 정신적 가치를 연구하고있다. 寒齋李穆이 저술한 「茶賦」를 중심으로 그의 茶道思想을 연구하고 있으며, 특 별히 유교의 禮樂思想으로부터 추론된 예술적 관점에서 연구하고 있다. 寒齋는 조선시대 초기의 도학자였으며 節義精神이 충실한 사람이었다. 寒齋의 「茶賦」를 통해서 우리는 유학자들의 근본사상 속에 들어있는 예술적 내용을 알 수 있으며, 寒齋의 예술관과 다도사상을 엿볼 수 있다. 寒齋는 강직한 도학자로서 차를 통해 정신 수양을 중요시하였으며, 다른 異端的견해를 받아들이는 것을 거부하고 무엇보다도 마음을 수양(심학)할 것을 주장하였다. 寒齋의 다도사상은 유학의 근본 속에 있는 禮樂思想가운데 樂道精神과 節義精神을 관련짓고 있다. 「茶賦」속에서 寒齋는 天人合一思想과 中庸思想은 吾心之 茶로 茶心一如思想을 펼치고 있다. 寒齋의 茶道思想인 天人合一思想을 통하여, 현대의 과학문명이 가져온 물질만능주의에 대항하여 하늘의 품성을 닮은 인간성을 회복하고자 하며, 中庸思想은 그의 도학정신을 중(中)이라 한다면 「다부(茶賦)」에서 보여주는 예술적 최고의 경지는 화(和)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유학자로 도학정신〔중(中)〕과 유가의 낙도정신〔화(和)〕은 차를 통해 치중화(致中和)함으로 다도의 정신을 잘 나타내고있다.

영문 초록

목차

I. 서론
1. 問題提起
2. 硏究目的과 方法
II. 「茶賦」의 著述背景
1. 時代的背景
2. 思想的背景
III. 「茶賦」에 보이는 精神世界
1. 「茶賦」의 樂道精神
2. 「茶賦」의 道學精神
3. ‘吾心之茶’의 境地와 意義
IV. 「茶賦」의 位相과 現代的意義
1. 「茶賦」의 位相
2. 寒齋茶道思想의 現代的意義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염숙. (2005).한재 이목의『茶賦』에 나타난 다도사상. 차문화산업학, 1 , 1-13

MLA

염숙. "한재 이목의『茶賦』에 나타난 다도사상." 차문화산업학, 1.(2005): 1-1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