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地形과 水文學的分析을 통해 본 古代水利施設의 農業生産力연구

이용수 518

영문명
Study of Agricultural Productivity for Ancient Irrigation Facilities using Topographical and Hydrological Analysis
발행기관
한국상고사학회
저자명
장철희(Jang, Cheol Hee) 김현준(Kim, Hyeon Jun) 성정용(Sung, Jung Yong)
간행물 정보
『한국상고사학보』제89호, 71~86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8.30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농업이 기간산업이었던 고대사회에서 水利施設의 축조는 농업의 성패를 가늠하는 중요한 요소로 정치·경제·사회 전반에 걸쳐 큰 영향을 미치는 국가적인 대규모 사업이었다. 이에 따라 수리시설의 축조 시기와 배경, 축조 기술과 운영, 구조, 蒙利효과 및 補修와 修築등에 대한 연구는 우리의 農耕문화사를 밝히는데 중요한 관건이 된다. 灌漑수리시설의 축조와 정비는 水田개발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堤防을 축조함으로써 주변의 수전 개발을 촉진하고, 가뭄과 홍수로부터 안전하게 전답을 유지할 수 있어 수확량을 높이게 된다. 농업생산력의 향상은 대내적 체제 정비는 물론 치열한 국가 간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는데 필요한 경제적 배경이 된다. 이처럼 고대수리시설은 개인과 집단 나아가 국가의 생존을 뒷받침하는 근본이었지만, 과연 우리는 그 역사성과 의미에 대해 제대로 평가를 했던 것일까? 또한, 고대수리시설의 관개 및 治水능력은 구체적으로 어느 정도였으며 근대에 비하면 어느 정도였을까? 본 연구는 고대로부터 원형을 비교적 잘 간직하고 있는 수리시설 중 慶겗 永川의 菁堤, 원형은 남아 있지 않지만 우리 史書에 기록된 수리시설로는 가장 크고 가장 오래된 갏堤의 碧骨堤를 대상으로 고고학적·역사학적 입장에서 보다는 水文學的관점에서 貯水量및 灌漑면적에 따른 농업생산력을 연구·고찰하였다. 지형 및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정보를 이용하여 저수지 규모 및 관개 면적을 추정하였으며 수문학적 해석 模型인 CAT (Catchment hydrologic cycle Assessment Tool)을 이용하여 저수량 및 관개 가능량을 분석하였다. CAT은 공간 단위별로 浸透, 蒸發, 地下水흐름 등의 模擬가 가능하도록 개발된 模型이다. 특히, 농업용 저수지 및 洪水防災用貯留시설 등의 貯留量및 放流量에 대한 模擬가 가능하다(장철희 등, 2012). 고대수리시설의 저수량 및 관개 면적에 따른 농업생산력을 공학적·수문학적으로 해석하는 연구는 과거 물관리 및 생산력의 실태를 좀 더 자세히 파악할 수 있는 토대가 될 것이며, 역사학적 자료와의 비교·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고대수리시설의 역사성 및 우수성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Construction of an irrigation facility in an ancient society was an important factor that made or broke agriculture and was a large scale national project that had a great effect across the whole politics, economy and society. For this reason, studies on the construction time and background of irrigation facility, construction technology and operation, structure, irrigation effect, and repair and reconstruction are the important keys in establishing our cultural history of agriculture.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of irrigation facility are closely related to development of rice farming. Development of rice farming was promoted in the surroundings by building a river bank, which increased the crop yield as the farmland could be safely protected against drought and flood. Agricultural productivity was an economic background required in reforming the internal system and also in holding a lead in the fierce competition between nations. Though ancient irrigation facilities were the bases that supported survival of individuals and groups as well as nations like this, did we properly evaluate its historicity and meaning indeed? Also, how were the irrigation and flood control capabilities of ancient irrigation facilities in the concrete and what was the level in comparison to those of the modern ones. In this study, the agricultural productivity depending on storage and irrigation area was studied/reviewed in the hydrologic point of view rather than in archaeological/historical point of view, selecting as the objects Cheong je of Yeongcheon, Gyeongsangbuk-do, among the irrigation facilities that are relatively well maintaining the ancient original forms and Byeokgol je of Gimje that is the biggest and oldest among the irrigation facilities recorded in our history though no original form is maintained. The size of the reservoir and the irrigation area were estimated using the topography and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information, and the storage and the potential irrigation water were analyzed using CAT (Catchment hydrologic cycle Assessment Tool), a hydrologic analysis model. CAT is a model developed to allow simulation such as infiltration), evapotranspiration and groundwater movement by spatial unit. In particular, it can simulate storage and discharge of, for example, agricultural reservoirs and detention facilities for flood disaster prevention. Studies that analyze agricultural productivity of ancient irrigation facilities depending on storage and irrigation area in an engineering/ hydrologic way will become a foundation that enables the actual situation of the past water management and productivity to be grasped in more detail, and the historicity and superiority of our ancient irrigation facilities can be found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with the historical data.

목차

Ⅰ. 머리말
Ⅱ. 地形學的分析을 통해 본 金堤碧骨堤의 農業生産力
Ⅲ. 水文學的分析을 통해 본 永川菁堤의 農業生産力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철희(Jang, Cheol Hee),김현준(Kim, Hyeon Jun),성정용(Sung, Jung Yong). (2015).地形과 水文學的分析을 통해 본 古代水利施設의 農業生産力연구. 한국상고사학보, (89), 71-86

MLA

장철희(Jang, Cheol Hee),김현준(Kim, Hyeon Jun),성정용(Sung, Jung Yong). "地形과 水文學的分析을 통해 본 古代水利施設의 農業生産力연구." 한국상고사학보, .89(2015): 71-8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