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집단정체성, 네트워크 중심성, 구성원의 이슈리더십과 성과와의 관계에 대한 탐색적 연구

이용수 735

영문명
An Exploratory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ctive Identity, Network Centrality, Employees' Issue Leadership and Job Performance
발행기관
리더십학회
저자명
김재훈(Jae Hoon Kim)
간행물 정보
『리더십연구』제6권 제4호, 45~82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12.31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과제는 집단정체성, 사회적 네트워크 중심성, 구성원의 이슈리더십과 성과와의 관계를 탐색적으로 고찰해보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첫째, 사회적 관계형성과 관계가 깊은 개인적 특질 중 하나인 집단정체성이 사회적 네트워크 중심성의 선행변수로서 정(+)의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 둘째, 네트워크 중심성이 조직의 공식 리더(부서장)가 아닌 구성원(팀원)이 발휘하는 이슈리더십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이슈창안, 오디언스 참여, 이슈실행 등 3개의 하위 차원으로 세분화하여 알아보며 셋째, 성과변수인 직무성과, 혁신행동, 리더인정에 네트워크 중심성과 이슈리더십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적으로 고찰해 보고자 한다. 탐색적인 연구결과, 집단정체성이 네트워크 중심성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났지만, 샘플 사이즈가 크게 되면 유의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됐다. 네트워크 중심성은 이슈창안과 오디언스 참여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성과에 있어서는 네트워크 중심성 및 이슈창안과 오디언스 참여가, 혁신행동에 있어서는 이슈창안과 이슈실행이, 리더인정에 있어서는 이슈실행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네트워크 중심성과 직무성과와의 관계에서 이슈창안과 오디언스 참여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탐색적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문적, 실무적 차원에서 시사점과 한계에 대해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ctive identity, social network centrality, employees' issue leadership and performance. Specifically, three approaches were taken. Firstly, collective identity, which is closely related to formation of social relationship and is one of its individual characteristics, is researched to understand whether it has positive relationship as an antecedent to the network centrality. Secondly, the network centrality's influence on the employee's issue leadership (not the formal leaders in leadership roles in the organization), in three areas, issue creating, audience involving, and issue implementation were reviewed. Thirdly, a research aims to show the relationship network centrality and issue leadership on the performance variables such as job performance, innovative behaviors, and leadership recognition. From research standpoint, the collective identity's influence on network centrality showed that it was not significant, however it is predicted that should the sample size be larger, it is expected to show higher probability of a positive relationship. The network centrality showed positive relationship with issue creating and audience involvement. Positive relationship were also evident in performance results, between i) network centrality and issue leadership's issue creating and audience involvement; ii) innovative behavior and issue creating and issue implementation; and, iii) leadership recognition and issue implementation. Furthermore, issue creating and audience involvement were mediators between network centrality and job performance. The implications on the academic literature and managerial practices are also discussed.

목차

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연구가설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재훈(Jae Hoon Kim). (2015).집단정체성, 네트워크 중심성, 구성원의 이슈리더십과 성과와의 관계에 대한 탐색적 연구. 리더십연구, 6 (4), 45-82

MLA

김재훈(Jae Hoon Kim). "집단정체성, 네트워크 중심성, 구성원의 이슈리더십과 성과와의 관계에 대한 탐색적 연구." 리더십연구, 6.4(2015): 45-8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