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기 등자의 발전

이용수 408

영문명
The Development of Early Stirrups in Ancient Northeast Asia
발행기관
중앙문화재연구원
저자명
최병현(Choi, Byung-Hyun)
간행물 정보
『중앙고고연구』제14호, 1~57쪽, 전체 57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6.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중국 전연시기의 출현기 등자에서부터 고구려와 신라의 초기 등자를 살펴보면 단병등자와 장병등자는 서기 4세기부터 공존하면서 각각 발전하였음을 알 수 있다. 초기 단병등자의 발전과정은 중국이 아니라 한국의 신라·가야고분에서 볼 수 있다. 전연시기 장병등자는 고구려와 신라의 초기 장병등자로 이어져 발전하였다. 단병등자와 장병등자는 원래 제작방법과 계보의 차이여서 ‘고식등자’와 ‘신식등자’로 구분될 수 있는 것이 아니었으며, 그와 같은 구분은 처음부터 착각과 오류였다. 풍소불묘 등자설은 그러한 오류에서 출발하여 애초부터 근거가 없었고, 곧 그 허구도 드러났으나 학계의 일각에서는 고구려군 남정설을 유지하기 위한 방편으로 이를 이용하여 아예 고정관념으로 굳혀 놓았다. 그러다보니 현재 학계의 신라·가야 고고학자료 편년에는 일반적으로 약 50년 정도의 차이가 있고, 신라와 가야 고분의 연대도 마찬가지이다. 그러한 고정관념과 편견에서 벗어나 신라토기와 신라등자를 편년하면 ○ 경주 월성로 가-31호분 출토 왜계토기와 일본 고분시대 土師器 연대관에 의한 신라 조기양 식토기의 연대 ○ 신라 전기양식토기 성립기의 연대 ○ 중국 前燕시기 安養 孝民屯墓 및 朝陽 袁台子墓의 연대와 신라등자의 출현 연대 ○ 일본 고분시대 초기須惠器 TG232 형식의 연륜연대 ○ 중국 동북지방 및 고구려의 고분과 마구 자료로 교차편년된 경주 황남대총 남분의 연대 ○ 일본 고분시대 초기須惠器 TK73 형식의 연륜연대 ○ 北燕 馮素弗墓의 연대 ○ 일본 新開고분과 七觀고분의 연대 가 모두 정합성을 갖게 되어 한·중·일 고고학자료의 발전 과정과 상호 영향 관계가 무리 없이 이해된다.

영문 초록

An examination of the development of the stirrup, from its emergence during the Former Yan period, to the development of early stirrup of the Goguryeo and Silla, reveals that short-necked and long-necked stirrups co-existed from the 4th century CE, with each type following its respective path of development. The early development of the short-necked stirrup took place in the Korean peninsula(Silla and Gaya) rather than in China, whereas the long-necked stirrup of the Former Yan period developed into the early long-necked stirrup of Goguryeo and Silla. In other words, the short-necked and long-necked stirrup belong to different categories in terms of both production method and developmental history. Therefore, it can be argued that previous attempts to distinguish the two as belonging to the ‘old type’ and ‘new type’ are problematic; they were based upon assumptions that were wrong from the beginning. The Feng Sufu(馮素弗) Tomb theory(the notion that the stirrups of Korea and Japan cannot be older than 415 CE based on the stirrups from the Feng Sufu Tomb) was based upon this problematic assumption. However, even though it was soon proven to be wrong, the theory was persistently maintained by some scholars as a means of supporting the Goguryeo southern campaign theory, and therefore came to be established as fact. As a result of this, the chronologies of the archaeological remains of Silla and Gaya, as well as that of Silla and Gaya tombs, evidence a time lag of approximately 50 years. It can be argued, however, that if we break away from the preconceptions set by the Feng Sufu Tomb theory, and attempt a chronological study of Silla pottery and stirrups accordingly, then the dates obtained will present a good fit with the following dates:-The dates of Incipient Silla style pottery obtained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with Wa style pottery from Wolseong-lo Ga-31 Grave in Gyeongju and the Chronology of haziki ware of Kofun period in Japan -The dates of Anyang Filial Damintun(孝民屯) Tomb and Chaoyang Yuantaizi(袁台子) Tomb of the Former Yan period and the dates of the earliest Silla stirrups -The dates of Early Silla style pottery obtained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with the dendrochronology dates of the TG232 type early sueki ware of the Kofun period in Japan -The date of the Southern Mound of Hwangnam Daechong obtained through cross-dating with the tombs and horse gear from the sites of the Northeastern region of China and Goguryeo tombs -The dendrochronology dates of the early TK73 type sueki ware of Japan. -The date of the Northern Yan Feng Sufu Tomb -The dates of the Shingai(新開) Tomb and Shichikan(七觀) Tomb of Japan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se new dates fit well with the chronological framework which incorporates other types of archaeological material and therefore can be approached in terms of their relationship with these other types of archaeological material from Korea, China and Japan.

목차

Ⅰ. 머리말
Ⅱ. 풍소불묘 등자설의 전개와 비판
Ⅲ. 초기 단병등자와 장병등자의 발전
1. 중국 동북지방의 장병등자와 단병등자
2. 초기 단병등자와 장병등자의 발전
3. 초기 단·장병등자의 공존과 허구의 풍소불묘 등자설
Ⅳ. 평성 지경동 1 호분 출토 등자의 연대와 성격
1. 평성 지경동 1호분 출토 등자
2. 평성 지경동 1호분 석실 구조와 공반유물의 검토
3. 평성 지경동 1호분 출토 등자의 연대와 성격
Ⅴ. 경주 황남대총 남분 출토 등자와 그 성격
1. 출토 현황
2. 성격
Ⅵ. 목심등자 제작기법의 변화와 신라 초기 등자의 편년
1. 목심등자 제작기법의 변화
2. 신라 초기 등자의 편년
Ⅶ.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병현(Choi, Byung-Hyun). (2014).초기 등자의 발전. 중앙고고연구, (14), 1-57

MLA

최병현(Choi, Byung-Hyun). "초기 등자의 발전." 중앙고고연구, .14(2014): 1-5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