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국내 청소년 관람 가능 영화 속 흡연 장면에 대한 내용분석

이용수 462

영문명
A Content Analysis of Smoking Scenes in Popular Korean Movies for General Audiences
발행기관
한국헬스커뮤니케이션학회
저자명
윤문영 백혜진 김이슬 Moonyoung Yun Hye-Jin Paek Yi-Seul Kim
간행물 정보
『헬스커뮤니케이션연구』제11권, 1~48쪽, 전체 4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2.31
8,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 흡연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으로서 미디어의 영향력에 주목하고자, 청소년의 관람이 가능한 국내 흥행 영화 속에 등장하는 흡연 장면을 내용분석 하였다. 국내 영화 50편을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42편(84%)의 영화에서 총 160명의 배역에 의한 303개의 흡연 장면이 발견되었다. 영화 1편 당 흡연 장면 노출 횟수의 평균은 6.06회, 노출 시간은 39초 로 나타났다. 한편, 160명의 흡연 배역 중 남자배우는 142명(89%), 여자 배우는 18명 (11%)으로 나타났는데, 이 중 흡연과 동시에 성적소구를 표현한 배우는 남자 배우가 5회 (1.8%), 여자 배우가 12회(39%)로 나타나 여배우의 성적매력을 표현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흡연’행위가 선택됨을 유추할 수 있었다. 또한, 분석 된 전체 흡연 장면 중 부정적 맥락(예: 슬픔, 스트레스)에서의 흡연은 75회(24.8%)로 긍정적 맥락의 흡연(13회, 4.29%)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정서적 맥락을 알 수 없는 습관적 흡연의 빈도가 120회(39.6%)로 가장 높게 나 타났다. 한편, 흡연 배우가 영화 속에서 처한 상황적 맥락에서는 휴식상황(120회, 39.6%) 속 에서의 흡연이 가장 빈번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관람이 가능한 국내 영화 대부분 에서 흡연 장면이 발견됨에 따라 국내 청소년들이 영화 속 흡연 장면에 노출될 가능성이 크다 는 것을 유추할 수 있었다. 이는 국내 영화의 관람 가능 연령 결정시 흡연 장면에 대한 기준의 모호함을 해소하고 규정을 강화해야 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Despite the fact that smoking scenes in popular movies are known to play a critical role in forming pro-smoking attitudes and norms as well as smoking behavior particularly among adolescents, little research has been done in Korea where smoking rate is hig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moking scenes among popular movies that adolescents can freely view. This study coded 50 Korean popular movies in terms of frequenc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featured smokers, and positive/negative contexts. The content analysis resulted that there were 303 smoking scenes by 160 actors in 42 movies (84%). Among the 160 smokers, 89% were men, while 11% were women. A little less than 24.8% of the smoking scenes (75 scenes) were in negative contexts such as sorrow and stress, while 4.3% were in positive contexts. Notably, about 40% of the smoking scenes were featured without any reasons, which may form a norm of habitual smoking. Also, 39.6% of the smoking scenes occurred in resting situations, which may form a perception of smoking as a symbol or tool of relaxation. Overall, this study indicates prevalence of smoking scenes among popular movies. We suggest that more regulatory efforts need to be made for youth smoking prevention.

목차

1. 서 론
2. 문헌연구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문영,백혜진,김이슬,Moonyoung Yun,Hye-Jin Paek,Yi-Seul Kim. (2014).국내 청소년 관람 가능 영화 속 흡연 장면에 대한 내용분석. 헬스커뮤니케이션연구, 11 , 1-48

MLA

윤문영,백혜진,김이슬,Moonyoung Yun,Hye-Jin Paek,Yi-Seul Kim. "국내 청소년 관람 가능 영화 속 흡연 장면에 대한 내용분석." 헬스커뮤니케이션연구, 11.(2014): 1-4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