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근대계몽기 과부(寡婦)에 대한 시적 표상과 매체적 인식

이용수 385

영문명
Widows' life on the newspaper articles and poetic images in Modern Enlightenment Times
발행기관
한국고전여성문학회
저자명
이형대(Lee, Hyung-dae)
간행물 정보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제32권, 5~35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6.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근대계몽기를 살아갔던 과부의 삶을 시가라는 문예적 양식과 신문기사라는 신문매체를 통해 구명하고자 하였다. 즉 문학적 형상과 매체적 인식이라는 두 측면에서 접근하여 이 시기 과부의 삶을 좀더 총체적, 객관적으로 조망해보고자 한 것이다. 시적 표상의 측면에서는 규방가사 계열의 작품들과 계몽가사 계열의 작품들을 분석의 대상으로 삼았다. 전자의 작품들에서는 전근대적 가족 질서 속에서 남편의 상실과 더불어 정체성을 잃어버린 과부들의 고독감, 소외된 존재로서의 근원적인 슬픔을 노래하고 있었다. 역사적 시간대는 이미 근대의 문턱에 들어섰지만, 그녀들의 삶은 전근대에 머물러 유교의 규율과 습속에서 정절 이데올로기를 내면화한 일상들이 지속되고 있다. 반면에 계몽가사 계열의 작품들에서는 과부 자신의 실존 문제를 당대의 사회현실과 끊임없이 연계시키며 사회적 존재로서 과부를 둘러싼 객관 현실을 문제 삼는다. 나아가 과부의 삶을 위협하는 사회현실을 폭로하기도 하며, 근대 국민국가의 실현과 근대적인 정상가족의 구현이라는 공적 이상에 주체로서 참여하는 면모를 보이기도 한다. 말하자면 일종의 근대적 기획자이자 미래의 시간을 열어가는 존재이기도 한 것이다. 이렇게 본다면 근대계몽기의 과부 형상은 여러 이질적인 시간대의 삶이 뒤 섞여 있는, 비동시성의 동시성이라는 다중적, 교차적 삶의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고 할 만하다. 전근대 시기 과부의 삶은 늘 사적 영역의 그늘에 가려져 있었지만, 신문매체라는 근대적 공론장의 형성과 더불어 과부의 삶은 공중들에게 생생하게 드러날 수 있었다. 과부 관련 기사를 살펴보면 주권국가의 법적보호망이라는 안전지대의 외부에서 재산 강탈이나 신체적 폭행 등을 감내해야 했던 과부들의 어려운 현실을 목도할 수 있다. 경제적 수탈과 인 권 유린의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공익을 사유하고 공적 영역에 참여했던 주체로서의 면모도 확인할 수 있다. 비동시적 시간대를 살아가야 했던 과부들의 기사를 가감없이 보도했던 신문기사를 근대적 공론장의 기능과 관련지어 생각해 본다면, 담론효과의 측면에서 긍정적인 의미가 있다고 여겨진다. 공론장에 참여하는 공중들은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공통감’에 기반하여 과부들의 삶의 현실을 자신의 처지와 관련하여 이해할 수 있었으며, 공론장의 평등한 주체로서 인식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좀더 긴 안목으로 보았을 때, 이러한 공론장의 기능이 분열되고 이중화된 과부 담론과 과부의 삶을 점진적으로 지양하는 데 기여했으리라 여겨진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lives of widows who lived in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through literature style, poetry and medium of newspaper, newspaper articles. That is, it was tried to comprehend the lives of widows during this period more generally and objectively by approaching two aspects of literary form and medium recognition. In the aspect of poetic symbol, the works in the series of enlightenment lyrics and the works in the series of lyrics depicting women’s lives were analyzed. In the former works, they sang fundamental sorrows as the isolated existences and loneliness of widows who lost their identity as well as the loss of their husbands in the pre-modern family order. The historical time zone already stepped over the threshold of the modern era, but their lives stayed in the pre-modern era and kept daily lives which internalized the chastity ideology in the Confucian regulations and conventions. Otherwise, in the works in the series of enlightenment lyrics, it was made an issue of objective reality around widows as the social existences in relation to the widow’s own existence and the reality of society at that time ceaselessly. Furthermore, it was exposed the reality of society which threatened the lives of widows and showed the aspect to participate in the public ideal to realize the modern normal family and to materialize the modern nation-state as the main agents. In other words, they were a kind of modern planners as well as existences to open time of the future. In this respect, the forms of widow in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would appear the multiple and intersectional lives of synchronism of asynchronism which lives of several different time zones were mixed up. The lives of widows in the pre-modern era were overshadowed by the private area all the time, but it could be revealed to the public vividly due to the form of modern public sphere of medium of news paper. The difficult realities of widows who endured extortion of property or physical violence in the outside of the safety zone that was the legal protection of the independent country were observed by examining the articles related to widows. And it was confirmed the appearance as the main ag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ublic area and possessed the public interests in difficult situations such as economic exploitation and infringement upon personal rights. If it would be considered that the news paper articles which reported the news of widows who had to live in the nonsimultaneous time zone honestly to related to the function of modern public sphere, it is regarded that it had positive significance in the aspect of discursive effect. For the public who participate in the public sphere could understand the reality of lives of widows related to their own situations on the basis of ‘sensus communis’ as the members of the community and recognize as the equal main agents of the public sphere. In the long view, it is considered those functions of the public sphere would contribute to reject the divided and redundant lives of widows and widow discourse gradually.

목차

1. 문제 제기
2. 시적 표상의 두 계열과 비동시적 삶의 양상
1) 규방가사 ‘과부가’류에 나타나는 전근대적인 삶의 잔여들
2) 계몽가사 소재 과부의 고단한 존재 현실과 미래적 삶의 전망
3. 과부 관련 기사와 근대적 공론장의 기능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형대(Lee, Hyung-dae). (2016).근대계몽기 과부(寡婦)에 대한 시적 표상과 매체적 인식.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32 , 5-35

MLA

이형대(Lee, Hyung-dae). "근대계몽기 과부(寡婦)에 대한 시적 표상과 매체적 인식."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32.(2016): 5-3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