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新羅中代成典寺院과 密敎

이용수 678

영문명
Seongjeonsawon temple(成典寺院) and Esoteric Buddhism of the Middle Silla
발행기관
한국고대학회
저자명
윤선태(Yoon Seon-Tae)
간행물 정보
『선사와 고대』先史와 古代 44輯, 5~37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6.01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사천왕사(四天王寺)는 당(唐)의 침략을 물리치기 위해밀교승 명랑(明朗)의 주도 하에 창건되었다. 신라는 금광명경(金光明經) 에 기초한 기존의 사천왕호국신앙(四天王護國信仰)과 달리 거기에 관정경(灌頂經) 의 오방신(五方神)과 문두루비법(文頭婁秘法)을 결합시키는 밀교적(密敎的) 작단(作壇)을 설행(設行)하였다. 명랑과 혜통(惠通)이 가지고 온 새로운 밀교적 작법(作法)은 신라를 지켜줄 무수한 천왕(天王), 신왕(神王), 용왕(龍王) 등의 모습을 직접 현현(顯現)시켜오감으로느낄수있도록하는보다대중적이고, 감각적인밀교의식(密敎儀式)이었다. 양지(良志)는 사천왕사 목탑의기단부에 사천왕천(四天王天) 아래3개의층급(層級)에살았던 야차(夜叉), 존신(尊神) 등을 재해석하여 야차와 신장(神將)으로 형상화하고, 목탑의 계단(階段)을 밟아 탑신에 올라가는 길을 기단에 배치된 3개의 층급을 지나 사천왕천에 도달하는 길로 이미지화하였다. 일연(一然)이 이를 ‘팔부신장(八部神將)’이라고 한 것은 후대의 ‘팔부중(八部衆)’ 그 자체를 말한 것이 아니라, 이 신장들이 천왕(天王)을 도와 불법을 수호하는 그의 권속(眷屬)이라는 의미로 사용한 것이라 생각된다. 양지는 천왕의 권속과 야차들을 사실적으로 형상화하고 이를 신라인들의 눈앞에 현현시켜, 보이지 않는 사천왕의 더욱 강력한 힘을 확신하도록 유도하였다. 한편 사천왕천 아래 3개 층급의 야차들이 사천왕의 발 아래에서 분리되어 탑의 기단을 장식하고있다는사실도중요하다. 이로 인해 계단을 통해 이 목탑의 기단 위로 올라간 신라의 왕자(王者)가 소조신장상벽전(塑造神將像壁塼) 위의 테라스를 걷거나, 벽전위에 서있을경우, 그는 단순한 왕자가 아니라 3층급의 야차를 밟고 서있는 사천왕과 동격이 된다. 이처럼 사천왕사 목탑 기단의 벽전에는 중대권력을 정점화(頂點化)하려는 양지의 또 다른 언설(言說)이 숨어있었다. 문무왕은거대 제국당(唐)의공격 앞에서도 사천왕사의 불교의례를 통해 절대적인 중심성을 회복했고, 밀교적 작단(作壇)으로 피어난 사실적인 소조상들은 그것을 모두가 보고 느끼게 하는 장(場)이었다. 사천왕사 위 낭산(狼山)에 있었던 선덕여왕의 장지(葬地)가 도리천(忉利天)으로 표상되었듯이, 사천왕사는 수미산 정상의 도리천으로 올라가는 불국토 신라의 입구, 경계 지점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결국 사천왕사는 신라 왕경(王京)의 남방 끝에 불과한 공간이 아니라, 밀교의례 속에서는 불국토 신라의 입구이며, 이곳은 오방신(五方神)과 사천왕(四天王)이 지키는 불국토의 경계 지점이었다. 이후 봉성사(奉聖寺) 창건으로 시작되는 밀교승 혜통이 주도한 신문왕대의 새로운 성전사원체제는 오방신(五方神)과 사천왕(四天王)으로 수호되는 신라 불국토를 더욱 시각적으로 표상하여 왕경의 사방(四方)으로 성전사원을 확대해나간 과정이었다. 왕경의 사방에 의도적으로 배치된 성전사원(成典寺院)들은 국가의례(國家儀禮)의 장(場)으로서 중요한 역할을수행하였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곳은 왕경과 지방을 연결하는 접점이고, 지방인이 왕경으로 들어오는 입구이며, 왕경이 사방으로 뻗어나가는 출발점이라는 점에서, 신라 국토 전체를 압축적으로 상징한다. 신라 중대왕권은 기본적으로 당과의사대적인관계를유지하려한점이있지만, ‘태종(太宗)’무열왕의 묘호(廟號) 문제로 알 수 있듯이, 대제국인 당과의 싸움에서 얻었던 자신감 또한 잃지 않았다. 성전사원에 기초한 신라의 독자적인 국가의례는 ‘호국(護國)과 왕실(王室)의 영속(永續)’을 기원한 중대왕권의 의지 속에서 창출되었으며, 중대왕실은 그러한 의례를 통해 신라국가를 천하의 중심으로 자리매김하고, 그것을 지배하는 자신의 절대성을 시각적으로 과시하려 하였다.

