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의 범주와 자질에 관하여

이용수 70

영문명
On the Category and Features of -Ko
발행기관
서울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저자명
정용길(Yong kil Jeong)
간행물 정보
『인문논총』27, 59~74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8.31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Jeong(1990)은 한국어의 동사접사인 -고와 대격조사인 -를과 통일한 환경에서 허가된다는 사실에 근거하여 -고가 대격표지라는 분석을 제시한다. 한편 Yoon(2013)은 -고를 대격표지로 분석하는 Jeong(199)의 주장을 반박하며 -고는 대격표지가 아니고 보문소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Yoon(2013) 의 이러한 주장에는 이론적, 경험적 문제가 있다. 먼저 Yoon(2013)은 대격표지와 보문소가 서로 대비되는 개념으로 가정하고 있는데 이는 명백히 잘못된 가정이다. 보문소는 문법범주에 해당하는 반면에 (대)격표지는 문법범주가 아니라 문법자질에 속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Jeong(l999)은 -고를 대격자질을 지니고 있는 보문소로 분석하고 있다. 따라서 Yoon(2013) 의 주장이 논리적인 타당성을 얻기 위해서는 -고가 격표지가 아니라 보문소다라고 주장하는 대신에 ‘보문소는 격자질을 포함할 수 없다‘라고 주장해야 한다. Yoon(2013)은 격표지들인 - 가나 -를이 생략되는 환경에서 -고가 생략될 수 없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고가 격표지일 수 없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 주장에도 문제가 있다. 먼저 여기서 언급된 환경에서 어떤 접사가 생략되었다는 사실이 그 접사가 격표지라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즉 격표지 이외의 다양한 표지들도 동일한 환경에서 생략될 수 있다. 그리고 생략현상을 좀 더 확대해 보면 오히려 -고와 -를이 같은 속성을 보여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므로 -고가 격표지가 아니고 보문소라는 Yoon(2013) 의 주장은 설득력이 약하다. 그리 고 Jeong(l999) 에 대한 반박이 설득력을 얻으려면 -고와 -는의 대조적인 분포를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영문 초록

Jeong (1999) proposes that the verbal particle -ko is a morphological realization of accusative case feature. Criticizing Jeong's (1999) argument, Yoon (2013) argues that -ko is not a case marker but a complementizer. Yoon's (2013) criticism, however, reveals serious problems both theoretical and empirical. First, Yoon (2013) does not distinguish between syntactic categories and morphological features. Yoon's (2013) main point is that -ko is not a case marker but a COMP. Note, however, that the latter refers to a syntactic category but the former to a morphological feature. Jeong (1999) assumes that -ko is a COMP and therefore Yoon's (1993) criticism against Jeong (1999) is not valid theoretically. Yoon (2013) also shows that unlike -ka and -lul, -ko cannot be deleted in some cases, which he argues provides evidence against Jeong's analysis of -ko as a case marker. If we consider more examples regarding the deletion phenomenon, however, we find that -ko patterns with case markers -ka and -lul. This implies that the phenomenon mentioned in Yoon (2013) has nothing to do with the discussion of whether -ko is a case marker or not. A valid criticism of Jeong' s (1999) analysis of -ko should provide a principled account of the fact that -ko is licensed by verbs but not by nouns or adjectives.

목차

국문요약
1. 서론
2. 대격표지로서의 -고
3. Yoon(2013) 에 대한 비판적 고찰
4.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영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용길(Yong kil Jeong). (2013).-고의 범주와 자질에 관하여. 인문논총, 27 , 59-74

MLA

정용길(Yong kil Jeong). "-고의 범주와 자질에 관하여." 인문논총, 27.(2013): 59-7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