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일본 메이지시대 신도와 불교의 갈등

이용수 721

영문명
Conflicts between the Japanese Shinto and Buddhism, in Japan's Meiji period
발행기관
한국일본불교문화학회
저자명
이태승
간행물 정보
『일본불교문화연구』일본불교문화연구 12호, 45~79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종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6.30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부터 신도에 의거한 새로운 정치적, 사회적 변화가 전개된다. 이것은 메이지 정부의 신도국교화 정책에 의거해 신도가 새로운 종교이념 내지 국가이념으로 간주되는 것이다. 이렇게 신도가 국가의 이념으로 간주된 배경에는 천황을 정치와 종교의 정점으로 세우려는 메이지 정부의 방침이분명하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신도중심의 종교적 변화는 에도(江戶) 시대이래 불교를 국교로서 간주해온 일본사회에는 커다란 변화를 가져왔다.곧 에도시대에는 모든 일본인은 사찰에 자신의 호적을 두는 사청제에 의해 불교와 제도적 결합관계가 형성되어 있었으며, 또한 조상에 대한 제사 나 장례도 절에서 거행하는 장식불교로 불교와 국민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었다. 이러한 불교의 종교적 역할에 대하여 메이지 정부의 신도국교화 정책은 신도로 하여금 그러한 종교적 역할을 대신케 하고자 하는 의도도 가지고 있었다. 그러한 면에서 메이지 초기 신기사무국에서 발령한 신불분리령은 전통적으로 신불습합의 이론에 의거해 신사와 사원이 별다른 구별 없이 전해져 오던 것을 강제로 구분하여 신도의 독립을 꾀하고자 한 특별한 정부의 명령이었다. 이러한 정부의 포고령에 의해 불교계는 사상유례 없는 불교탄압을 받게 되는데 그것이 폐불훼석이다. 곧 신사에서 불교적 색채를 없애는 것이 기본적 목적이라 하더라도 오랜 기간 공존한 전통 속에서 그러한 목적은 사원을 파괴하고, 사찰을 통폐합시키는 불교탄압운동으로 전개해 간 것이다. 이러한 불교탄압에 대하여 불교계는 제 종동덕회맹과 같은 연합체를 구성해 새로운 개혁과 변화를 모색하고, 각 종단 또한 시대의 변화에 뒤떨어지지 않으려는 노력을 하였다. 그렇지만 자구적인 노력과 별도로 시간이 지나면서 불교가 철저하게 국가로부터 배제됨에 따라 불교계는 스스로 더욱 자생적인 힘을 기를 수밖에 없었다.그러한 노력의 결과로 1872년 불교계도 메이지 정부의 요청으로 국민의 교화활동에 참여하게 되는데, 곧 교부성의 설치에 의한 신도와 불교의 국민교화활동이 그것이다. 교부성의 설치에 대해서는 불교계의 요청도 있었고, 정부로서도 신도 단일의 국교화에는 무리가 있었던 것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어 신도와 함께 불교를 국민교화 활동의 주요한 수단으로 삼았던것이다. 이 교부성의 설치와 함께 교도직도 생겨나고 각각의 교도직의 최상위에는 관장의 제도가 만들어진다. 교부성 하에서 불교계는 좀더 불교적 국민교화활동을 원활히 하기 위해 대교원의 설립을 요청하여 정부로부터 허가를 받지만, 실제 대교원의 활동이 신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것 등에 반발해 대교원 탈퇴운동을 벌이게 된다. 이 대교원 탈퇴나 교부성의 국민교화지침인 3조교칙에 대한 반발 등에 대해서는 정토진종의 시마지 모쿠라이 등의 활약이 특히 두드러져, 그는 서구적인 의미에서 정교분리,신교의 자유 등을 체계적으로 주장한 대표적인 인물로 간주된다. 그에 의해 주장된 정교분리는 후에 신도가 종교의 영역을 벗어나 국가적 제사만 을 담당하는 비종교로 인정되어 국가신도로 전개되어 가는데 중요한 이론적 근거가 된다.

영문 초록

Renovation, Buddhism was replaced by the Japanese "Shinto," in the wake of certain political and social changes. The Meiji government launched a policy to make Shinto the national religion of Japan, and Shinto did become the new religious philosophy of the country, acquiring the status of a 'state philosophy.' Meiji government was intent upon establishing the Denno as the apex of Japan's politics and religion. In other words, the Meiji government designed the ideology of the Meiji Renovation with the objective to restore the kingdom, and wished to found an ideal country in which church and state was one and Denno was placed at the top, and in order to do so granted Shinto with the state religion status. Yet this major religious shift brought some considerable changes to the Japanese society, which had been considering Buddhism as the State religion since the Edo[江戶] period. In the Edo period, Buddhism was literally tied into the administrative aspects of the people's lives, as all Japanese citizens were to have their census registers placed in custody of nearby Buddhist temples(the "Sa'cheong-je/寺請制" institution). Buddhism also dictated the most intimate facets of the public's living style, as we can see from the fact that memorial services or funerals for the ancestors were all held at Buddhist temples("Funeral Buddhism"[葬式佛敎]).It was the Meiji government's intention to have Shinto replace Buddhism and take over the roles which had previously been played by Buddhism. In the early days of the Meiji Renovation period, the Shin'gi Sa'mu-guk office issued an order to 'separate' Shinto from Buddhism(神佛分離令), in order to forcibly isolate Shinto from Buddhism and break free from the previous situation in which there had not been any noticeable or essential differences between a Buddhist temple and a Shinto shrine(神佛習 合). With the government's such proclamation, an unprecedented level of oppression hit the Buddhist community, and resulted in catastrophic situation for Japanese Buddhism, which we now call"Buddhism shut down, and the authority of Buddha damaged beyond repairs(廢佛毁釋)." The primary goal of the Meiji government was to get rid of all Buddhist traces from the Shinto shrines("Jinja"), and to break free from a centuries-old coexistence of Buddhism and Shinto. 敎院) office for a more efficient public enlightenment. Thegovernment permitted it, but members of the Buddhist society soon began to launch the 'Movement of Withdrawal from the Dae'gyo-weon membership,' in protest of the fact that Dae'gyo-weon was under de-facto control of the Shinto followers. Shimaji Mokurai[島地默雷] of the Jeongto'jin-jong school led the Buddhists' withdrawal from Dae'gyo-weon, as well as the protest against the "Three Regulations" which was issued by the Gyo'bu-seong office and served as the Public enlightenment Manual. His systematic suggestions for the Western style separation between church and state and the freedom of religion and belief, is worth examining. His arguments for the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laid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future 'repositioning' of Shinto as a non-religious philosophy only in charge of national services, as well as for its evolution into a form of 'National Shinto(國家神道).‘

목차

I. 서언
II. 메이지 초기의 신불분리령
III. 신도국교화 정책의 전개
IV. 폐불훼석과 불교계의 대응
V. 신도와 불교의 갈등과 수습
VI. 결어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태승. (2015).일본 메이지시대 신도와 불교의 갈등. 일본불교문화연구, (12), 45-79

MLA

이태승. "일본 메이지시대 신도와 불교의 갈등." 일본불교문화연구, .12(2015): 45-7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