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농장가>의 구조와 의미

이용수 97

영문명
The Structure and Meaning of Nongjangga(농장가)
발행기관
한국고전여성문학회
저자명
송재연(Song Jae-yeon)
간행물 정보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제32권, 233~261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6.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사내아기를 낳은 기쁨을 표출하는 동시에 다양한 사물과 대상에 빗대어 아기의 존재의의와 아기에 대한 기대 정서를 드러낸 <농장가> 계열의 규방가사 작품을 검토하여 그 구조적 특징을 밝히고, 이를 토대로 <농장가> 창작 및 향유의 문화적 의미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하고 있다. <농장가> 계열의 가사는 현재 6편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들은 이본에 따라 다소의 차이는 있지만 대체로 ‘○○동아’로 아기를 부르는 것으로 시작하여 ‘노는 모습’, ‘자는 모습’, ‘축수(祝壽)와 덕담(德談)’, ‘신언서판(身言書判)’, ‘사랑스런 모습’, ‘잠재우기(자장가)’, ‘업힌 모습’, ‘기는 모습’, 둥게둥게’로 그 내용이 전개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계열의 가사 작품 들은 <금자동아 옥자동아>, <둥게둥게>, <풀무풀무> 등과 같은 ‘아기 어르는’ 민요와 교섭을 통해 창작되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반복과 병렬이라는 민요적 어법을 수용하는 한편, 아기를 지칭하는 대상의 종류와 성격을 다양화함으로써 변주를 보이기도 하였다. 또 기존 민요를 그대로 수용하면서도 규방가사 작자층, 즉 사대부가 부녀자들의 유교적 관념을 반영하는 새로운 가치관이 추가되어 의미를 강화하는 쪽으로 변개가 이루어지기도 하였다. 이처럼 규방가사 <농장가>가 민요와의 교섭 과정 속에서 다양한 내용적 변주와 변개를 보이게 된 것은 모성애와 기대 정서를 표출하는 데에 더욱 초점을 맞춘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민요는 장르적으로 어머니가 아기를 달래거나 재우는, 기능적 측면이 중시되었던 양식인데 비해, 규방 가사는 기능적 측면보다는 오히려 작자 자신이 아기에 대해 느끼는 정 서적 측면과 아기에 대한 기대 심리를 술회하는 데 더욱 효과적이었다. 따라서 유교적 이념에 부합하는 이상적 인간상과 관련된 다양한 대상을 가져와 대구 형식과 반복적 표현을 통해 병렬적으로 서술하여 가사를 창작하고 이를 향유함으로써 작자의 정서가 확장되고 공유되어 문화적 의미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sider structural features of Nongjangga(농장가) that express joy which gave birth to a son and expectations for him, futhermore to clarify the cultural meaning of writing and enjoyment. Currently six different kinds are identified as Gyubanggasa(규방가사) affiliated with Nongjangga(농장가). There are differences each work, but generally all works start for calling son, and contents which playing look, sleeping look, praying for longevity, appearance․ speech․writing․judgement, lovely figure, putting the baby to sleep, form of riding on one's back, crawling look are followed. In particular, it was characteristic that Nongjangga(농장가) was created through influence with fork song which humor a crying baby. Nongjangga(농장가) was accepted the expression of folk song, repetition and parallel, on the other hand it took on an variety of form by diversifying the type and character which refer to baby. And it was strengthened the meaning by adding new substances which reflect consciousness of gentry families. This means that Nongjangga(농장가) focus more on motherhood and to express their expectations. At this time, the writer of Nongjangga(농장가) brought a variety of targets associated with the Confucian philosophy to meet the ideal man, and could strengthen the sentiment of the individual.

목차

1. 서론
2. <농장가>의 구조
1) <농장가>의 구성양상
2) 합가적(合歌的) 특성과 변개(變改)
3. 규방가사 <농장가> 창작 및 향유의 문화적 의미
1) 모성애(母性愛)와 기대 정서의 확장과 공감
2) 기층양식 활용과 내적 술회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송재연(Song Jae-yeon). (2016).<농장가>의 구조와 의미.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32 , 233-261

MLA

송재연(Song Jae-yeon). "<농장가>의 구조와 의미."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32.(2016): 233-26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