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시대 회곽묘의 계층성과 확산

이용수 798

영문명
A Study on Social Class and the Diffusion of Lime-Mortar Burials of the Joseon Dynasty
발행기관
한국상고사학회
저자명
김현우(Kim Hyun woo)
간행물 정보
『한국상고사학보』제91호, 75~120쪽, 전체 4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2.25
8,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그간 조선시대 회곽묘는 양반계층의 묘제로서 인정되었지만 본고는 서울·경기지역 대규모 분묘군의 회곽묘를 대상으로 분묘 배치양상, 양반계층 회곽묘와의 단순일치계수 및 회곽 계측치의 비교를 통해 서울·경기지역 대규모 분묘군에서 확인되는 회곽묘는 양반계층보다는 일반민에 의해 축조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였다. 조선시대 회곽묘가 일반민으로 본격적인 확산이 이루어진 시점은 17세기 중반 이후로 생각되는데, 이는 성리학적 예법의 광범위한 확산과 함께 일반민의 양반층에 대한 동경과 모방이 결합함으로써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회곽묘의 계층적 확산과정에서 양반계층의 회곽묘에 비해 상대적으로 규모가 축소되고 다양한 형태적 변이가 확인되는데 이러한 양상은 양반계층에 비해 석회의 확보가 원활하지 않았던 것에 기인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한편 회곽묘의 일반민으로의 확산을 통해 당시 석회 수요의 증가 현상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며, 이러한 현상은 문헌과 물질자료에서 확인되는 조선 후기 석회 생산의 증가 양상과 어느 정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영문 초록

Until now, it has been assumed that lime-mortar burials of the Joseon Dynasty were constructed by Yangban(겱班) class. However this view was not verified by archaeological data but was only a hypothesis. So, in this paper to examine the social class of lime-mortar burial, lime-mortar burials at large cemetery site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ere compared with definite Yangban class’ lime-mortar burials through the spatial distribution of burials, a simple matching coefficient, and size. As a resul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lime-mortar burials at large cemetery site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ere constructed by the common people of Joseon. These lime-mortar burials were diffused to the common people of Joseon after mid-17th century. Diffusion of lime-mortar burials to common people could be under the wide dissemination of Neo-Confucian rite and the common people’s yearning to be, and imitation of, the Yangban class. After the diffusion of limemortar burial to the common people, many variations of lime-mortar burials appeared in large cemetery sites of Seoul and Gyeonggi province. It is assumed that this archaeological phenomenon was caused by the shortage of lime to construct lime-mortar burials. In the meantime, diffusion of the lime-mortar burial led to the increase of lime producti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 대상 및 방법
Ⅲ. 서울·경기지역 대규모 분묘군 내 회곽묘의 축조 양상
Ⅳ. 서울·경기지역 대규모 분묘군 내 회곽묘의 계층적 성격과 확산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현우(Kim Hyun woo). (2016).조선시대 회곽묘의 계층성과 확산. 한국상고사학보, (91), 75-120

MLA

김현우(Kim Hyun woo). "조선시대 회곽묘의 계층성과 확산." 한국상고사학보, .91(2016): 75-1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