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근대 불교잡지의 한글인식과 한글문화운동

이용수 179

영문명
“Hangul” recognition and “Hangul” culture movement of modern buddhist magazine
발행기관
불교학연구회
저자명
김종진(Kim Jong Jin)
간행물 정보
『불교학연구』제43호, 149~181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6.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1910년대~1930년대 불교잡지에 나타난 불교와 한글의 만남에 대해 고찰하였다. 순한글 글감의 출현 빈도와 한글 관련 기사, 논설들을 주요 논의의 대상으로 삼았다. 1910년대는 『조선불교월보』를 중심으로 [언문란]을 신설하여 창가와 논설을 게재하였다. 잡지에 수록된 대부분의 글이 국한문 혼용체가 위주인 가운데, [언문란]을 통해 계몽담론을 펼쳤고, 소설에서는 순한글체가 구사되어 한글독자층을 배려하였다. 여성독자,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하여 순한글로 교리를 소개하고, 불교 용어를 쉬운 우리말로 풀어내는 작업은 이 시대 불교와 한글이 만나 이룬 하나의 성과이다. 그러나 아직 잡지라는 공공의 영역에서 한글을 어떻게 표기해야 하는지 방향을 잡지 못해 매 호마다 표기 원칙이 달라지는 현상이 나타났다. 1910년대 초기에 권상로가 보여준 적극적인 한글사용의 의지는 후기로 갈수록 약화되었는데, 이능화가 편집한 『불교진흥회월보』, 『조선불교계』, 『조선불교총보』에서는 대부분의 글이 다시 현토체(懸吐體)로 회귀하는 현상을 보인다. 1910년대의 모색기를 지나 1924년에 창간된 『불교』지에는 한글문화운동으로서 의의를 지니고 있는 몇 가지 흐름이 있다. 먼저 문학의 창작이 다변화되었다는 점이다. 『불교』지는 찬불가, 동요, 동시, 서사시, 현대시조, 소설, 희곡 등 당시 유행한 여러 문학양식을 적극 활용하여 지면을 다채롭게 하였다. 이에 따라 한글 글감은 자연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그리고 학술적 종합지를 표방한 48호 이후에는 한글과 불교, 문자와 불교에 대한 무게감 있는 논문이 게재되었는데 특히 범어와 조선어를 비교하는 연구가 두드러진다. 그리고 20년대 말부터 30년대 초까지 오대산 월정사, 안동 희방사, 전주 안심사 등지에서 발견된 한글경판에 대한 발굴소식이 소개되어 독자의 관심을 크게 환기하였다. 1910~1930년대에 불교잡지의 편집진은 근대불교를 기획하는 주요 매개로서 한글을 활용하였다. 불교잡지에서 한글의 사용은 처음에는 부녀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나 점차 불교개념과 교리를 한글화하는 단계까지 확장시켰다. 비록 그것이 완숙한 단계에 이르지는 못했지만, 이는 사상성을 담보해내는 언어로서 한글의 활용영역을 확장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한국에서의 오랜 전통이 그러한 것처럼, 근대시기에도 불교와 한글은 상호 발전적 관계를 맺었던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concerns the adoption of Hangul (Korean script) in Modern Buddhist Magazines between the 1910s to the early 1930s. Particularly, I examine the appearance frequency of Korean only text in articles and editorials. By the 1910s, most of the text in Buddhist magazines were written in mixed Korean and Chinese script. However, the Joseon Bulgyo Weolbo (조선불교월보) introduced a pure Hangul column to enlighten the public, as well as short stories written in Korean. Pure Hangul text was more easily readable by women and the general public, who had little access to Classical Chinese education. These efforts to provide an easier way to explain Buddhist doctrine and to translate many Chinese Buddhist terms into more accessible plain Korean contributed to the greater edification of the public. This was one of the great outcomes of the collaboration of Buddhism and Hangul. In the 1920s, Bulgyo (불교) magazine introduced some strands that illustrate the Hangul culture movement. First of all is the explosion of diversity in the literature of the magazine: eagerly adopting various popular genres such as Buddhist hymns, songs, poems, epic poetrys, plays, fiction, prose, etc. In accordance with this change, the number of pure Korean works increased naturally. After the 48st issue, the magazine decided to include many scholarly monograph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Hangul and Buddhism, as well as scripts and Buddhism, particularl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anskrit and Hangul. Public subscribers were greatly enthused about reports of Korean script plates of Buddhist texts being found in excavations of many temples. The editorial staff of Buddhist magazines in the 1910s to the 1930s made use of Hangul as the major medium of expounding modern Buddhism. Although the use of Hangul was originally for female subscribers, it soon extended to the Korean translation of the doctrines and concepts of Buddhism. Although this effort never reached maturity, it demonstrated that Hangul was extensible as a medium to carry scholastic and literary thought. Even in the modern age, Buddhism and Hangul developed in a mutual interrelationship as it had throughout its long tradition Korea.

목차

I. 머리말
II. 잡지별 한글 사용의 추이
III. 한글 표기방식의 모색과 정착
IV. 한글을 통한 근대불교의 기획
V.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종진(Kim Jong Jin). (2015).근대 불교잡지의 한글인식과 한글문화운동. 불교학연구, (43), 149-181

MLA

김종진(Kim Jong Jin). "근대 불교잡지의 한글인식과 한글문화운동." 불교학연구, .43(2015): 149-18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