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민사중개와 상사중개의 비교

이용수 273

영문명
A Comparison of Civil and Commercial Intermediation
발행기관
한국부동산법학회
저자명
김영국(Kim, Young-Kook)
간행물 정보
『부동산법학』부동산법학 제19집, 1~28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3.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민법은 개인 간의 사적 생활 관계를 규율하는 사법의 일반법으로 모든 법률의 제·개정 및 관련 법 해석의 기준으로 중요한 검토의 대상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민법의 특별법인 상법에 중개계약과 관련하여 중개인에 관한 규정을 두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반법인 민법에는 아무런 규정이 없어 법체계에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닌지 논란이 있다. 한편 법률은 기본적으로 분쟁해결 기준으로 기능하는 것이므로 상법 제93조부터 제100조까지의 규정으로 관련 분쟁을 해결할 수 있다면, 반드시 일반법인 민법에 그 규정을 둘 필요성은 없지 않겠냐? 하는 반론도 제기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오늘날 상사중개와 구별되는 민사중개의 유형으로 부동산중개, 결혼중개, 직업중개 등이 있으며, 각각의 유형별로 공법적 성격의 공인중개사법, 결혼중개업법, 직업안정법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법률로는 사법적 분쟁을 해결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지적 또한 가능하다. 특히 정보통신기술 의 발달로 인해 다양한 중개행태가 제시되고 있으며, 전통적인 민사중개의 영역에서도 널리 활용되고 있다. 앞으로 중개계약과 관련하여 법적 쟁점이 부각되고 사적 분쟁도 다양하게 전개될 것이므로 차제 에 민법의 전형계약으로 입법하는 노력이 필요해 보인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상사중개와 구별되는 민사중개의 개념을 검토하였다. 상법상 중개인에 관한 규정과 판례를 중심으로 민사중개인의 상인성 여부, 상법의 적용 범위, 중개의 대상, 영업성, 중개의 태 양, 중개인의 의무, 중개인의 보수청구권 등을 논의하였다. 민법에 중개인 또는 중개계약에 관한 규정 을 신설하기 위해서는 상사중개와 구별되는 민사중개의 특징이 무엇인지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선행되 어야 한다는 점에서 앞으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상법에 중개인에 관한 규정이 있고 중개행위에 대한 당해 업종의 특별법이 있음에도 민법에 전형계약으로 규정하고자 한다면, 민사중개와 관련된 사적 분쟁의 유형과 법적 쟁점이 무엇인지에 대한 규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Civil Act is a general law included in private law that regulates private life relations among individuals and serves as criteria of the enactment and revision of every law and of the interpretations of laws. Therefore, civil act is an important law that should be subject to review. However, despite the fact that commercial act which is a special law in private law has stipulations about brokers regarding intermediation contracts, civil act which is a general law does not have such stipulations, which caused controversy about if the legal system is flawed. Meanwhile, as the basic function of the law is being a criterion for the settlement of dispute, if relevant disputes can be settled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Articles 93 to 100 of commercial act, one may argue that it is not essential that civil act which is a general law should have such provisions. With respect to this issue, nowadays, several categories of civil intermediation differentiated from commercial intermediation including real estate brokerage, marriage brokerage, and job brokerage have appeared and each category has the licensed real estate agents act which has characteristics of public law, the marriage brokers business management act, and the employment security act, respectively. However, it can be argued that these laws have limitations in settling legal disputes. In particular, due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various forms of brokerage have emerged and have been widely used in the traditional area of civil intermediation.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legal issues regarding intermediation contracts will come to the fore and private disputes will go on in diverse ways. Thus, it seems that there is a need for the effort to add stipulations to existing legislation as typical contracts of civil act. For these reasons, this study examined the concept of civil intermediation which is differentiated from commercial intermediation. Based on the provisions of commercial act and precedents about brokers, this research dealt with issues including whether civil brokers are merchants, the scope of application of commercial act, the objects of brokerage, the characteristics as business, the sun of brokerage, brokers' duty, and brokers' right to claim payment. To add provisions about brokers or intermediation contracts to civil act, a close scrutiny on what are the features of civil intermediation that are distinguished from commercial intermediation must precede. Hence, further studies on this issue are required. Although commercial act has stipulations about brokers and each type of business has a special law about brokerage, if such stipulations are to be added as typical contracts to civil act,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types of private disputes and legal issues relating to civil intermediation.

목차

Ⅰ. 서 론
Ⅱ. 민사중개와 상사중개의 차이점
Ⅲ. 민법상 “중개계약” 규정 신설의 쟁점과 과제
Ⅳ.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영국(Kim, Young-Kook). (2015).민사중개와 상사중개의 비교. 부동산법학, 19 , 1-28

MLA

김영국(Kim, Young-Kook). "민사중개와 상사중개의 비교." 부동산법학, 19.(2015): 1-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