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朝鮮時代 가마터 作業場의 構造와 特徵

이용수 275

영문명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 of Kiln Sites in Joseon Period
발행기관
중앙문화재연구원
저자명
趙載京(Cho Jae Kyoung)
간행물 정보
『중앙고고연구』제5호, 51~83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12.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조선시대 가마터에서 확인된 작업장을 이해하고자 발굴조사가 이루어진 20 여기의 가마터를 중심으로 그 특징을 살펴보았다. 문헌기록에는 작업장을 ‘工作聽’이라고 부르고 있으며, 관리업무를 보던 官廳과 창고인 庫間, 임시건물인 假家 등 공관과 사가를 포함하고 있다. 현재 작업장이 확인된 조선시대 가마터는 경기도·충청도·전라도 지역에서 주로 확인되었고, 경상도와 강원도지역에서도 일부 확인되었다. 작업장은 기본적으로 장방형의 구조에 내부에는 온돌시설이 설치되었으며, 수비공·연토장·제작공간·유약통 등이 있어 도자기를 만드는 전 공정이 한 공간에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청양 대박리, 부여 나령리, 보령 늑전리 등 충청도 일부지역에서는 단순히 원형의 수비공 뿐만 아니라 원형의 수비공과 방형이나 다각형의 판석을 이용하여 곽을 짠 수비시설이 조합을 이루고 있는 충청서부지역을 중심으로 한 지역적인 특징도 나타난다. 가마와 작업장은 가마 1기와 1~2기의 작업장이 한 영역 안에서 조합을 이루는 경우(Ⅰ型)와 가마와는 별개로 작업장이 군집을 이루며 조성된 예(Ⅱ型)로 구분된다. Ⅰ型의 경우는 조선시대 전 기간에 걸쳐 조성되었고, Ⅱ型은 16세기 중반 이후부터 보이는 특징으로, 관요에서 보다는 주로 지방가마에서 많이 확인되는데, 청양 광대리의 경우 무려 51기에 달하는 작업장이 군집을 이루고 있었다. Ⅱ型의 작업장 중에는 여러 공정을 할 수 있도록 일정 공간을 확보하며 만들어진 작업장(1式) 외에 별도의 수비장과 시유장을 마련한 형태(2式)도 전라도를 중심으로 일부 확인되었다. 이와 같이 대부분의 작업장에서는 점토를 정제하던 수비공이 있었을 것으로 여겨지나 분청사기를 만들었던 보은 적암리와 번천리 5호·9호 관요에서는 수비공이 확인되지 않고 있다. 이는 분청사기의 경우 2차 점토를 별도의 정제과정을 거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였거나 관요의 경우 전국 각지에서 1차적으로 정제된 흙을 공급받는 등, 제작 공정의 차이로, 별도의 수비시설이 필요치 않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영문 초록

In order to understand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workshops uncovered at kiln sites of Joseon period, about 20 kiln sites excavated are reviewed examined in detail. According to historical literature, a workshop is called ‘Gongjakcheong’(工作聽, Manufacturing facilities) and it included facilities such as an office taking charge of administration, warehouses, temporary buildings, and private residenences. Kiln sites with workshops have been reported mainly in Gyeonggi, Chungcheong, and Jeolla provinces along with a few in Gyeongsang and Gangwon provinces. In general, workshops with rectangular floor plan with ondol(Korean floor heating system) consisted of Subigong pitrefining clay, Yeontojang(a space to store clay), a space for manufacturing, and Yuyaktong(a container for glaze) for allowing the whole processes of ceramic making in a space. Sometimes, a round-shaped Subigong is combined with a case made of square or polygonal slabs for refining clay rather than only a round-shaped Subigong, and it is considered as a regional characteristic of workshops in the western Chungcheong province. According to classification, there are two types of workshops as follows: 1) Type Ⅰworkshop:a kiln and one or two workshops within an area, 2) Type Ⅱ workshop:a group of workshops separated from a kiln. While type Ⅰ workshops had been constructed during the whole Joseon period, Type Ⅱ workshops appeared after middle of the 16th century. The type Ⅱ workshops were mainly reported at local private kilns rather than kilns owned and managed by central and local government(官窯, Gwanyo), and as many as 51 workshops forming a group were reported at a kiln site at Gwangdae-ri in Cheongyang. Type Ⅱ workshops are divided into two subtypes. While type Ⅱ-1 workshop was built in some size of area for allowing several working processes, type Ⅱ-2 workshops occasionally reported in Jeolla provinces had independent facilities for refining clay and glazing. Though Subigongs refining clay seem to have been prepared in most workshops, Subigongs were not found at Kiln No. 5 and No. 9 at Beoncheon-ri and a kiln at Jeokam-ri in Boeun, Gwanyos to produce grayish-blue-powdered celadon.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grayish-blue-powdered celadon was manufactured without a process of reefing clay, or a Gwanyo did not have to prepare a separate refining facility because already refined clay was provided.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문헌에 보이는 작업장
Ⅲ. 조선시대 백자 작업장의 실례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趙載京(Cho Jae Kyoung). (2009).朝鮮時代 가마터 作業場의 構造와 特徵. 중앙고고연구, (5), 51-83

MLA

趙載京(Cho Jae Kyoung). "朝鮮時代 가마터 作業場의 構造와 特徵." 중앙고고연구, .5(2009): 51-8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