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독일표현주의 목판화에서의 외상(Trauma)적 표현연구

이용수 747

영문명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Trauma in the Woodcut of German Expressionism
발행기관
한국조형디자인학회
저자명
임영길(Yim, Young-kil) 이시은(Lee, Si-eun)
간행물 정보
『조형디자인연구』조형디자인연구 제18집 3권, 149~168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9.2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목판화의 제작과정과 작품을 통해서 외상(外傷, 트라우마)의 흔적을 고찰하려는시도이다. 일반적으로 외상은 어떤 극심한 사건으로 인한 심적 충격을 말한다. 프로이트는 외상을 일컬어, 방패를 뚫을 정도로 강력한 외부 자극이라 설명한다. 이러한 외상은 꿈과 같은형태로 시간과 장소를 초월하여 ‘반복강박’적으로 불쑥 나타나 외상의 기억을 상기하며 재현을 시도한다. 이 같은 부분은 목판화가 제작과정을 통해서 이미지를 실현하려는 것과 흡사하다. 목판화의 형식에서 판재의 판화용 칼로 마치 상처를 입히듯이 판재에 각인과 새김으로 이미지를 구현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목판화는 제판된 판재에 기반을 두고 복수(edition)의 원본을 만들어낸다. 목판화는 재현을 위해 반복적인 행위를 통해서 이미지를 만드는 것이다. 심리적이고 정신적인 징후에 속하는 외상은 주체의 경험에서 비롯되어 곧 주체의 삶에 투영된 다. 그리고 작가에게는 표현의 동기부여와 원동력으로 작품에 반영된다. 이 같은 점에서 외상의 개념은 판화의 제작과정과 형식 구조에서 만들어낼 수 있는 구체적인 표현도구라 할 수 있겠다. 이러한 부분들을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 개념에서 외상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서목판화의 물성적, 기법적인 특성이 외상을 표현하기에 매우 용이 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20세기 초 독일표현주의의 목판화작품에서 그 시대의 부조리함이 외상적 징후로 나타났으며, 작가 개인의 삶에 반영된 외상이 작품에 드러남을 분석하였다. 이것은 목판화의 특성이 외상의 감정 이입과 감정을 표출하는 부분에 매우 타당한 것으로 보여진다. 19세기 중반 사진의 발명으로 회화와 판화는 침체기를 가졌으나 독일표현주의로 인해서 목판화가 다시금 부각되었다. 독일표현주의에서도 가장 활발했던 다리파는 드레스덴(Dresden)을 기반으로 에른스트 루드비히 키르히너(Ernst Ludwig Kircher)와 에릭 헤켈(Erich Heckel)과 같은 작가들의 활동이 있었다. 이들은 회화뿐만 아니라 판화작품으로 당시의 시대 상황과 개 인의 감정을 잘 드러내고 있다. 1915년 이후 독일표현주의는 격렬하고 혹독한 항의 운동을 감행했으며 이 활동에 중심에는 케테 콜비츠(KKthe Kollwitz)와 같은 판화작가들이 있었다. 콜비츠는 자신에 고통과 아픔이 주어졌을 때, 즉시 그것을 타인과 ‘함께’ 공유할 수 있는 부분을 작품에서 찾아야만했다. 콜비츠의 삶과 예술은 자신과 더불어 타인에게까지 전해지길 간구했 다. 그래서 그녀는 판화의 특성을 이용하여 그녀의 아픔을 작품에 담았다. 그리고 뭉크(Edvard Munch) 역시 유화로 해소하지 못한 고통과 상처를 반복하여 목판화로 표현했다. 이것은 목판화가 지닌 특성이 뭉크의 내적 감정표출을 충분히 감당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이처럼은 외상은 작가에게는 궁극적인 자극으로서 감정이입과 표출로 예술의 흔적을 남겼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서 현대미술에서 판화의 존재적 필요성을 재확인할 수 있는 기회가되며 더 나아가 이 시대가 격고 있는 외상은 더 이상의 질병적인 요인보다는 주체에게는 긍정적인 삶의 이유로 그리고 작가에게는 예술의 흔적으로 반영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ttempts to consider the trace of trauma through the process of making woodcut and a work of woodcut. In general, trauma refers to a psychological shock caused by an extreme event. Sigmund Freud explained that trauma is a stimulus, which is strong enough to break through a shield. The trauma appears in the form of dream unexpectedly through repetition compulsion regardless of time and space trying to reproduce the trauma by recalling the memory of trauma. This is similar to woodcut, which tries to realize the image in the process of making it. In the form of woodcuts make images by engraving on wood panel with the woodcut kife, which is emerges engraved and embossed. It seems to be as a woun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woodcut, a number of editions are made as original based on an already made board. In the woodcut, image is made through repetitive behavior for reproduction. The trauma, which belongs to psychological and mental symptoms, is originated from one’s experience and reflected in one’s life. For an artist, the motivation of expression and driving force are reflected in his or her work. In this regard, the concept of trauma is a specific tool for expression that can be made in the process of making engraving and structure. Sigmund Freud considers trauma from the perspective of psychoanalysis and it was found that the property and technique of woodcut make the expression of trauma easy. In particular, in the woodcut works of German Expressionism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irrationality of that time was expressed as trauma and it was found that the trauma reflected in the individual life of an artist was expressed in one’s art work. It seem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woodcut is very appropriate to involve and express the feeling of trauma. While the engraving technique in the painting encountered recession in the mid 19th century with the development of a picture but the woodcut was highlighted again due to German Expressionism. The main concept of the German Expressionism was to awaken the psychological community and identity through individual artist’s “struggle” and objective expression. The most active group in the German Expressionism was Die Bruke (The Bridge) in which artists including Dresden, Ernst Ludwig Kircher and Erich Heckel took part in. The artists expressed the situation of that time and individual emotion not only through painting but also through engraving works. After 1915, German Expressionism conducted strong and severe protest movement and at the center of the movement, there was engraving artists like KKthe Kollwitz. She had to find out her way to share her agony and pain together with “others” in her works. She wanted to spread her life and artwork not only to herself but also to others. That is way she included her agony in her work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engraving. In addition, Edvard Munch expressed his agony and wound in engraving repetitively as he could not express them fully through oil painting. That is because the characteristics of woodcut seem to withstand the expression of inner emotion of Edvard Munch. As such, trauma was an eventual stimulus for an artists to make them leave the trace of art through empathy and expression. This study is an opportunity to reconfirm the need for the existence of engraving in modern art. Moreover, the study proposes the possibility of making trauma of our times not an element of disease but the reason for living for those who experience trauma and the trace of art for an artist.

목차

Ⅰ. 서론
Ⅱ. 목판화에서의 외상(trauma)적 증후
1. 외상의 전개와 용어의 변천
2. 외상과 판화의 형식
III. 독일표현주의와 목판화
1. 목판화의 물성적 표현 특징
2. 독일표현주의에서의 목판화
3. 독일표현주의 목판화에서의 외상적 표현
IV. 결론
□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영길(Yim, Young-kil),이시은(Lee, Si-eun). (2015).독일표현주의 목판화에서의 외상(Trauma)적 표현연구. 조형디자인연구, 18 (3), 149-168

MLA

임영길(Yim, Young-kil),이시은(Lee, Si-eun). "독일표현주의 목판화에서의 외상(Trauma)적 표현연구." 조형디자인연구, 18.3(2015): 149-16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