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축조공정을 통해 본 영산강유역 제형분구의 성격과 의미

이용수 395

영문명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Trapezoidal Burial Mounds in the Yeongsangang River Basin in terms of Construction Process
발행기관
한국상고사학회
저자명
한옥민(Han Ok min)
간행물 정보
『한국상고사학보』제91호, 43~73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2.25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제형분구는 영산강유역에서 가장 유행한 분형으로 대체로 3세기 전후에 출현하여 고총고분이 등장하기 이전인 5세기 중엽까지 조영된다. 제형분구에 대한 그간의 인식은 분구묘라는 큰 틀 속에서 지상식의 지향 관념에 의해 조성된다는 시각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자료가 증가되면서 기왕의 인식과 다른 새로운 사실들이 확인됨에 따라 재고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이에 필자는 제형분구의 최초 피장자(중심매장시설)를 중심으로 축조공정을 파악하여 그간의 연구 성향에 대해 검토하였다. 주요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제형분구의 최초 피장자인 중심매장시설은 분구의‘동시성토를 통한 지하식 매장구조’였으며, 여기에 부가되어진 추가매장시설들만이 ‘先墳丘造成을 통한 지상식 매장구조’임을 알 수 있었다. 중심·추가매장시설간의 매장위치가 달랐던 매장풍습은 제형분구 출현 이후부터 5세기 전·중엽까지 이어지는 공통된 현상이었다. 특히 중심매장시설이 안치된 초축 분구 축조공정 내용에서 가장 주목되는 점은 주구의 굴착토를 분구로 퍼올리는 과정에서 분구 외연을 따라 자연스럽게 형성되어진 참호형상(분구 중앙이 빈 공간으로 남겨지는 형상)의 성토를 그대로 이용했던 소위 ‘막쌓기 방식’의 확인이었다. 참호형상을 이용함에 따라 중심매장시설의 안치 공간은 별도의 굴광 작업을 진행할 필요가 없이 내측 경사면을 다듬는 정도로 마무리된다. 또한 굴광의 마감면은 낮은 성토 높이에 연동하여 중심매장시설의 보호를 위해 정지층~기반층에 한정된 일부 층을 굴착한 지하식 구조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성토층 내에서 묘광의 굴광선은 찾기가 쉽지 않는 반면, 바닥 윤곽은 선명하게 남게 되는 정황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축조공정을 간과한 채 그동안의 인식은 중심매장시설의 상단부위치가 성토층에 자리한다는 현상만으로 분구‘되파기’라고 오인해 왔던 것이다. 현행대로 분구묘의 개념을 적용할 시, 최초 분구를 조성하면서 진행된 현상과 의미를 희석해버릴 수 있다는 문제점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필자는 고분 자료에 대한 올바른 연구는 최초 피장자(중심매장시설)와 관련된 장법의 내용을 포함한 ‘과정적 의미’를 정리하는 것이 첫 번째이고, 최종 완성된 결과적 의미인‘다장’이라는 매장풍습의 제일성을 확인하는 것은 다음 작업이라 본다.

영문 초록

A trapezoidal burial mound is a style of a burial mound that was most prevalent in the Yeongsangang River basin. This trapezoidal burial mound originated in around the 3th century AD and lasted into the middle 5th century AD, before a type of ancient huge tomb appeared. The conventional understanding has been predominant that a trapezoidal burial mound was constructed based on the concept of an orientation toward above-ground burial in a large frame of a mounded tomb. However, as new facts inconsistent with the conventional understanding have been found with an increase in relevant data, now is the time to reconsider the conventional understanding. In this sen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view the tendency of existing studies by identifying the construction process centered on the first person buried in a trapezoidal mound as central burial facilities. The main contents are as follows: Central burial facilities first constructed inside a trapezoidal mound were an ‘underground burial structure based on concurrent banking of a mound’, and only extra burial facilities added to this structure were an ‘above-ground burial structure based on a first created mound’. In short, these two structures we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burial location. This burial customs was a common phenomenon that lasted from the time of appearance of a trapezoidal mound up to the early and middle 5th century AD. In particular, the construction process of central burial facilities was implemented not following a first created mound but using a method like what is called ‘random masonry’ that used a shape of a trench, which left the center of a mound vacant, naturally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a mound in the process of scooping soils dug out from the creation of a circumferential ditch up on a mound. As the shape of a trench was used, a space for the placement of central burial facilities didn't need extra hole digging and was completely created only by finishing slopes inside the space. This space was an underground structure that had only a flattening stair to a base stair dug interlocking the finished surface of a hole with low embankment for the protection of central burial facilities. So, the line of a grave hole was not easy to find out, while the contour of the bottom was clearly left. With the negligence of this construction process, a trapezoidal burial mound has been misunderstood as ‘a redigging’ of a burial mound, based on the fact that the upper end of central burial facilities was placed on an embankment layer. The application of the conventional concept of a mounded tomb is found to pose a problem of undervaluing the phenomena and meaning of the first creation of a burial mound.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in the first place, the right approach to the data on ancient tombs is to identify ‘the meaning of processes’ including burial method related to the first person buried in central burial facilities and that it is the next thing to be considered to identify the uniformity of burial customs, ‘multiple burials’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연구사 검토 및 문제제기
Ⅲ. 제형분구의 축조공정 복원과 특징
Ⅳ. 제형분구의 축조 성격과 의미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옥민(Han Ok min). (2016).축조공정을 통해 본 영산강유역 제형분구의 성격과 의미. 한국상고사학보, (91), 43-73

MLA

한옥민(Han Ok min). "축조공정을 통해 본 영산강유역 제형분구의 성격과 의미." 한국상고사학보, .91(2016): 43-7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