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시대 다모의 실체에 관한 小者

이용수 317

영문명
Inquiry into the True Nature of Damo in Chosun Dynasty
발행기관
한국공안행정학회
저자명
김형중(Kim, Hyeong-Joong)
간행물 정보
『한국공안행정학회보』제24권 2호, 37~66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6.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경찰사적 측면에서 볼 때 여자경찰의 효시라고 볼 수 있는 다모의 실체를 파악하는 작업은 여자경찰관의 전통성과 연속성을 짚어 볼 수 있는 계기가 된다. 조선사회는 남녀구분이 엄격했다. 따라서 여성관련 범죄를 남성에게 맡길 수 없었 기 때문에,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한 것이 조선전기의 의녀와 중ㆍ후기의 다모이다. 조선전기의 의녀는 각 관청에서 허드렛일을 하는 공노비 중 나이가 13세정도 되는 여자애를 뽑아서 필요한 교육을 시키고 의술을 펼치도록 했다. 그렇다고 해서 모두 의녀가 되는 것은 아니었고, 매달 시험을 쳐서 합격해야만 자격이 있었다. 반면 책을 제대로 해석하지 못하는 일이 3번 반복되면 혜민서의 다모가 되었 다. 다모라는 명칭은 여기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인다. 조선 전기의 의녀는 왕이나 왕비를 치료하거나 의원들을 보조하는 것이 주 업무였으나, 그 이외에도 범죄수사 등에도 차출되었다. 그러나 조선후기로 가면서 점차 기생화 되어가면서 경찰 권 행사에 동원되는 것이 터부시 되었고, 조선 중기 이후부터 다모가 의녀를 대신하여 여형사의 기능을 수행하였다. 조선 중ㆍ후기의 다모는 수사업무를 전종했 다는 점에서 의녀와 큰 차이가 있다. 뿐만 아니라 다모는 병조(포도청) 등 중앙관 서에만 배치된 것이 아니고 점차적으로 지방관아에도 배치되어 전국적으로 정착화 되었다고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다모제도는 고종31년(1894) 갑오경장과 함께 한성부에 경무청이 설치되면서 포도청이라는 명칭과 함께 다모제도도 역사 속으로 소멸되고 말았다. 조선시대의 다모는 사회적으로 천시 받는 직업이었다. 그럼 에도 불구하고 다모는 조선시대 여성범죄수사를 전담하던 최초의 여형사 기능을 수행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task of studying the true nature of Damo, a police system within a certain period of a certain era, which could be considered as the earlier form of the female police nowadays, constitutes an opportunity to reveal the traditionality and the continuity of the female police. With the strict separation between male and female present then, the female-related crimes couldn’t be assigned to males and consequently, the responsibility was assumed by Ui-nyeo in the early Josun dynasty era and Damo in mid-and late Josun dynasty. In the early Josun dynasty era, the girls above the age of 13 had been selected among the public slaves, trained with required educations and authorized to perform medical practices as Ui-nyeos. However, not all of the selected ones could directly become Ui-nyeos; they had to pass the monthly tests to be qualified and if they failed to fully comprehend the books more than three times, they were reassigned to Heymin-seo as Damos. Accordingly, the name of Damo certainly originated from this. In the early Josun dynasty, Ui-nyeos’ major duties were to cure the King or the Queen or to assist doctors, but they were occasionally assigned the tasks of crime investigations and other duties. However, as the service of Ui-nyeo became closer to that of Gi-saeng around the later Josun dynasty, assigning the tasks of the police to them was increasingly regarded as taboo and since the middle of Josun dynasty, Damo had substituted for Ui-nyeo in the exercise of the police power. Damo in the mid- and later Josun dynasty mainly performed the investigation tasks, which constituted a difference from Ui-nyeo. Furthermore, it is notable that the system of Damo was somewhat nationally more settled in that Damos were not only assigned to the central government offices including Podocheing under Byoungjo, the Ministry of war, but also gradually to the local government offices. But the system of Damo dissipated into history along with the name of Podochung as Kyungmoochung, the new police affairs office, was established within Hanseongbu, the bureau whose jurisdiction was the old Seoul, under Kapohkyungjang, the Police Reform in 31st year of King Kojong’s regime(1894). While the job of Damo in Josun dynasty was rather socially disdained, it may well be seen that it holds a huge importance in that it served as a detective that takes full charge of female crime in Josun dynasty.

목차

Ⅰ. 서론
Ⅱ. 시대적 배경
Ⅲ. 다모의 실체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형중(Kim, Hyeong-Joong). (2015).조선시대 다모의 실체에 관한 小者. 한국공안행정학회보, 24 (2), 37-66

MLA

김형중(Kim, Hyeong-Joong). "조선시대 다모의 실체에 관한 小者." 한국공안행정학회보, 24.2(2015): 37-6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