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인당 국민소득 3만 불, 행복하세요? 상대적 소득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965

영문명
Per capita GNI of $30,000 — Are You Happy? Effects of Relative Income on Life Satisfaction
발행기관
한국소비문화학회
저자명
박종선(Park, Jong Seon) 황덕순(Hwang, Duck Soon)
간행물 정보
『소비문화연구』제18권 제3호, 1~23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9.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상대적 소득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서 이론적․정책적 함의를 도출하려한다. 이 를 위해 한국노동패널조사 1~15차년도 조사자료를 사용하여 패널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계가 속한 준거집단의 평균소득은 삶의 만족도에 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그러나 가계소득과 준거집단평균소득의 차이는 삶의 만족도에 비대칭적 반응을 보였다. 즉, 가계소득이 준거집단평균소득보다 많은 집단은 차이가 커질수록 삶의 만족도가 증가한 반면, 가계소득이 준거집단평균소득보다 적은 집단은 차이가 커질수록 삶의 만족도가 낮아지면서 보다 민감한 반응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가계는 준거집단평균소득의 증가를 향후 가계소득 증가의 신호로 인식한 반면, 가계소득과 준거집단평균소득의 차이로부터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소비자 효용이 가계소득에 의해 독립적으로 결정되기 보다는 상대적 관계 속에서 상호의존적으로 결정된다는 것을 지지하며, 가계복지정책에 있어서 상대적 접근이 요구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presents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by examining the effects of relative income on life satisfaction. A panel data analysis is conducted by using data from Years 1 to 15 of the Korean Labor & Income Panel Study (KLIP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average income of the reference group including households shows a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However, the gap between household income and the average income of the reference group shows an asymmetrical response to life satisfaction. In other words, life satisfaction increases as the gap grows in the group where household income is greater than the average income of the reference group, whereas life satisfaction decreases as the gap grows in the opposite case. This finding suggests that while households perceive an increase in the average income of the reference group as a sign of a future increase in household income, they also feel relative deprivation from the gap between household income and the average income of the reference group.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support the fact that relative income, which is traditionally treated as an externality in consumer utility theory, must become an endogenous variable and imply a need for a relative approach to household welfare polici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모형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종선(Park, Jong Seon),황덕순(Hwang, Duck Soon). (2015).1인당 국민소득 3만 불, 행복하세요? 상대적 소득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소비문화연구, 18 (3), 1-23

MLA

박종선(Park, Jong Seon),황덕순(Hwang, Duck Soon). "1인당 국민소득 3만 불, 행복하세요? 상대적 소득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소비문화연구, 18.3(2015): 1-2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