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朝鮮의 喪葬과 灰隔

이용수 102

영문명
Burial Structure of Joseon Dynasty and the Hoegyek
발행기관
중앙문화재연구원
저자명
趙吉煥(Cho Gil Hwan)
간행물 정보
『중앙고고연구』제5호, 25~49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12.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조선은 성리학을 사회통치이념으로 채택하고, 經國大典 반포와 國朝五禮儀를 제정하여 신분질서를 제시하였다. 사대부는 仁祖 26(1648)年에 간행된 喪禮備要와 이후에 편찬된 四禮便覽을 따랐다. 이에 따라 탄과 삼물(石灰·細沙·黃土 拌均者)을 이용하여 관을 넣을 수 있게 장(墻)을 만들어 광과 관을 구별짓는 회격(灰隔)이라는 새로운 무덤양식이 지배층의 묘제로 채택된다. 상례비요와 사례편람에서 ①곽을 사용한 방식, ②층층으로 다진 방식, ③내부에 흙을 넣어 회격을 조성하는 방식 등이 확인된다. 회격은 조선시대 무덤의 매장주체부를 형성하는 하나의 양식으로, 세조 이전까지 지배층에서 채택한 석실(곽)을 대체하는 개념으로 받아들여지는데, 왕과 대부사서인에게 모두 적용된다. 이러한 인식의 토대에는 회격이 온전히 돌이 되어 시신을 풀뿌리와 벌레 등으로부터 지킬 수 있다는 장점에 의해 사후(死後)의 효를 실천하는 구체적인 방법으로 지배층에 권장된 사항으로 판단된다. 회격은 유풍(遺風)과 발굴조사를 통하여 1980년대까지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는데, 고래로 내려오는 실·곽·충전 등이 복합된 개념으로 수용된 것이다. 본 연구는 추후 발굴조사를 통하여 얻어지는 많은 조선시대 토광묘의 회격을 이해하는 한단초가 될 것을 믿어 의심치 않으며, 조선의 성리학적 상례에 대한전반적 이해의 첫걸음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Joseon adopting Neo-Confucianism as a ruling ideology suggested order of social caste through promulgation of Gyeongguk Daejeon(『經國大典』, Grand Code of Managing the Nation) and enactment of Gukjo Oryeeui(『國 朝五禮儀』, The National Five Rites). Literati followed Sangryebiyo(『喪禮備 要』, Guidebook for Funeral Rites) compiled in the reign of 26th year of King Injo(1648) and Saryepyeonram(『四禮便覽』, Handbook for four the ceremonial occasions of coming-of-age, marriage, funeral, and ancestor worship) compiled later. A new burial structure called Hoegyek(灰隔) which separated a burial hole and a coffin with making a wall. According to Sangryebiyo and Saryepyeonram, there were three types of burial as follows: 1) the first type using an outer-coffin, 2) the second type tramping earth layer upon layer, and 3) the third type forming a Hoegryek with filling a space between a coffin and a burial hole with earth. The Hoegyek, a style to prepare a burial platform were considered to be a facility to substitute a stone chamber(or an outer-coffin) before the reign of the King Sejo, and it was applied to kings, officials, and commoners. The Hoegyek, considered a facility to protect the dead fromgrass roots and insects seems to have been recommended as a device to practice filial pietyafter ancestor’s death. Based on excavation reports and a custom handed down, the Hoegyek, had been adopted until the 1980s, and it could be understood as a facility adopted as combined concept of a burial chamber, an outer-coffin, and a filling up. This study will be a foundation to understand the Hoegyekof pit burials built in the Joseon period which will be reported in future excavations, and it will be also a first step to understand Joseon’s funeral rites based on Neo-Confucianism in a general sense.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朝鮮時代 身分制
Ⅲ. 喪禮와 喪葬節次
Ⅳ. 灰隔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趙吉煥(Cho Gil Hwan). (2009).朝鮮의 喪葬과 灰隔. 중앙고고연구, (5), 25-49

MLA

趙吉煥(Cho Gil Hwan). "朝鮮의 喪葬과 灰隔." 중앙고고연구, .5(2009): 25-4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