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오프라인의 실제적 자아와 SNS에서의 자아 간의 자아불일치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과 결과요인

이용수 2091

영문명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Influencing the Discrepancy between Actual-Self and Self on SNS
발행기관
한국소비문화학회
저자명
유은아(Yu, Eunah) 최지은(Choi, Jieun)
간행물 정보
『소비문화연구』제18권 제3호, 25~44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9.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SNS 이용자들은 SNS를 통하여 자아정체성을 표출하고자 하는 이용 동기가 크기 때문에, 자아이미지는 SNS 내 정보의 생산 및 게시, 유통에 있어 중요한 기준점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SNS 이용자들은 다른 사람의 시선과 평가에 주의를 기울이며, 자신의 이미지를 SNS 내에서 긍정적으로 표현하고자 한다. 이에 SNS 내에서 보이는 자신의 이미지는 실제 오프라인에서의 이미지와 간극이 발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오프라인에서의 실제 자아와 SNS 내에서 보이는 자아 간의 불일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하여 규명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선행연구를 근거로 자아불일치에 영향을 미치는 소비자 개인특성 변인으로 사회비교경향성과 공적자기의식을 살펴보았으며, 결과요인으로 SNS 내 사회자본형성과 삶의 만족을 제안하였다. 연구결과 SNS 이용자의 개인특성 변인인 사회비교경향성은 이용자의 자아불일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또 다른 개인특성 변인인 공적 자기의식은 자아불일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불일치의 결과요인에 대한 검증결과, 자아불일치는 결속적 사회자본에 유의한 관계를 나타냈으나 연결적 사회자본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결속적 사회자본은 삶의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연결적 사회자본은 삶의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SNS에서의 자아표현과 관련된 소비자 심리와 행동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고, 향후 SNS 내 소비자 행동과 관련된 연구의 범위를 확장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SNS users generally desire to express their identity on SNS, and, recently, SNS is increasingly being used as a self-presentation tool. Regarding self-projection, SNS users tend to pay attention to other users' opinions or evaluations, and thus are likely to create a positive self-image on SNS. When they seek to deliver only a positive SNS self-image, there can be a discrepancy between actual-self and self. Thus, this research examines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influencing the discrepancy between actual-self and self on SNS. This study commences with the hypothesis that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public self-consciousness are antecedents of self-discrepancy. It further posits that users exhibiting a high tendency toward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public self-consciousness tend to exaggerate their self-image, thereby creating self-discrepancy between actual-self and self on SNS. These two hypotheses leads to a third, self-discrepancy that reduces bonding social capital and bridging social capital, which in turn results in lower life satisfaction. To verify these hypotheses, the researchers conducted a survey and, adopt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zed the data. Results revealed that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self-discrepancy but did not reveal even a marginal relationship between public self-consciousness and self-discrepancy. Further results disclosed that self-discrepancy had a negative impact on bonding social capital, while self-discrepancy had no impact on bridging social capital. Regarding life satisfaction, only lower bonding social capital lowered life satisfaction, as no relationship between bridging social capital and life satisfaction was identified. Based on this resul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모형
Ⅳ. 연구방법
Ⅴ. 분석결과
Ⅵ. 연구결과 논의 및 시사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은아(Yu, Eunah),최지은(Choi, Jieun). (2015).오프라인의 실제적 자아와 SNS에서의 자아 간의 자아불일치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과 결과요인. 소비문화연구, 18 (3), 25-44

MLA

유은아(Yu, Eunah),최지은(Choi, Jieun). "오프라인의 실제적 자아와 SNS에서의 자아 간의 자아불일치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과 결과요인." 소비문화연구, 18.3(2015): 25-4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