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신라ㆍ가야지역 象形土器의 변화와 의미

이용수 1919

영문명
A Study on the Changes and Meanings of Object-shaped Earthenwares in Shilla and Gaya Area
발행기관
한국상고사학회
저자명
홍보식(Hong Bo sik)
간행물 정보
『한국상고사학보』제90호, 35~64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11.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삼국시대 영남지역의 유구에서 출토한 상형토기의 시기별 종류 및 매납 유구의 성격과 규모의 변화 양상에 나타난 사회적 의미를 유추하였다. 기왕의 이해와 달리 상형토기는 단위 유적에서 1기 내지 많아야 3~4기에 매납되어 상형토기 매납이 일반적이지 않았고, 또 머리가 잘린 압형토기의 존재 등으로 볼 때, 상형 토기가 死者의 영혼을 승천하는 매개체가 아닌 피장자의 사회적 직능 또는 생활의 편리함을 가져다 준 이기와 지배층의 신분을 나타낸 표현이고, 공동체에서 행한 의식의 공헌물일 가능성이 높아 상형토기의 의미에 대한 새로운 이해가 필요하였다. 3세기 후반 兄山江과 太華江水系의 목곽묘에 鴨形土器의 매납이 나타나는데, 이때는 압형토기 한 종류만으로 농경ㆍ장송의례 등 다양한 관념을 표현하였다. 4세기 후반 이후에 복합적 상징물로서 압형토기를 매개로 한 관념체계의 틀이 와해되었다. 5세기 전반에는 舟形ㆍ騎馬人物形ㆍ馬形ㆍ家形ㆍ곳간형ㆍ신발형ㆍ車形ㆍ車輪裝飾形土器 등 다양한 상형토기가 나타나는데. 이는 제사체계와 관념이 세분되었음을 의미하고, 피장자의 직능 또는 지배층의 사회적 욕구를 상징한 상형토기의 매납이 이루어졌음을 보여주었다. 특히 주거ㆍ풍요ㆍ이동(또는 교통) 수단과 도구 등을 나타낸 상형토기로의 분화에는 변화 발전하는 사회 현상을 반영하는 상징물로서의 의미를 지녔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social meanings of object-shaped earthenwares excavated from the remains in Youngnam area between the 3rd Century and the 6th Century during Three Kingdoms era by types, changes of characteristics and sizes of remains by age. In the late 3rd Century, one type of duck-shaped earthenwares were buried in the large-scaled outer wooden coffin tombs in Gyeongju and nearby areas, which expressed various ideas such as farming, ancestrial worship, funerals and celebrations and myths. In the late 4th Century, there was expansion of distribution and change of style of duck-shaped earthenwares as those were not buried in central old tombs in Shilla but were buried Bokcheon-dong old tomb groups in the east part of Nakdong River and other peripheral areas. It shows disappearing of the frame of the idea system mediated by duck-shaped earthenwares as a complex symbol in important rituals. In the early 5th Century, while object-shaped earthenwares such as ship-shape, horse-riding-shape, horse-shape, house-shape, storeroom-shape, and shoes-shape were buried, the duck-shaped earthenwares expressing complex ideas were declined. Accordingly, in line with the segmentation of ritual system and idea, various object-shaped earthenwares symbolizing each feature began to be buried. From the late 5th Century onwards, various object-shaped earthenwares such as horse-shape, house-shape, storeroom-shape, vehicle-shape, shoes-shape, lineal-shape and others became popular. Diversification of object-shaped earthenwares to symbolize house, abundance, transportation means and instruments has a meaning of symbols that reflect the changing and developing social phenomenon. In the late 6th Century, the object-shaped earthenwares were no more buried as remains, which shows the decline of the ideas expressed in the object-shaped earthenwares.

목차

요약
Ⅰ. 서언
Ⅱ. 상형토기 사례와 출토 양상
Ⅲ. 상형토기의 변화
Ⅳ. 상형토기의 시기별 변화 양상과 의미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홍보식(Hong Bo sik). (2015).신라ㆍ가야지역 象形土器의 변화와 의미. 한국상고사학보, (90), 35-64

MLA

홍보식(Hong Bo sik). "신라ㆍ가야지역 象形土器의 변화와 의미." 한국상고사학보, .90(2015): 35-6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