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지적장애 특수학교 교사들의 직무만족도가 질적인 중등특수교육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교사수행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85

영문명
Effects of Teachers’ Job Satisfaction on Quality Management in Secondary Special Education Program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발행기관
한국특수교육학회
저자명
박영근ㆍJohn L. Hosp(Yung keun ParkㆍJohn L. Hosp)
간행물 정보
『특수교육학연구』제50권 제4호, 91~110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3.30
3,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지적장애 특수학교 교사들의 직무 만족도를 살펴보고, 직무만족도가 어떻게 중등특수교육 프로그램운영의 교사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본 연구이다. 이 연구의 참여자는 대구, 경북, 울산, 경기, 부산 지적장애 특수학교에서 근무하고 있는 110명의 교사들이다.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Smith 교사 만족도 검사를 연구 목적에 맞게 수정하고, 중등특수교육 프로그램의 표준을 활용하여 설문을 제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기술분석, 일원분산분석, 상관관계,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지적장애 특수학교 교사들의 전반적인 직업 만족도는 학교 환경에 관한 것이 가장 높았고 교사 전문성 개발의 기회측면에서 가장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지적장애 특수교사들의 내적만족도는 외적만족도 보다 통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교사들의 담당 학년, 교사경력, 소지학위에 따라서 교사들의 내적, 외적, 전반적인 직무 만족도에 차이가 나타났다. 상관관계분석에서는 1) 교사들의 내적, 외적만족도 간에, 2) 교사들의 전반적인 직무만족도와 프로그램의 질 간에, 3) 내적만족도와 프로그램의 질 간에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회귀분석 결과에서는 교사들의 직무 환경에 대한 만족도와 교사의 외적 만족도가 지적장애 특수학교 교사들의 중등특수교육 프로그램 운영의 수행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함의 및 제안 등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job satisfaction of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 and verify how the job satisfaction of secondary special school teacher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D) influences the current status of implementing quality secondary special education programs in Korea.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110 special school teachers working with students with ID in Daegu, Kyungbuk, Ulsan, Kyungki, and Busan, Korea. For the data collection, modified Smith Teacher Intent to Stay Inventory, the Smith Teacher Job Satisfaction Scale, and Proposed Standards for Evaluating the Quality of Secondary Special Education Programs was used.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correlation, regression were used for data analysis. Special school teachers’ overall job satisfaction is highest with the school environment and lowest with professional development opportunities. In addition, teachers’ overall intrinsic job satisfaction is higher than extrinsic job satisfaction.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f intrinsic, extrinsic, and overall job satisfaction domains among teacher groups divided by grade level taught, years of teaching, and degree held. As a results of correlation test, there were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1) extrinsic job satisfaction and intrinsic job satisfaction, 2) overall five job satisfaction domains and the quality of program, and 3) extrinsic job satisfaction and the quality of program. Finally, a regression test indicate that the satisfaction level with working environment and extrinsic job satisfaction influence the current job performance for managing quality secondary special education program. Implication and suggeston of this study are discussed.

목차

Abstract
Ⅰ. Introduction
Ⅱ. Method
Ⅲ. Results
Ⅳ. Discussion and Suggestion
Reference
국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영근ㆍJohn L. Hosp(Yung keun ParkㆍJohn L. Hosp). (2016).지적장애 특수학교 교사들의 직무만족도가 질적인 중등특수교육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교사수행도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학연구, 50 (4), 91-110

MLA

박영근ㆍJohn L. Hosp(Yung keun ParkㆍJohn L. Hosp). "지적장애 특수학교 교사들의 직무만족도가 질적인 중등특수교육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교사수행도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학연구, 50.4(2016): 91-11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