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공간적 서사로서의 <열녀춘향수절가> 읽기

이용수 846

영문명
Reading Yeolnyeo Chunhyangsujeolga as Spatial Narrative- focusing on the part of Love Song and Farewell song -
발행기관
한국고전연구학회
저자명
손동국 Son, Dong-kuk
간행물 정보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제31권, 247~274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6.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판소리계 소설은 다른 고전 서사체와는 유독 구별되는 독특한 담화상의 자질을 지니고 있다. 묘사 대목이 확대되었다든가, 구술적 요소가 다분하다는 것이 그것이다. 판소리계 소설 역시 기술 서사라는 점에서 이러한 담화 특질은 결국 시간의 문제와 밀접한 연관성을 지니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독특한 시간의 운용방식은 판소리계 소설을 ‘공간적 서사체’로 바라볼 필요성을 마땅히 제기한다. 이 글에서 다루고 있는 ‘공간’은 극중 인물이나 독자의 내면의식 속에 형성되는 일종의 심리적인 공간으로서 이야기 속에 등장하는 물리적인 배경 및 장소와는 다른 차원의 개념이다. 판소리계 소설에는 병렬적인 서술 구성이 자주 등장하고, 이야기 정보량에 비해 서술 시간을 많이 할애하고 있는 경향이 강한데 이러한 서술 양상은 공간적 국면을 활성화하는데 기여한다. 이 글은 대표적인 판소리계 소설 중 하나인 <열녀춘향수절가>를 ‘공간적인 서사체’로 바라봄으로써 판소리계 소설이 지니고 있는 담화 특질들에 대한 이해 지평을 보다 넓히고자 했다. 특히 사랑가에서 이별가로 이어지는 대목은 작품 전체에서 유난히 공간적 국면이 두드러져 보이는 대목이기도 하거니와 공간적 서사로서 판소리계 소설이 지니는 유의미한 가치 내지는 지향 의식을 일단이나마 시사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사랑가와 이별가는 각 대목의 앞 뒤, 그리고 두 대목 사이의 국면과 비교해봤을 때 시간적 긴장이 늦추어져 있는 점이 분명히 확인되며, 이로써 공간이 활성화된다. 보통 공간이 활성화될 때 독자는 인물의 감정에 동화될 충분한 심리적인 여유를 부여받게 되는데, 사랑가와 이별가 대목은 언뜻 현실적으로 접근했을 때 독자의 감정 몰입이 어려운 면이 발견되기에 주목을 요한다. 춘향과 몽룡 사이에 놓인 신분의 벽이 높다는 현실적인 장애 요소와 두 인물의 감정선이 발달하는 서사 대목이 지나치게 축약되어 있음으로 인해 독자가 둘의 격정적인 사랑과 서러운 이별의 감정에 선뜻 몰입하기 힘든 면이 발견되는 것이다. 이때 판소리계 소설은 서사 단위들간의 결합 양상에서 확인되는 외형적인 논리성을 구축하는 것이 아니라 각각 공간화된 서사 뭉치를 통해 독자 인식 상에서 형성된 감정적 흥분을 유지시킴으로써 몰입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Pansori novels share a distinctive qualification in discourse, which is distinguished from other traditional narrative body, such as the expansion of description part or full of verbal statements. Such qualification in discourse is closely related to the matter of time, from a point of view that Pansori novels are also descriptive narrative. Then, this unique management method of time suggests the need to regard Pansori novels as spatial narrative. The space dealt with in this research is a kind of a psychological space formed in inner consciousness of the characters of the play and readers as well. This is a different level of concept from the physical backgrounds and places of the story. It is common to have a parallel narrative structure in Pansori novels. Moreover, the novels often spend relatively too much time on description, providing only little information. These descriptive features contribute to vitalize spatial situations. This research deepens understanding on descriptive qualification in Pansori novels as it regards the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Pansori novels, Yeolnyeo Chunhyangsujeolga, as spatial narrative. Especially the passage between Love Song and Farewell Song is a critical part. The spatial situation is highlighted here and furthermore, meaningful value or awareness intention of Pansori novels as spatial narrative is suggested. It is obviously found that temporal tension is weak if the passage between Love Song and Farewell Song is compared with before and behind of each song. With this, the space is vitalized. Readers are often provided time to spare psychologically, which allows the readers to assimilate to the characters of the story when the spaces are vitalized in general. However, from the realistic approach, Love Song and Farewell Song part are needed to be highlighted since it is difficult not only to take readers’ attention but also to engage emotion. It is because the description narrative, in which two main characters are falling in love with each other and realistic obstacles of difference in social position between Chunhyang and Mongyong is developed, is too abridged for readers to follow the main characters’ passionate love and sorrow. In this case, Pansori novels rather make the readers keep emotion that is formed by readers’ recognition based on each spaced narrative than persuade them through external logic verified by combination of narrative units.

목차

1. 머리말
2. 공간적 서사로서의 사랑가와 이별가
3. 공간적 서사와 독자 몰입의 문제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손동국,Son, Dong-kuk. (2015).공간적 서사로서의 <열녀춘향수절가> 읽기.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31 , 247-274

MLA

손동국,Son, Dong-kuk. "공간적 서사로서의 <열녀춘향수절가> 읽기."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31.(2015): 247-27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