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와카(和歌)에 대한 밀교적 해석

이용수 129

영문명
A study on the Tantric Explanation of Waka(和歌) in Shasekishu(沙石集)
발행기관
한국일본불교문화학회
저자명
정천구(Jung Chun koo)
간행물 정보
『일본불교문화연구』일본불교사연구 8호, 37~71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종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3.15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샤세카슈(沙石集)』는 중세 일본의 대표적인 불교설화집으로, 무주 이치엔(無住一圓, 1226∼1312) 이 편찬하였다, 이 책의 권5에는 일본의 고유한 시기인 와카(和歌)기 대거 수록되어 있어 주목을 끄는데, 특히 이와카에 대해 이치엔이 밀교적 해석을 덧붙이고 있어 고찰할 필요가 있다. 외카애 대해서는 가인들에 의해 문학적으로 해석되어 왔으나, 이치엔처럼 밀교와 관련지어 해석한 경우는 드물었다. 물론 이치엔 이전에 사이교(西行) 법사나 지엔(慈圓) 등과 같은 승려들에 의해서 와카가 진언과 관련이 있다는 것이 암시되거나 간략하게나마 거론된 적은 있다. 그러나 이치엔은 더욱 심도있게 해석을 하여 일종의 가론(歌論)을 마련하였다, 이치엔은 와카에 총지의 덕이 있다고 하면서 와카와 진언이 하나라는 주장을 하였다. 이러한 주정의 근거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는 기원에서 일본 토착의 신이 부르기 시작한 노래가 와카이고, 그 신은 부처나 보살과 다르지 않은 존재이므로 와카는 곧 부처의 말씀과 같다는 것이다. 둘째는 와카의 글자 수 서른 한 자가 『대일경』의 서른 한 품과 같다는 것이다. 셋째는 "입에서 나온 말은 모두 진언이다"는 것을 틀어 와카 또한 입으로 나온 말이므로 진언과 다르지 않다고 한 것이다. 이치엔의 해석은 그대로 중세적 사유의 전환을 보여주는 것이다. 중세전기에는 문명권의 중심부와 주변부가 우열의 판제에 있어서 주변부는 중심부에서 공동문어인 한자와 보편종교인 불교를 받아들여서 높이 받들며 열등한 처지에 있었으나, 중세가 진행되면서 차츰 자국의 문화를 새롭게 인식하면서 중심부와 대등하다는 인식을 하기에 이르렀다. 그렇게 문명권의 문화는 서로 대등하다는 인식을 잘 보여주는 것이 와카에 대한 밀교적 해석이었다. 즉, 주변부의 노래인 와카가 문명권에서 공통적으로 창작되던 한시와 다르지 않고 와카에 담은 뜻이 불교의 핵심과 통할 수 있다는 것을 근거로, 중심부와 주변부는 대등하다는 것이었다.

영문 초록

Muju Ichien(無住一圓, 1226∼1312) wrote a book titled Shasekishu(沙石集) in which is comprised many tales concerned with Buddhism and explanations for its tales. Especially, he compiled a hundred Waka(和歌) in volumn 5 and explained them in detail and in depth. WaKa is poetry native to Japan from ancient times, and has been explained from the viewpoint of literature by many poets. But Ichien explained it from the viewpoint of Tantrism(密敎). He was not originated in its explanation and inspired by predecessors who are Buddhists of Sagyo(西行) and Jien(慈圓). They suggested or explained briefly that Waka is connected with Dharni(眞言). Ichien said that Waka has the virtue of Dharni, and insisted that waka is the same with Dharni. His explanation is based on following facts. First, originally waka was sung by the native god who is not different from Budda or Boddhisattva. Therefore waka is the same with words laid tongue of Buddha. Second, waka is composed with 31 syllables, and its number is the san1e with chapters of Great Sun Sutra(大日經) which is the fundamental Sutra in Tantrism. Third, on the ground that all words from the tongue are Dharni, he insisted that waka sung by a spoken language is not different with Dharni. The explanation of Ichien indicated that a way of thinking was changing in n1iddle ages. Early in the middle ages, there was a relationship of superiority or inferiority between the center and the periphery of the civilization. In the East Asia, the people in the periphery had to adopt Chinese character and Buddhism to aspire to attain to the cultural society. It was because they were in inferiority. But they were getting to recognize their native culture from the other viewpoint, and finally attained to the awakening that the culture of the center and the periphery is equal in value. Ichien showed that equality in his Tantric explanations of Waka.

목차

요약문
1. 머리말
2. 와카에 대한 여러 해석들
3. 와카에 대한 밀고적 해석
4. 와카에 대한 밀고적 해석의 의의
5. 마무리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천구(Jung Chun koo). (2013).와카(和歌)에 대한 밀교적 해석. 일본불교문화연구, (8), 37-71

MLA

정천구(Jung Chun koo). "와카(和歌)에 대한 밀교적 해석." 일본불교문화연구, .8(2013): 37-7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