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청동기시대 정치경제학과 권력의 재원조달 재론

이용수 888

영문명
Political Economy and Elite Financing in the Korean Bronze Age
발행기관
한국상고사학회
저자명
김장석(KIM Jang suk)
간행물 정보
『한국상고사학보』제86호, 5~29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1.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권력의 발생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전기청동기시대에서 송국리단계로의 전환이 한국고고학에서 차지하는 위치는 매우 중요하다. 필자는 전고에서 저장양상의 변화와 권력의 발생 간의 관계를 살핀 바 있는데, 최근 이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었다. 이 비판은 토기의 저장량을 추산한 결과 송국리단계에 들어 전기청동기시대에 비해 가내저장이 오히려 증가하였기 때문에 송국리단계의 생산물이 공공재로 간주될 수 있다는 필자의 주장에 문제가 있다는 점, 송국리단계에 공동노동력 투입을 상정한 필자의 가설에 문제가 있다는 점, 그리고 필자의가설은 전기청동기시대에서 송국리단계의 변환에 대한 단절적 이해에 바탕을 두고 있다는 점 등을 골자로 한다. 대안으로서, 전기청동기시대말에 등장하는 지석묘의 축조 등과 같은 집단적 행위를 야심찬개인이 후원하는 자기확대적 행위가 누적된 결과로 집단적 저장시설의 등장을 이해하여야 한다는 가설이 제시되었다. 본고는 이에 대한 재반론을 시도한다. 이를 위해, 토기저장량 추정과 해석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 권력의 재원조달에 대한 고찰을 통해 송국리단계에 옥외저장시설에 저장되는 재고는 공공재로 보는 것이 타당하며, 공공재에 대한 관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잉여전용이 권력재원조달전략이라는 필자의 기존주장을 구체화시킨다. 또한, 전기청동기시대와 송국리단계를 구분하여 대비하였던 것은 시대전환에 대한 단절적 인식 때문이 아니라,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전략이었음을 명확히 한다.

영문 초록

The transition from the Early Bronze Age to the Songgukri period provides a critical clue to understanding the emergence of power in Korean prehistory. Recently a rebuttal of my model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hange in storage and the emergence of power in the Songgukri period was published. It argues that my model has serious flaws because (1) estimation of pottery volume demonstrates that house storage increased in the Sounggukri period, suggesting that agricultural product was not public property, (2) communal labor investment in production did not exist, and (3) my model was based on a discontinuous understanding of the Early Bronze Age-Songgukri transition. The rebuttal proposes an alternative hypothesis that the appearance of collective storage resulted from aggrandizers'sponsoring activities for communal activities such as dolmen constructions and rituals. This paper is a surrebuttal. I question the methods for estimating pottery volume, and refine my model that exterior storage facilities were for communal property and managers'appropriation of communal property was an elite financing strategy. It is also argued that the contrast between the Early Bronze Age and Songgukri period was not because of a discontinuous understanding of the transition, but was a research strategy that I adopted to explain a macro-scale changes.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잉여와 저장량의 추산
Ⅲ. 권력의 재원조달
Ⅳ. 대안의 모색
Ⅴ. 단절적 이해와 계기적 이해
Ⅵ. 설명의 스케일과 시각: 결론을 대신하여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장석(KIM Jang suk). (2014).청동기시대 정치경제학과 권력의 재원조달 재론. 한국상고사학보, (86), 5-29

MLA

김장석(KIM Jang suk). "청동기시대 정치경제학과 권력의 재원조달 재론." 한국상고사학보, .86(2014): 5-2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