영문 초록

Sacheonwangsa temple(四天王寺) was established by Esoteric Buddhist monk Myeongnang(明朗) to repel Tang's attack. The style of Esoteric Buddhism Myeongnang and Hetong(惠通) brought was more public, sensory Esoteric Buddhist style in order to feel with the five senses by directly showing the figures of the heavenly king, spiritual king, and dragon king and so on. Yangji(良志) realistically embodied the subordinate of the heavenly king and Yaksa and led to confirm stronger power of the four heavenly kings by revealing the figures in front of Silla people. Meanwhile, it is important for Yaksa to be decorated not at the beneath of the feet of the four heavenly kings but at the stereobate of the pagoda. At the wall of the stereobate of the pagoda of Sacheonwangsa, there is another intention of Yangji to make an issue of the important power. King Munmu recovered his power against Tang through Buddhist ritual of Sacheonwangsa, and the realistic images decorated with Esoteric Buddhist style were the symbols Silla people saw and felt it. The burial site of Queen Seondeok located at Nangsan(狼山) beyond Sacheonwangsa symbolizes Trāyastriṃśa(忉利天), so Sacheonwangsa was regarded as the entrance of Buddhist land Silla climbing to Trāyastriṃśa at the top of Sumisan mountain. Sacheonwangsa is eventually not the simple space at the south end of the capital but the entrance of Buddhist land Silla in Esoteric Buddhist ritual. It is the boundary spot of Buddhist land under heavy guard of the gods of five directions and the four heavenly kings. And then the new Seongjeonsawon system begun with the building of Bongseongsa temple(奉聖寺) during the reign of King Sinmun, led by Esoteric Buddhist monk Hetong, was more visually typical of Buddhist land Silla kept by the four heavenly kings and expanded Seongjeonsawan to the four directions of the capital. Seongjeonsawon at the four directions was the contact point connecting the capital and provinces, the entrance local people come in the capital, and the starting point the capital spreads out into the four directions. At this point, it compressively symbolizes the whole land of Silla. Keeping the submissive relationship with Tang basically, the royal authority of the middle Silla was full of confidence since the victory in the battle with Tang. The national ritual of Silla's own based on Seongjeonsawon was created in the will of the royal authority of the middle Silla praying for 'the protection of nation and permanence of the royal family'. The royal family became the center under the heaven and visually displayed their absoluteness through such ritual.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四天王護國信仰과 四天王寺建立
Ⅲ. 天王寺塔下神將과 良志의 神妙絶比
Ⅳ. 北方奉聖寺와 成典寺院의 확대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선태(Yoon Seon-Tae). (2015).新羅中代成典寺院과 密敎. 선사와 고대, 44 , 5-37

MLA

윤선태(Yoon Seon-Tae). "新羅中代成典寺院과 密敎." 선사와 고대, 44.(2015): 5-3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